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생태계 서비스를 위한 주민 참여형 수변완충녹지 설계 고찰 - 한강수계 경안천변 매수토지 사례 연구 -
Design of Riparian Buffer Zone by Citizen's Participation for Ecosystem Service - Case Study of Purchased Land along Gyeongan-cheon in Han River Basin -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4 no.3, 2022년, pp.170 - 184  

반권수 (K-water 물환경개선처)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변완충녹지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탄소흡수원으로서 유용하며 다양한 생태계 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자연기반해법이다. 더불어 수변완충녹지는 생물 다양성과 인간의 행위 빈도가 높은 수역과 육역의 중간지대에 구축되는 지속가능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적 환경계획 과정으로 조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강수계 경안천변 용인시 모현읍 갈담리 582-2 일원의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사업을 대상으로 계획 및 설계를 소통적 행위로 이해하고 실천하기 위해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이를 과정으로 구현하였다. 첫 번째, 관 주도의 사업을 지양하고 지역 거버넌스인 협의체를 중심으로 주민과 이해관계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과정으로 개선하였다. 두 번째, 주민이 공감할 수 있는 생태계 서비스 기능 증진 측면의 설계 요소를 도입하고 선호하는 공간, 시설의 계획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고자 하였다. 세 번째, 생물 서식처, 물순환 기반의 생태환경, 주민 생태체험·휴식공간 등의 균형있는 계획과 더불어 향후 이용 주체인 주민들이 조성 효과와 생태자원으로서의 가치를 체감하고 조성지의 운영, 관리에 참여, 환원될 수 있도록 하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러한 설계 과정을 통해 사업 초기부터 주민참여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정착하여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작동되어 주민의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체계를 마련하였다. 그리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와 향후 유사 사업 추진 시에 적용 가능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parian Buffer Zone(RBZ) is a sustainable social-ecological system created in the middle zone between water and land. For the RBZ, close communication with the local community is important, and it is necessary to promote it as a communicative environmental planning process. In this study, for t...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초화류는 가래(Potamogeton distinctus), 감국(Chrysanthemum indicum), 개구리밥(Spirodela polyrhiza), 검정말(Hydrilla verticillata), 고랭이(Scirpus lacustris), 구절초(Dendranthema zawadskii), 기린초(Sedum kamtschaticum), 꿀풀(Prunella vulgaris) 등 16종을 계획하였다. 기존에 보전이 필요한 식생 군락을 제외하고 밀생한 숲에 대한 솎아베기를 통해 하층 식생 발달을 유도하고 식물 종다양성 및 탄소흡수능 증진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대상지 내에 상수리나무, 갈참나무, 잣나무 등 단일 수종으로 조림화되어 있는 구간에 대해 단계별 솎아베기를 계획하였다(Fig.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의 대표적인 수변완충녹지 정책인 수변생태벨트 사업에 있어서 계획 과정부터 시민참여 기반의 사업 프로세스 정착을 위한 시범 모델을 제시하고 수변생태벨트 조성시 균형있는 생태계서비스 기능 증진을 고려한 계획 요소 도입과 주민의 수용성, 주민 의견 투영을 통해 지역의 생태자원으로서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하는 사업 체계를 마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국내의 대표적인 수변완충녹지 정책인 수변생태 벨트 사업에 있어서 계획 초기부터 주민참여 기반의 프로세스 모델을 적용한 최초의 사례이자 기록이다. 본 사례를 통해 주민의 수용성, 의견을 투영하는 사회생태시스템으로서 주민 가치 인식,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솔선수범할 수 있는 사업 체계를 마련하고 국내 수변완충녹지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향후 유사 사업 추진시에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비점오염원을 친환경적으로 정화시키고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제공하는 수변완충녹지를 보다 지속가능하고 유용한 사회생태시스템으로 조성하기 위해 지역 공동체와의 긴밀한 상호 소통 필요성을 제기하고 그 방법론으로서의 설계 과정을 제시하였다. 한강수계 경안천변 수변구역 내 매수토지에 추진되는 수변생태벨트 조성 대상지를 사례로 설계과정에 세 가지의 전략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 이러한 실천전략을 구체화하기 위해 먼저 지속적이고 정기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협의체가 필요하였다. 전문가, 시민단체, 주민대표, 지자체, 관계기관 담당자 등이 참여하는 지역 거버넌스로서 협의체를 구성하여 사업 초기 구상부터 계획, 설계 및 조성, 유지관리 단계까지 운영하고자 하였다. 협의체는 수질 보전, 생태계 개선이라는 수변생태벨트의 기본 목표를 공유하고 지역의 생태계서비스 증진을 위한 주민들의 관심과 합의를 이끌어 내기 위한 과정을 논의하였으며 채택된 방법들의 구체적인 내용과 진행 방법을 결정하였다.
  • 주민 설문결과를 고려하여 이용자의 시설에 대한 요구를 적절하게 절충시킬 수 있으며 지형의 변화를 최소화하여 습지 및 생태계 보전의 흐름에 지장이 없도록 계획하고자 하였다. 대상지의 수변생태벨트 조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방향을 설정하였다.
  • 두 번째,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수변완충녹지의 생태계서비스 체계를 기반으로 대상지 현황, 제도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공급, 조절, 문화 서비스 부문별 생태계서비스 기능을 위한 설계요소를 도출하였으며 주민 설문을 통해 이를 구현하기 위한 도입시설, 공간을 계획하였다. 주민의 시각에서 수변생태벨트의 다양한 생태계서비스 기능에 부합되는 설계 요소와 시설, 공간 도입을 통해 수용성과 인식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북서측과 남측 공간은 생태계 복원 공간으로써 오랜 시간 방치된 토지의 생물 다양성을 회복하고 서식 중인 동식물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탄소흡수원 공간은 중앙의 기존 산림과 조화를 통한 탄소흡수기능을 향상하고 기 조성된 조림숲, 습지의 건전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생태교육, 체험공간은 중앙의 산림부와 주변 습지공간을 활용하여 살아있는 숲을 느끼고 자라나는 유·청소년 계층의 생태교육, 체험공간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hn TM, Kim IH, Lee JY, Kim CK, Chae HS, Lee Y and Kim MW (2009). Development of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system through integrative categorization of disturbed areas in BaigDooDaeGahn. J. Korean Env. Res. Tech,, 12(4), pp. 11-22. [Korean Literature] 

  2. Bahn GS and An BC (2020). Analysis of environmental purification effect of riparian forest with poplar trees for ecological watershed management: A case study in the floodplain of the dam reservoir in Korea. Sustainability, 12(17), 6871. 

  3. Bahn GS, Cho MH, Kang JK and Kim LH (2021). Study on the selecting of suitable sites for integrated riparian eco-belts connecting dam floodplains and riparian zone-case study of Daecheong reservoir in Geum-river basin. J. of Wetlands Research, 23(4), pp. 327-341. [Korean Literature] 

  4. Browder G., S. Ozment, I. Rehberger Bescos, T. Gartner and G. M. Lange (2019). Integrating Green and Gray: Creating Next Generation Infrastructure. World Bank and World Resources Institute. 

  5. Capon SJ et al. (2013). Riparian ecosystems in the 21st century: Hotspots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Ecosystems, 16, pp. 359-381. 

  6. Carpenter SR, Mooney HA, Agard J, Capistrano D, DeFries RS, Diaz S, and Perrings C. (2009). Science for managing ecosystem services: Beyond the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6, pp. 1305-1312. 

  7. Choi J, Hong J, Kang H, and Kim LH (2016). Characteristics of stormwter runoff from highways with unit traffic volume. J. of Wetlands Research, 18(3), pp. 275-281. [Korean Literature] 

  8. Dufour S, Rodriguez-Gonzalez P M, and Laslier M. (2019). Tracing the scientific trajectory of riparian vegetation studies: Main topics approaches and needs in a globally changing world. 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653, pp. 1168-1185. 

  9. Dwire, K. A. and R. R. Lowrance(2006). Riparian ecosystems and buffers-multiscale structure, function, and management: Introduction. J.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42(1), pp. 1-4. 

  10. Fischer M, et al. (2018). Summary for Policymakers of the Regional Assessment Report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for Europe and Central Asia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Secretariat of the Intergovernmental Science - Policy Platform on Biodiversity and Ecosystem Services. 

  11. Fisher B, Turner RK, and Morling P. (2009). Defining and classifying ecosystem services for decision making. Ecological Economics 68, pp. 643-653. 

  12.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GREMO) (2009). Water Management Plan of Geum River('09~'13),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Korean Literature] 

  13.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GREMO) (2013). Water Management Plan of Geum River('14~'18), Geum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Korean Literature] 

  14.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GRWMC) (2020). A Study on the Agricultural Impact and Management Plan of the Daecheong Reservoir: Research Report. [Korean Literature] 

  15. Gonzalez E, Sher AA, Tabacchi E, Masip A and Poulin M. (2015). Restoration of riparian vegetation: A global review of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approaches in the international peer-reviewed literature.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58, pp. 85-94. 

  16. Haase, D. (2017). Urban wetlands and Riparian forests as a nature-based solution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cities and their surroundings. In Nature-Based Solutions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in Urban Areas. Springer, Cham. pp. 111-121. 

  17. Haines-Young R. and Potschin M. (2009). Methodologies for Defining and Assessing Ecosystem Services. Joint Nature Conservation Committee. Project code no. C08-0170-0062. 

  18. Haines-Young R. and Potschin M. (2013). The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Consultation on Version 4 August- December 2012 Report to the European Environment Agency Contract No EEA/IEA/09/003. 

  19. Haines-Young R, and Potschin M. (2018). Common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Ecosystem Services (CICES) V5 1 and Guidance on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tructure. European Environment Agency. https://cices eu 

  20. H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HREMO) (2013). Water Management Plan of Han River, H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Korean Literature] 

  21.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HRWMC) (2018). The 3rd Plan for Management of Waterfront Areas of the Han River(2019~2023), Ha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Korean Literature] 

  22. Hong SK, Kang HJ, Kim ES, Kim JK, Kim CH, Lee EJ, Lee JC, Lee JS, Lim BS, Jeong YS, Jeong HR and Cho HY (2004). Restoration ecology and engineering :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habitats and ecotope. Life science. [Korean Literature] 

  23. Hong, EM, Im GJ. and Kim DJ (2021). Introduction of nonpoint pollution generation and management plans in Gangwon province. water for futur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4(2), pp. 46-51. [Korean Literature] 

  24. Jobin, B., L. Belanger, C. Boutin and C. Maisonneuve(2004). Conservation value of agricultural riparian strips in the Boyer river watershed, Quebec(Canada). Agriculture, Ecosystems & Environment, 103, pp. 413-423. 

  25. Jo DG (2006). Amphibian Habitat Techniques. Landscaping Tree, 35-40. [Korean Literature] 

  26. Lee EJ, and Kim CK (2018). Civic Ecology Practice and Environmental Education. Proceedings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ducation Conference, pp. 82-84. [Korean Literature] 

  27. Lee JW (2021). A Study on the Assessment Model for Riparian Eco-belt Using Ecosystem Services Assessment Framework. Dan Kook University. [Korean Literature] 

  28. Lee JY, Ahn TM, Kim IH, Kim CK, Kim SJ, Chae HS, Lee Y, Lee JW, Kim MW, Shin MJ, Park HI and Cho KJ (2011). A Study on Participatory Ecological Restoration Procedures - Degraded Ecosystems in BaigDooDaeGahn -. J. Korean Env. Res. Tech, 14(5), pp. 1-16. [Korean Literature] 

  29. Lee YK, Choi HS, J MS and Kim LH (2021). Change of dry matter and nutrients contents in plant bodies of LID and roadside. J. of Wetlands Research, 23(1), pp. 35-43. [Korean Literature] 

  30. Li, L and Koo, BH (2017). A Study on Recognition of Land Acquisition for Ecology Restoration Project in Ecological and Landscape Conservation Area of Donggang River Basin. J.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0(4), pp. 15-28. [Korean Literature] 

  31.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MEA) (2005). Ecosystems and Human Well-being. Synthesis Island Press, Millennium Ecosystem Assessment. 

  32. Ministry of Environment(MOE) (1990). Investigation report on the impact of the Paldang Lake test dredging,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33.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18). A report on the results of specific audits for the waterside ecological belt creation project,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34.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20). The 3rd Comprehensive Measures for the Management of Rainfall Runoff Nonpoint Pollution Sourc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35.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20) Manual for Installa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36. Ministry of Environment(MOE) (2021). 2021 Government Innovation Action Plan,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n Literature] 

  37. Nakdong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NREMO), (2009). Water Management Plan of Nakdong River, Nakdong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Korean Literature] 

  38. Park JH, Ryu J, Shin DS and Lee JK (2019). The effective approach for non-point source management. J. of Wetlands Research. 21(2), pp. 140-146. [Korean Literature] 

  39. Riis, T., Kelly-Quinn, M., Aguiar, F. C., Manolaki, P., Bruno, D., Bejarano, M. D., and Dufour, S. (2020). Global overview of ecosystem services provided by riparian vegetation. BioScience, 70(6), pp. 501-514. 

  40. Sweeney BW and Newbold JD. (2014). Streamside forest buffer width needed to protect stream water quality habitat and organisms: A literature review. J.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50, pp. 560-584. 

  41. USDA Forest Service (1998). Chesapeake Bay Riparian Handbook: A guide for establishing and maintaining riparian forest buffers. 

  42. Youngsan River Environmental Management Office (YREMO) (2009). Water Management Plan of Youngsan River. [Korean Literature] 

  43. Youngsan.Sumjin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YSRWMC) (2018). The 3rd Plan for Management of Waterfront Areas of the Youngsan.Sumjin River (2019~2023). [Korean Literature] 

  44. National Geospatial Image Information System(NGIIS) (2022). http://air.ngii.go.kr/ 

  45. Weather data open portal(2022) https://data.kma.go.kr/. 

  46. River Management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RIMGIS) (2022). http://www.river.go.kr/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