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범죄 및 피해자 특성과 범죄피해 내용의 관계 탐색: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에 기초한 변인선택
An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victim characteristics and the victim's criminal damages: Variable selection based on random forest algorithm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법, v.13 no.2, 2022년, pp.121 - 145  

한유화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  이우열 (충북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범죄 및 피해자 특성과 범죄피해 내용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2010년부터 2018년까지 격년으로 수집된 전국범죄피해조사 자료에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적용하였다. 전체 자료 중 범죄피해경험이 있는 사례 및 관심 변인을 선별하여 분석자료를 구성하였으며, 총 3080건 자료의 성별, 연령(생애주기단계), 범죄유형, 가해자 면식여부, 반복피해 여부, 심리적 피해내용(우울함, 고립감, 극심한 두려움, 신체증상, 대인관계 문제, 사람을 피해 이사, 자살 충동, 자살 시도) 및 범죄피해 후 감정변화(자기보호 자신감, 자존감, 타인에 대한 신뢰감, 사법기관에 대한 신뢰감 및 사법제도와 법에 대한 존중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변인들이 분석자료에 포함되었다. 전통적 통계기법을 적용하기 어려운 자료의 특성을 고려하여, 본 연구는 범죄피해 내용(심리적 피해내용과 감정변화)을 이용하여 범죄 및 피해자 특성을 예측하기 위한 랜덤포레스트 알고리즘을 다섯 번 실행하고, VSURF 함수를 이용하여 범죄 및 피해자 특성을 잘 예측하는 범죄피해 내용 변인들을 선택하였다. 분석 결과, 범죄유형과 우울함, 극심한 두려움 및 신체증상의 관련성, 가해자 면식여부와 신체증상 및 대인관계 문제의 관련성, 반복피해 여부와 사법제도와 법에 대한 존중감 변화의 관련성이 확인되었다. 성별과 생애주기단계(청소년/성인/노인)는 각각 극심한 두려움과 자기보호 자신감 변화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나 의미를 부여하기 위해서는 추가적 경험자료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범죄피해평가제도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전문가 교육과정에 범죄 및 피해자 특성과 범죄피해 내용에 관한 지식과 사례교육의 제공 및 면담전략과 법률지식에 관한 교육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urrent study applied the random forest algorithm to Korean crime victim survey data collected biennially between 2010 and 2018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crime/victim characteristics and the victim's criminal damages. A total of 3,080 cases including gender, age (life cycle stage), typ...

주제어

표/그림 (4)

참고문헌 (59)

  1. 강지현 (2018). 개인범죄 반복피해의 영향요인과 피해후유증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학회보, 20(1), 3-32. 

  2. 경찰청 (2020). 전문가용 범죄피해평가 매뉴얼. 피해자보호담당관실. 

  3. 공정식 (2015). 강력범죄 사건이후 피해자들의 욕구와 지원에 관한 연구. 한국범죄학, 9(2), 103-149. 

  4. 김민영, 한민경, 박희정 (2019). 전국범죄피해조사 2018. 한국형사정책연구원. 

  5. 김상훈, 박노섭 (2017). 범죄피해 평가제도의 쟁점과 개선방안 연구. 경찰학연구, 17(4), 71-93. 

  6. 김성언 (2018). 범죄 피해와 범죄의 두려움이 삶의 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범죄학, 12(1), 55-80. 

  7. 김은경, 최수형, 박정선 (2009). 2008년 한국의 범죄피해에 관한 조사연구(VI). 한국형사정책연구원. 

  8. 김재희 (2013). 양형절차에서 피해자 진술권의 역할-형사소송법 제294조의 2를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21(1), 217-244. 

  9. 김지선 (2008). 피해자의견진술제도에 관한 연구.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0. 김지선, 김지영, 홍영오, 박미숙 (2006). 한국의 범죄피해에 대한 조사연구(V).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1. 김지영, 박지선, 이나림 (2016). 가해자-피해자 간 관계에 따른 강도범죄의 특성. 범죄수사학연구, 2(2), 25-49. 

  12. 김태경, 윤경희 (2016). 강력범죄피해자의 수사 절차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피해자학연구, 24(3), 5-40. 

  13. 박지선 (2015). 범죄피해 전문가 평가제도 도입을 위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14. 배지연, 김원형, 윤경아 (2005). 노인의 우울 및 자살생각에 있어서 사회적지지의 완충효과. 한국노인학, 25(3), 59-73. 

  15. 손문숙, 조재연 (2016). 데이트폭력 피해 실태조사 결과와 과제. 한국여성의 전화 보고서, 1-39. 

  16. 송숙형, 김신형, 정영기, 신윤미 (2008). 소아·청소년 성폭력 피해의 실태: 원스톱 지원센터 대상자를 중심으로.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9(3), 162-167. 

  17. 신민섭, 오경자, 홍강의, 김혜숙 (2004). 가정폭력이 배우자 및 자녀의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3(3), 611-636. 

  18. 오정용, 성소영 (2021). 성별에 따른 범죄피해자 현황 및 개선방안-남성피해자를 중심으로. 인문사회 21, 12(4), 349-358. 

  19. 유한나, 박명호, 곽봉화, 이향숙, 장경국, 이혁진, 최진이, 이주영 (2019). 범죄 피해자의 급성 스트레스가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성별에 따른 정서조절곤란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법, 10(1), 1-28. 

  20. 윤상연, 김영수 (2022). 범죄피해평가의 형사사법절차상 효과 분석: 판례분석을 중심으로. 피해자학연구, 30(1), 43-65. 

  21. 이미선 (2020). 지적장애인 성폭력 사건 특성과 법원의 판단. 한국심리학회지: 법, 11(2), 211-239. 

  22. 이석재, 최상진 (2001). 강간통념수용도에 따른 성행동, 성폭력 및 성폭행사건 지각.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1), 97-116. 

  23. 이정원 (2018). 경찰청 범죄피해 평가제도에 대한 평가와 향후전망. 피해자학연구, 26(3), 5-42. 

  24. 이혜진, 조윤오 (2021). 범죄피해자 지원 유형과 특성이 폭력범죄 피해자의 심리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 피해자학연구, 29(2) 221-242. 

  25. 정혜원, 정요한 (2018). 경기도 데이트폭력 실태에 관한 연구. (재)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26. 조은경, 박지선 (2020). 강간과 폭행 사건에서 피해자 비난의 차이: 양가적 성차별의식과 대인 폭력 허용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4(1), 45-66. 

  27. 조중엽, 정혜민, 노성훈 (2019). 아동·청소년의 단발성 폭력피해와 반복적 폭력피해의 영향요인: 기회이론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3(2), 57-72. 

  28. 최수형, 김지영, 황지태, 박희정 (2015). 전국범죄피해조사 2014. 한국형사정책연구원. 

  29. 탁종연 (2010). 범죄피해자의 신고 결정요인 분석: 절도와 사기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1(3), 54-75. 

  30. 허경미 (2004). 노인의 범죄피해 특징 및 대책에 관한 연구.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7, 423-452. 

  31. 조은경, 최이문, 한유화 (2022). 국민안전 관련 과학수사와 법심리학적 과제. In 김한균, 이승현, 이경렬, 김대원, 박웅신, 김기범, 권양섭, 주문호, 신수민, 김면기, 박원규, 염윤호, 조은경, 최이문, 한유화 (공저), 첨단과학수사 정책 및 포렌식 기법 종합발전방안 연구(IV) (pp. 691-856).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 

  32. 홍기혜 (2020). 랜덤포레스트 머신러닝 알고리즘 기반 남여 청소년의 자살생각 예측 및 분석. 한국사회복지학, 72(3), 157-180. 

  33. Baumer, E. P., & Lauritsen, J. L. (2010). Reporting crime to the police, 1973-2005: a multivariate analysis of long term trends in the National Crime Survey (NCS) and National Crime Victimization Survey (NCVS). Criminology, 48(1), 131-185. 

  34. Bieneck, S., & Krahe, B. (2011). Blaming the victim and exonerating the perpetrator in cases of rape and robbery: Is there a double standard?.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6(9), 1785-1797. 

  35. Breiman, L. (2001). Random forests. Machine Learning, 45, 5-32. 

  36. Breslau, N., Davis, G. C., Andreski, P., & Peterson, E. (1991). Traumatic events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an urban population of young adults.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48(3), 216-222. 

  37. Breslau, N., Davis, G. C., Andreski, P., Peterson, E. L., & Schultz, L. R. (1997). Sex differences i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4(11), 1044-1048. 

  38. Browne, A. (1987). When battered women kill. Macmillan/Free Press. 

  39. Dutton, M. A. & Goodman, L. A. (1994).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battered women: Analysis of legal implications. Behavioral sciences & the law, 12(3), 215-234. 

  40. Felson, R. B. & Palmore, C. (2018). Biases in blaming victims of rape and other crime. Psychology of Violence, 8(3), 390-399. 

  41. Galovski, T. E., Mott, J., Young-Xu, Y., & Resick, P. A. (2011). Gender differences in the clinical presentation of PTSD and its concomitants in survivors of interpersonal assault. Journal of Interpersonal Violence, 26(4), 789-806. 

  42. Genuer, R., Poggi J.-M., & Tuleau-Malot, C. (2015). VSURF: An R package for variable selection using random forests. The R Journal, 7, 19-33. 

  43. Gilboa-Schechtman, E., & Foa, E. B. (2001). Patterns of recovery after trauma: The use of inter-individual analysi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0, 392-400. 

  44. Hastie, T., Tibshirani, & Friedman, J. H. (2001). The elements of statistical learning. Springer-Verlag. 

  45. Hollway, J. (2018). Legal optimism: Restoring trust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through procedural justice. positive psychology and just culture event reviews. Master of Applied Positive Psychology (MAPP) Capstone Projects. Retrieved from https://repository.upenn.edu/mapp_capstone/151 

  46. Janitza, S. & Hormung, R. (2018). On the overstimation of random forest's out-of-bag error. Plos ONE, 13(8): e021904. 

  47. Janoff-Bulman, R., & Morgan, H. J. (1994). Victims' Responses to traumatic life events: An unjust world or an uncaring world? Social Justice Research, 7(1), 47-68. 

  48. Lauritsen, J. L., & Davis Quinet, K. F. (1995). Repeat victimization among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Journal of Quantitative Criminology, 11(2), 143-166. 

  49. Liaw A. & Wiener M. (2002).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by randomForest. R News, 2(3), 18-22. 

  50. Maguire, M. (1991). The needs and rights of victims of crime. Crime and justice, 14, 363-433. 

  51. Norris, F. H., Kaniasty, K., & Thompson, M. P. (1997).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of crime: Findings from a longitudinal population-based study. In R. C. Davis, A. J. Lurigio, & W. G. Skogan (Eds.), Victims of crime (pp. 146-166). Sage Publications, Inc. 

  52. Ramos, B. M., Carlson, B. E., & McNutt, L. A. (2004). Lifetime abuse, mental health, and African American women. Journal of Family Violence, 19(3), 153-164. 

  53. Resick, P. A. (1987). Psychological effects of victimization: Implications for the criminal justice system. Crime & delinquency, 33(4), 468-478. 

  54. Shapland, J., Willmore, J., & Duff, P. (1985). Victim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Aldershot: Gower. 

  55. Speiser, J. L. Miller, M. E., & Tooze, J., & Ip, E. (2019). A comparison of random forest variable selection methods for classification prediction modeling.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134, 93-101. 

  56. Titus, R. M., & Gover, A. R. (2001). Personal fraud: The victims and the scams. Crime prevention studies, 12, 133-152. 

  57. van Dijk, J. J. (2001). Attitudes of victims and repeat victims toward the police: Results of the International Crime Victims Survey. In R. V. Clarke (ed), Crime prevention studies, 12, 27-52. 

  58. Walsh, M.E. & D.D. Schram (1980). Victims of White-Collar CrimeAccuser or Accused?. In G.-Geis and E, Stotland (eds.), White-Collar Crime-Theory and Research. Newbury Park, CA: Sage. 

  59. Wemmers, J. A. M. (1996). Victims in the criminal justice system. Kugler Publication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