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한의 건강 측정을 위한 미병과 한열설문의 웹과 종이 기반 조사 방법의 신뢰도: 예비연구
Reliability of Web and Paper-Based Survey Methods for Mibyeong and Cold-Heat Pattern Questionnaire for Korean Medicine Health Assessment: Pilot Stud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8, 2022년, pp.671 - 680  

정경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  김호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  이시우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  임수은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  백영화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의약데이터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의학 기반 건강상태 및 진단 분류 도구인 미병과 한열설문의 웹 기반과 종이 기반 간의 일치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일반인 72명을 대상으로 웹 기반 조사를 먼저 시행하고, 시간 간격을 두고 종이기반 설문을 진행하였다. 웹과 종이 기반 조사 방법 간의 동등성은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ICC)와 Bland-Altman 방법으로 설문 점수 간의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미병설문은 웹과 종이 조사 간에 높은 신뢰도를 보였고(ICC=0.95, 95% CI 0.92 - 0.97), 한열설문의 한증(ICC=0.98, 95% CI 0.96 - 0.99)과 열증(ICC=0.9, 95% CI 0.83 - 0.93) 모두 우수한 신뢰도를 나타냈다. 두 조사 방법 간의 평균 점수 차이는 미병설문이 -0.25점이고, 한열설문의 한증 -0.17점, 열증 0.11점으로 유사한 일치 양상을 나타냈다. 대상자의 84%가 웹 기반에 긍정적인 만족도를 보였고, 80%가 웹 조사를 선호하였다. 본 연구에서 미병설문과 한열설문의 웹 조사 방법 간의 신뢰도와 실행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이것은 장기간 걸쳐 진행되는 코호트 연구에서 대상자 추적 관찰에 유용한 도구로 고려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evaluated the consistency between the web-based and paper-based mibyeong and cold-heat pattern questionnaire, the Korean medicine-based tool for diagnosing and classifying health status. First, a web-based survey was conducted on 72 ordinary people; subsequently, a paper-based survey was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한의학 기반의 건강 상태 평가 도구인 미병설문과 한열설문의 웹 버전을 개발하여, 종이 조사방법 간의 신뢰도와 실행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분석결과 새롭게 개발된 웹 기반 설문은 종이 버전과 0.
  • 본 연구에서 사용한 미병설문은 이상증상 기반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되었다[11]. 미병설문은 피로, 통증, 수면이상, 소화이상, 우울, 분노, 불안의 7개 범주로 21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 환자 보고에 의한 설문은 환자가 주관적으로 호소하는 여러 증상들을 중시하는 한의학의 특성과 서로 잘 부합되어[8], 한열[9], 체질[10], 미병[11] 등 한의 진단과 건강상태를 평가하는 설문들이 임상과 연구에서 활용되고 있다[12][13]. 본 연구에서는 미병과 한열설문을 포함하여 여러 설문 도구를 웹 기반 시스템으로 개발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병설문과 한열설문의 웹기반과 종이 기반 조사 방법 간의 동등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미병과 한열설문을 포함하여 여러 설문 도구를 웹 기반 시스템으로 개발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미병설문과 한열설문의 웹기반과 종이 기반 조사 방법 간의 동등성과 사용자 만족도를 평가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I. McDowell, Measuring health: a guide to rating scales and questionnair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6. 

  2. 최지숙, 박영신, 김지애, 박춘선, "의료의 질 향상을 위한 환자중심 건강결과 측정의 국제동향과 국내 시사점-OECD PaRIS 를 중심으로,"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제25권, 제1호, pp.11-28, 2019. 

  3. J. Hou, Q. Li, M. Yu, F. Li, Y. Tang, and Y. Long, "Validation of a Mobile Version of the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tandardized Shoulder Assessment Form: An Observational Randomized Crossover Trial," JMIR mHealth and uHealth, Vol.8, No.7, pp.1-9, 2020. 

  4. 이지영, 김진교, "온라인 패널 조사와 오프라인 대인면접 조사 간 데이터 품질 비교: 신뢰도와 타당도를 중심으로," 마케팅연구, 제21권, 제4호, pp.209-231, 2006. 

  5. R. A. Kollenburg, D. M. Bruin, and H. Wijkstra, "Validation of the electronic version of the International Index of Erectile Function(IIEF-5 and IIEF-15): a crossover study,"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21, No.7, pp.1-8, 2019. 

  6. O. M. Epis, C. Casu, L. Belloli, E. Schito, D. Filippini, and M. Muscara, "Pixel or paper? Validation of a mobile technology for collecting patient-reported outcomes in rheumatoid arthritis," JMIR Research Protocols, Vol.5, No.4, pp.1-8, 2016. 

  7. 이봉교, 한방진단학, 성보사, 1986. 

  8. 송낙근, 김중길, 신선화, 김용호, 황규동, 안규석, 최선미, "설문지 통계분석을 통한 변증진단 객관화 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논문집, 제11권, 제1호, pp.127-138, 2005. 

  9. 배광호, 윤영흠, 여민경, 김호석, 이영섭, 이시우, "건강 증진을 위한 평소 증상 기반의 한열변증 설문지 개발-일치도를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제20권, 제2호, pp.17-26, 2016. 

  10. 백영화, 장은수, 박기현, 유종향, 진희정, 이시우, "체형, 성격, 소증 기반 단축형, 사상체질 진단설문지 (ks-15) 개발 및 타당도 연구," 사상체질의학회지, 제27권, 제2호, pp.211-21, 2015. 

  11. 이영섭, 백영화, 박기현, 진희정, 이시우, "이상증상 기반 미병 분류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제20권, 제3호, pp.45-53, 2016. 

  12. 김수정, 이시우, 이영섭, "건강군과 미병군의 한열지표 차이에 관한 연구," 대한예방한의학회지, 제21권, 제1호, pp.49-56, 2017. 

  13. 장은수, 김윤영, 백영화, 이시우, "사상체질별 7대 건강행위와 주관적 건강상태의 연관성," 사상체질의학회지, 제30권, 제1호, pp.32-42, 2018. 

  14. J. C. Lee, S. H. Kim, Y. Lee, S. Song, Y. Kim, and S Lee, "The concept of Mibyeong (sub-health) in Korea: A Delphi study," European Journal of Integrative Medicine, Vol.5, No.6, pp.514-518, 2013. 

  15. WORLD HEALTH ORGANIZATION, WHO international standard terminologies on traditional medicine in the western pacific region, 2007. 

  16. S. J. Coons, C. J. Gwaltney, R. D. Hays, J. J. Lundy, J. A. Sloan, and D. A. Revicki, "Recommendations on evidence needed to support measurement equivalence between electronic and paper-based patient-reported outcome (PRO) measures: ISPOR ePRO," Good Research Practices Task Force report, Vol.12, No.4, pp.419-429, 2009. 

  17. N. Campbell, F. Ali, A. Y. Finlay, and S. S. Salek, "Equivalence of electronic and paper-based patient-reported outcome measures,"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4, No.8, pp.1949-1961, 2015. 

  18. M. K. White, S. M. Maher, A. A. Rizio, and J. B. Bjorner, "A meta-analytic review of measurement equivalence study findings of the SF-36® and SF-12® Health Surveys across electronic modes compared to paper administration," Quality of life research, Vol.27, No.7, pp.1757-1767, 2018. 

  19. M. H. Berg, A. Overbeek, H. J. Pal, A. B. Versluys, D. Bresters, E. Flora, and E. Leeuwen, "Using web-based and paper-based questionnaires for collecting data on fertility issues among female childhood cancer survivors: differences in response characteristics,"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3, No.37, p.1707, 2011. 

  20. 박정수, 성현경, 신선미, 고호연, 이시우, 백영화, "신체 생체지표를 이용한 사상체질 판별 연구-한의 코호트 연구를 중심으로," 대한예방한의학회지, 제23권, 제3호, pp.21-30, 2019. 

  21. 공경애, "검사법 평가: 검사법 비교와 신뢰도 평가," Ewha Med J, 제40권, 제1호, pp.9-16, 2017. 

  22. T. K. Koo and M. Y. Li, "A guideline of selecting and reporting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for reliability research," Journal of chiropractic medicine, Vol.15, No.2, pp.155-163, 2016. 

  23. M. Duracinsky, C. Lalanne, C. Goujard, S. Herrmann, C. C. Lung, and J. P. Brosseau, "Electronic versus paper-based assessment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specific to HIV disease: reliability study of the PROQOL-HIV questionnaire,"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Vol.16, No.4, pp1-12, 20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