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자연성기반기술의 홍수완충구간 조성을 위한 입지 선정 방법에 관한 연구 - 대청댐 상류부터 용담댐 하류구간 사례 연구
A Study on the Site Selection Method for the Creation of a Flood Buffer Section Considering the Nature-based Solution - Case Study from Upstream of Daecheong Dam to Downstream of Yongdam Dam 원문보기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v.9 no.3, 2022년, pp.131 - 140  

지운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  장은경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  배인혁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건설환경공학) ,  안명희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수자원하천연구본부) ,  배준 ((주)이산 수자원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최근 하천에서 극한 홍수 발생 크기와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따라서 기존의 관측 기록에 의존한 홍수관리 및 하천설계 방식의 한계를 개선하기 위해 자연성 기반의 기술을 접목한 다목적 홍수 관리 기법이 도입되는 추세이다. 이러한 극한 홍수에 대비하기 위한 자연성 기반 해법 중에는 제방을 후퇴하여 홍수터를 확장하고 극한 홍수 발생시에 홍수피해를 저감 시키는 방법이 있다. 이러한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홍수피해 저감 효과, 지속가능한 생태환경, 하천 연결성 및 하도의 물리적 구조 개선 등의 다양한 평가항목에 기초한 적합한 입지 선정 방법을 채택하는 것이 우선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청댐 상류부터 용담댐 하류 지역내 하천 수변구역을 대상으로 객관성이 확보된 입지 선정 방법을 적용하여 다기능 홍수터 조성 사업을 위한 후보지의 적정성을 판단하였다. 최종 입지 판정 결과, 홍수피해 저감과 수환경 개선을 모두 고려한 최적의 입지 우선순위에 동대제 구간과 저곡제 구간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magnitude and frequency of extreme floods are increasing owing to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Therefore, multipurpose flood management techniques incorporating nature-based solutions have been introduced to mitigate the limitations of flood management and river design methods relying on exist...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1)

  1. Cho, D.G. 2011. Ecological restoration planning and designing. NEXUS Environmental design centre, Seoul. (in Korean) 

  2. European Commission. (EC) 2013. Building a green infrastructure for Europe. European Union, Luxembourg. 

  3.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2018. The 3rd Basic Planning for Geum River Watershed Riparian Waterfront Area Management.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p.82. (in Korean) 

  4. Ji, U, Jang, E-, Ahn, M., and Bae, I. 2021. Valuation of Flow Resistance Coefficient based on Physical Properties of Vegetation in Floodplains and Numerical Simulation of the Changes in Flow Characteristics.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8(4): 212-222. (in Korean) 

  5. Kim, G.-H. 2019. Technical Report for Establishing a Basic Plan for Restoration of River Space. River Restoration Program towards Coexistence between Nature and Human (Green River Research Center), No. 1,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Water Management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12 Technology Innovation C0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Korea Agency for Infrastructure Technology Advancement p.255. (in Korean) 

  6. Korea Institute of Civil Engineering and Building Technology. (KICT) 2021. Fundamental Investigation Study on Floodplains to Improve Water Environment of Daecheong Dam - Establishment of the floodplain restoration plans of nature-based solutions linking the Geum River's riparian section and stream channel. Final Report for 2021 Geum River Watershed Environmental Basic Investigation Project. Geum River Watershed Management Committee, Daejeon. (in Korean) 

  7.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18. Basic plan for management of the waterfront area in Geumgang watershed : 2019-2023, Ministry of Environment, Sejoung-si. 

  8. Ministry of the Environment (MOE) (Government of Japan). 2016. Ecosystem-Based Disaster Risk Reduction in Japan: A Handbook for Practitioners. Nature Conservation Bureau, Ministry of the Environment, Tokyo. 

  9. Shim, Y-., Cha, J-., Park, Y-., Lee, D-., Seo, Y.-H., Hong, J.-P., and Cho, D.-G. 2014. A Study on the Land Purchase Priority Measurement of the Riparian Areas in Yeongsan and Seomjin River 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7(1): 173-184. (in Korean) 

  10. Woo, H. and Han, S-.W. 2020. Typological System of Nature-based Solutions and Its Similar Concepts on Water Management.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7(1): 15-25. (in Korean) 

  11. World Bank. 2008. Biodiversity, Climate Change, and Adaptation: Nature-based Solutions from the World Bank Portfolio. World Bank, Washington, DC.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