$\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학교 교사폭력이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Teacher Violence,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492 - 502  

전지경 (한밭대학교 학생상담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교사폭력이 청소년의 우울감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해보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국청소년 정책연구원에서 조사한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연구 IV'의 중·고등학생 6,291명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SPSS 18.0프로그램과 Process Macro 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와 일원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 부트스트래핑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학교 교사폭력과 우울감은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 교사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감이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교 교사폭력은 청소년의 우울감을 통해 자살생각에 이르는 과정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 교사들에 대한 교육과 상담과정 그리고 정책적 보완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s of parental neglect on the process where school teacher violence affected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of adolescents. Data of 6,291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research on the actual state of human rights of Korean children and ...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학교요인인 학교 교사폭력, 가족요인인 부모방임, 개인요인인 우울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교사폭력, 우울감,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살펴봄으로써 청소년들이 삶을 건강하게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데 유용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6,291명의 증·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 교사폭력, 우울감,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해 보았다.
  •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 내 교사의 폭력이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을 우울감을 매개변인으로 상정하고 부모의 방임적 태도를 조절변인으로 상정하여 어떻게 매개 혹은 조절하는지를 확인하여 학교 교사폭력과 청소년의 자살생각의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구체적인 연구문제와 연구모형은 다음과 같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살생각에 영향을 주는 학교요인인 학교 교사폭력, 가족요인인 부모방임, 개인요인인 우울감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학교 교사폭력, 우울감,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부모방임의 매개된 조절효과가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M. Idris, S. Hussain, and A. Ghaffar, "Influence of Teachers' Behavior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t Secondary Level," Ilkogretim Online, Vol.20, No.5, pp.1208-1214, 2021. 

  2. M. Barber and M. Mourshed, How the world's best-performing systems come out on top, London: McKinsey & Company, 2007. 

  3. S. L. Johnson, "Improving the school environment to reduce school violence: A review of the literature," Journal of School Health, Vol.79, No.10, pp.451-465, 2009. 

  4. H. Roslyne Wilkinson and A. Jones Bartoli, "Antisocial behaviour an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quality: The role of emotion related abilities and callous-unemotional traits.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91, No.1, pp.482-499, 2021. 

  5. A. E. Chiesa, L. Kallechey, N. Harlaar, C. R. Ford, E. F. Garrido, W. R. Betts, and S. Maguire, "Intimate partner violence victimization and parenting: A systematic review," Child Abuse & Neglect, Vol.80, pp.285-300, 2018. 

  6. 신정님, "교사폭력과 남자중학생의 학교생활의 질 및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이화교육논총, 제10권, 제1호, pp.117-128, 1999. 

  7. M. Akiba, G. K. LeTendre, D. P. Baker, and B. Goesling, "Student Victimization: National and School System Effects on School Violence in 37 Nation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9, No.4, pp.829-853, 2002. 

  8. 이호택, 정보영, "교사체벌이 학교생활 불성실 행동에 미치는 영향- 교사지지와 학교인식의 이중매개효과 검증-," 청소년시설환경, 제15권, 제2호, pp.87-99, 2017. 

  9. A. Browers and W. Tomic, "A longitudinal study of teacher burnout and perceived self-efficacy and teacher education," Vol.16, No.2, pp.239-253, 2000. 

  10. A. Bandura, "Social cognitive theory : An agentic perspective,"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2, pp.1-26, 2001. 

  11. A. C. Saglam, "Teachers' views about mobbing (psychological violence) at elementary schools," Eurasian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32, pp.133-142, 2008. 

  12. S. Sezer, "Teacher-induced violence in the classroom and its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students: A phenomenological analysis," Kuram ve Uygulamada Egitim Yonetimi Dergisi, Vol.27, No.1, pp.945-966, 2021. 

  13. A. Austin, "Association of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with life course health and development," North Carolina Medical Journal, Vol.79, No.2, pp.99-103, 2018. 

  14. S. Mohammad and L. S. Sharon, "School violence, depression, and suicide," Journal of Applied Psychoanalytic Studies, Vol.5, No.2, pp.155-169, 2003. 

  15. https://mdtoday.co.kr/news/view/1065594530728671 (2022.03.03.) 

  16. www.mk.co.kr/news/economy/view/2021/05/502575/(2021.5.25.) 

  17. K. M. Speaker and G. J. Petersen, "School violence and adolescent suicide: Strategies for effective intervention," Educational Review, Vol.52, No.1, pp.65-73, 2000. 

  18. 한국보건의료연구원, 국내 정신질환 관련 연구현황 파악 및 우울증 자살에 대한 연구, 한국보건의료연구원, 2012. 

  19. J. R. Bantjes, A. Kagee, T. McGowan, and H. Steel, "Symptoms of posttraumatic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as predictors of suicidal ideation among South African university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64, No.6, pp.429-437, 2016. 

  20. 서희웅, 학교폭력 가해, 피해 경험이 청소년의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공격성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연세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1. 장덕희, 윤현자, 신현진, "청소년의 폭력 피해경험이 우울과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제28권, 제10호, pp.137-160, 2021. 

  22. S. M. Chan, J. Bowes, and S. Wyver, "Parenting style as a context for emotion socialization," Early Education and Development, Vol.20, No.4, pp.631-656, 2009. 

  23. E. Friedman, Generation to generation: Family process in church and synagogue, Guilford Press, 2011. 

  24. M. H. Piel, J. M. Geiger, F. J. Julien-Chinn, and C. A. Lietz, "An ecological systems approach to understanding social support in foster family resilience," Child & Family Social Work, Vol.22, No.2, pp.1034-1043, 2017. 

  25. M. Bowe, Family therapy in clinical practice, Jason Aronson, 1993. 

  26. 정연균, 염동문, "청소년의 성폭력 피해경험이 자살 생각에 미치는 영향 : 우울과 부모방임의 조절된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9권, 제4호, pp.435-460, 2020. 

  27. 심혜인, 김동현, 곽대경, "청소년의 학교폭력 피해경험, 우울,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부모방임수준의 조절된 매개효과," 한국범죄학, 제14권, 제1호, pp.101-121, 2020. 

  28. 신복기, 이성진, "청소년의 가정폭력, 학교폭력, 우울불안, 자살 간의 관계 : 가정위탁, 양육시설, 쉼터, 보호관찰 청소년들을 중심으로," 한국민족문화, 제44권, pp.281-318, 2012. 

  29. https://www.nypi.re.kr/archive/mps/program/examinDataCode/view?menuIdMENU00226&pageNum1&titleId151&schType0&schText&firstCategory&secondCategory 

  30. R. M. Baron and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ategic, and statistic, and sta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5, No.6, pp.1173-1182, 1986. 

  31. A. F. Hayes, Introduction to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analysis: A regression-based approach, New York, NY: Guilford Press, 2013. 

  32. D. Muller, C. Judd, and V. Y. Yzerbyt, "When moderation is mediated and mediation is moderate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89, pp.852-862, 2015. 

  33. 윤일신, 교사 체벌과 중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충동성 및 자존감과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34. 도기봉, 장승옥, "청소년이 지각하는 교사의 체벌행 동이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영향," 학교사회복지, 제27권, pp.197-220, 2014. 

  35. 박수희, 노영순, "자아개념과 태도 및 학습습관이 수학 학업성적에 미치는 영향-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한국학교수학회, 제14권, 제2호, pp.199-213, 2011. 

  36. 이상민, 김계현, "학교체벌의 배경정보가 학생의 귀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2권, 제2호, pp.243-256, 2000. 

  37. J. L. H. Montgomery, "Teacher-directed violence- a literature review," Journal plus education, Vol.24, pp.123-132, 2019. 

  38. H. Ortuzar, X. Oriol, R. Miranda, and C. Montserrat, "Teacher violence, school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hildren and adolescents in residential care: the moderation effect of staff support," Children & Society, Vol.35, No.6, pp.850-869, 2021. 

  39. G. Diamond, T. Kodish, E. S. Krauthamer Ewing, Q. A. Hunt, and J. M. Russon, "Family processes: Risk, protective and treatment factors for youth at risk for suicide," Aggression and Violent Behavior, 101586, 2021.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