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 예비교사의 기억 속 긍정적 과학 경험 사례에 대한 질적 분석
Qualitative Analysis of Positive Science Experiences in the Memory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5 no.2, 2022년, pp.299 - 309  

임성만 (한국교원대학교) ,  신정윤 (대전배울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기억 속 긍정적 과학 경험 사례를 질적 분석하여 긍정적 과학 경험의 구체적인 요인과 특징을 범주화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나의 즐거웠던 과학 수업 경험'을 주제로 쓴 에세이 101편을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귀납적 분석법을 이용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초등 예비교사의 기억 속 긍정적 과학 경험 사례의 특징은 4개의 범주, 12개의 주제 묶음으로 범주화 되었다. 구체적으로 장기간의 동·식물 기르기 및 관찰, 먹을 수 있는 소재를 활용한 실험, 특별한 실험 도구 사용과 같이 '특별한 소재를 이용한 탐구 활동 경험'이 긍정적 과학 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관찰 활동 중시, 명확한 실험 결과가 동반되는 실험, 만들기 활동의 병행, 다양한 자료 활용과 같이 '과학 탐구를 강조한 활동 경험'도 긍정적 과학 경험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학생 자율성 강화, 학생 간 협업 강조, 교과수업 외 과학 활동 수행 등 '학생 중심 활동 경험'도 긍정적 과학 경험에 영향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교사의 격려와 열정과 같이 '교사의 긍정적 영향'도 과학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specific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positive science experience by qualitatively analyzing the positive science experience cases in the memories of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For this purpose, 101 essays written by pre-service teachers on t...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24)

  1. 강훈식, 이성희, 이일, 곽영순, 신영준, 이수영, 하지훈(2020). 초등학생과 중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 요인에 대한 질적 탐구. 초등과학교육, 39(2), 183-203. 

  2. 강훈식, 이수영, 김희경, 이성희, 곽영순, 신영준(2019). 과학선도학교 사업이 학생의 과학긍정경험에 미치는 영향 및 관련 교육과정 요소에 대한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2), 279-293. 

  3. 곽영순(2017). TIMSS 2015 중학교 2학년 지구과학 영역에 대한 우리나라 학생들의 성취 특성 및 교육과정 연계성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1), 9-16. 

  4. 곽영순, 신영준, 강훈식, 이수영, 이성희(2019). 학생들의 과학긍정경험에 영향을 주는 과학중점학교의 특성에 대한 질적 탐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9(4), 525-534. 

  5. 권치순, 허명, 양일호, 김영신(2004). 초.중.고 학생들의 과학 태도 변화에 대한 학습환경의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6), 1256-1271. 

  6. 김용성, 김남진, 이학준, 김용욱(2019). 보편적 학습설계 기반 과학수업이 중학생의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8(1), 49-78. 

  7. 김현리, 손준호(2022). 과학 탐구 기능을 강화한 수업이 중학생의 탐구 능력과 과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1), 1-15. 

  8. 김현정, 강훈식, 이재원, 김율, 정지현, 정은영, 윤혜경, 박지선, 이성희(2022). 우리나라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추이 및 하락 원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2), 215-226. 

  9. 김흥태(2015). 식물관찰 활동 및 관찰일지 쓰기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예비초등교사들의 반응 분석. 초등과학교육, 34(4), 458-475. 

  10. 문주영, 신영준(2018). 과학중심 STEAM 프로그램이 과학긍정 경험에 미치는 효과: 초등학교 과학 "지구와 달" 단원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42(2), 214-229. 

  11. 박영신, 정현철, 이기영(2011). 과학탐구의 "실행"능력 탐색하기: 과학영재학생 사례 중심으로. 한국지구과학학회지, 32(2), 224-238. 

  12. 서선진, 강훈식(2021). 초등 과학영재 학생의 과학긍정경험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경험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33-144. 

  13. 신영준,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 강훈식(2017). 과학긍정경험 지표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335-346. 

  14. 유미현, 박기수, 이정은(2020). 창의융합형 과학실 수업이 초등학생의 과학 긍정경험 및 리더십 특성에 미치는 영향. 현장과학교육, 14(3), 321-336. 

  15. 유은정, 김경화(2020). 미래학교의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긍정경험과 과학 학습자 정체성에 미치는 영향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41(2), 176-193. 

  16. 이용섭(2021). 온라인 과학수업에서 초등예비교사의 학습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2), 193-201. 

  17. 장명덕(2018).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55-62. 

  18. Ardura, D., Zamora, A., & Perez-Bitrian, A. (2021). The role of motivation on secondary school students' causal attributions to choose or abandon chemistry.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2(1), 43-61. 

  19. Avargil, S., Kohen, Z., & Dori, Y. J. (2020). Trends and perceptions of choosing chemistry as a major and a career. Chemistry Education Research and Practice, 21(2), 668-684. 

  20.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1. Denzin, N. K. (1978). The research act: A theoretical instruction to sociological methods (2nd ed.). New York: McGraw-Hill. 

  22. Jaber, L., & Hammer, D. (2016). Engaging in science: A feeling for the discipline. The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5(2), 156-202. 

  23. Nyberg, E., & Sanders, D. (2013). Drawing attention to the 'green side of life'. Journal of Biological Education, 48(3), 142-153. 

  24. Shirazi, S. (2017). Student experience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9(14), 1891-191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