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블렌디드 수업 평가준거 타당성 연구: 공학계열 대학을 중심으로
A Validation Study of Evaluation on Blended Learning in the post-Corona era: A Case Study Engineering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5 no.5, 2022년, pp.75 - 84  

배윤희 (한국공학대학교 메타버시티혁신센터) ,  원용호 (한양대학교 교육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e post-Corona era, blended learning will be one of the most important instructional strategies for successfu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instrument developed in the instructional aspect so that a successful blended learning can take place....

주제어

참고문헌 (55)

  1. 강지혜.손복은(2021). 대학 교양 교육과정 질 관리를 위한 평가준거개발 연구. 교양교육연구, 15, 309-324. 

  2. 고은미.이희경.한은옥(2013), 전문대학 수업유형별 강의평가도구 개발 연구. 인문학논총, 31, 365-394. 

  3. 교육부(2021). 일반대학의 원격수업 운영에 관한 훈령(제367호, 2021.02.15.). 

  4. 김계수(2007). (New Amos 7.0)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서울: 한나래출판사. 

  5. 김계수(2008). 인과분석 연구방법론. 서울: 도서출판청람. 

  6. 김동심.이명화(2019). 고등교육 교수자의 온라인교육 인식: 대학을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3),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845-867. 

  7. 김성길(2022). 배움의 일상성 탐구: 개조의 일상, 일상의 개조. 미래교육연구, 12(1), 27-41.7. 

  8. 김정겸(2017). 대학강의 평가도구 개발.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18(6), 187-196. 

  9. 김진희(2018). 블렌디드 러닝을 활용한 뷰티스타일링 수업 설계 및 효과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대학원. 

  10. 노경섭(2019). 제대로 알고 쓰는 논문 통계분석 : SPSS & AMOS. 한빛아카데미. 

  11. 도재우(2020). 면대면 수업의 온라인 수업 전환과정에서 발생하는 설계 장애물에 대한 탐색. 교육문화연구, 26(2), 153-173. http://dx.doi.org/10.24159/joec.2020.26.2.153 

  12. 민혜리(2016). 수업에 대한 교수의 자기평가와 학생평가의 비교를 통한 공과대학 수업개선방안 연구. 공학교육연구, 19(3), 35-43. 

  13. 박찬정.임화경.지은림(2002). 웹을 기반으로 하는 수업에서 강의 평가를 위한 문항 분석.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5(2), 61-68. 

  14. 손지희(2020). 코로나19 이후 한국교육시스템. 진보평론, 84, 74-93. 

  15. 송해덕.이예찬(2020). 비대면 대학강의평가 영역 및 문항 탐색 연구. Global Creative Leader: Education & Learning, 10 (4), 245-273. 

  16. 신승현.심지현(2018). 기업 스마트러닝 강의평가 도구개발 및 타당화 연구. 기업교육과 인재연구, 20(1), 59-82. 

  17. 신종호.송하석(2022). 포스트코로나 시대, 기초교양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방법 고찰. 교양교육연구, 16, 117-130. 

  18. 신혜영(2020). 만1세 맞벌이 아버지, 어머니 동반참여 블렌디드 러닝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박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대학원. 

  19. 이헌수(2020). 대학 원격수업에 대한 교수자와 학습자의 인식: M 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3(3), 377-395. http://doi.org/10.30807/ksms.2020.23.3.007 

  20. 이혜정.송종숙.이수정(2021). 학습자 중심 수업 학생 만족도 문항 타당성 검토 결과보고서. 한국산업기술대학교. 

  21. 장경원(2011). 대학교육을 위한 Action Learning 프로그램 설계모형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7(3), 475-505. 

  22. 정향기(2020). 코로나19 상황의 대학교육에 있어서 전면적 온라인 수업 실행 및 평가에 대한 학습자 만족도. Multimedia- Assisted Language Learning, 23(3), 392-412. http://doi.org/10.15702/mall.2020.23.3.392 

  23. 정희연.윤지원(2020). 한국어 온라인 동영상 수업에 대한 학습자인식 조사 연구. 인문사회21, 11(3), 1305-1318. http://dx.doi.org/10.22143/HSS21.11.3.93 

  24. 조인옥(2020). 비대면 실시간 온라인 한국어 수업의 운영 사례와 개선 방향: 한국어 교육기관의 전면적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58, 241-265. https://doi.org/10.21716/TKFL.58.9 

  25. 주영주 외(2007). 공무원 사이버 강좌 만족도 평가를 위한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과학연구, 38(3), 75-91. 

  26. 채경희(2015). 블렌디드 일본어교육현장에서의 교수자의 역할. 일본어교육연구, 0(32), 227-239. 

  27. 한송이.임은선.신윤미(2022). 실시간 원격교육 강의평가 문항 개발 연구: A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문화와융합, 44(7), 137-154. 

  28. 한윤영.김은경(2019). 학습자 중심 수업 척도 개발 및 타당화.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3), 381-397. 

  29. 홍세희(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 (1), 161-177. 

  30. 홍예윤.임연욱(2018). 고등수학교육에서 스마트러닝을 통한 교육환경 및 학습자 역량의 확장. 한국 디지털정책학회논문지 16(7), 213-222. 

  31. 홍효정(2016). 블렌디드 러닝(Blended Learning)을 위한 대학 수자의 교수역량 도출 및 진단도구 개발. 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 

  32. AlKhaleel, A.(2019). The advantages of using blended learning in study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at the University of Tabuk. Modern Journal of Language Teaching Methods (MJLTM), 9(2), 1-7. 

  33. Browne, M. W. & Cudeck, R.(1992).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ociological methods & research, 21(2), 230-258. 

  34. Cronbach, L. J.(1951). Coefficient alpha a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ests. Psychometrika, 16(3), 297-334. 

  35. Dunleavy, G. et al.(2019). Mobile digital education for health professions: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y the digital health education collaboration. Journal of medical Internet research, 21(2), e12937. 

  36. Eidelman, R. R., Rosenberg, J. M., & Shwartz, Y.(2019). Assessing the interaction between Self-Regulated Learning (SRL) profiles and actual learning in the Chemistry Online Blended Learning Environment (COBLE). In Learning technologies for transforming large-scal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pp. 231-255). Springer, Cham. 

  37. Eom, S. B., & Ashill, N.(2016). The determinants of students' perceived learning outcomes and satisfaction in university online education: An update. Decision Sciences Journal of Innovative Education, 14(2), 185-215. 

  38. Fedynich, L., Bradley, K. S., & Bradley, J.(2015). Graduate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Learning.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Journal, 27. 1-13. 

  39. Fornell, C., & Larker, D. F.(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1), 39-50. 

  40. Hair, J. F. et al.(2019). Multivariate data analysis(8th ed.). Cengage. 

  41. Harroff, P., & Valentine, T.(2006). Dimensions of program quality in web-based adult educa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20(1), 7-22.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2001_2 

  42. Ilgaz, H., & Gulbahar, Y.(2015). A snapshot of online learners: e-Readiness, e-Satisfaction and expectations. The International Review of Research in Open and Distributed Learning, 16(2). 171-187. 

  43. Khan, B. H.(2004). E-learning stratigies. 강명희 이미화 송상호 역(2004). 이러닝 성공전략. 고양: 서현사. 

  44. Kim. J.(2020). Teaching and learning after COVID-19. Learning Innovation. https://www. insidehighered.com/ digital-learning/blogs/learning-innovation/teaching-and-learning-aftercovid-19 

  45. Kline, R. B.(2016).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4th ed.). NY: The guilford press. 

  46. Mantyla, K.(2001). Blending e-learning: The power is in the mix. American Society for Training & Development. Alexandria, VA: ASTD. 

  47. Megahed, N., & Ghoneim, E.(2022). Blended learning: the new normal for post-Covid-19 pedagogy.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and Blended Learning (IJMBL), 14(1), 1-15. 

  48. Porter, W. W. et al.(2014). Blended learning in higher education: Institutional adoption and implementation. Computers & Education, 75, 85-195. https://doi.org/10.1016/j.compedu.2014.02.011 

  49. Ralston-Berg, P. et al.(2015). Students' perceptions of online course quality: How do they measure up to the research?. Journal of Online Learning Research and Practice, 4(1), 38-55. 

  50. Rosenberg, M.(2000). e-Learning. 유영만 역(2001). 디지털 시대의 지식 확산 전략. 서울: 도성 출판사 물푸레. 

  51. Shaid, N. A. N., Kamruzaman, F. M., & Sulaiman, N. A.(2021). Online Learning during Ongoing Covid-19 Pandemic: A Survey of Students' Satisfa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Academic Research in Business and Social Sciences, 11(7), 924-37. 

  52. Singh, H., & Reed, C.(2001). A white paper: Achieving success with blended learning. Centra software, 1, 1-11. 

  53. Stewart, I., Hong, E., & Strudler, N.(2004).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instrument for student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web-based Instruction.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8(3), 131-150.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1803_2' 

  54. Peimani, N., & Kamalipour, H.(2021). Online education and the COVID-19 outbreak: A case study of online teaching during lockdown. Education Sciences, 11(2), 72. 

  55. Wargo, E., & d'Alene, C.(2020). Intertwined higher education places and spaces. Journal for the study of postsecondary and tertiary education, 5, 79-84.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