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매체이론적 관점에서 보는 디지털 인식론과 기독교교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igital Epistemology and Christian Education based on Media Theory 원문보기

기독교교육 논총 =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v.71, 2022년, pp.23 - 59  

양금희 (장로회신학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논문은 디지털 인식론이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탐구하였다. 한 시대의 매체는 그 시대 인식의 유형과 형태를 결정하고, 이것은 결국 그 시대의 기독교교육의 방향에도 결정적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 논문은 세 부분으로 이루어지는데, 첫째 매체와 인식론과의 관계에 대한 탐구, 둘째 디지털 인식론에 대한 탐구, 그리고 셋째 디지털 인식론이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구이다. 이 논문은 먼저 맥루언의 매체이론의 관점에서 매체가 단순히 오감의 확장을 넘어서서 새로운 환경과 삶의 양식을 만드는 것을 통해 우리의 인식을 변화시킨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인식론을 인쇄매체 시대의 전통적 인식론과의 비교를 통해서 4가지로 정리하였는바, "언어적 인식에서 전감각적 인식에로", "인과관계에서 관계성에로", "역사적 사고에서 탈역사적 사고에로", 그리고 "해석적 인식에서 수행적 인식에로"의 인식에 있어서의 패러다임 변화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이 논문은 디지털 인식론, 즉 전감각적인식, 관계적 인식, 탈역사적 인식 그리고 수행적 인식이 기독교교육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고찰을 통해 본고는 디지털 매체가 기독교교육의 본질에 순기능적으로도, 역기능적으로도 작용할 수 있음을 발견하였고, 결국 디지털 시대가 기독교교육에 역기능이기보다는 순기능이 되고, 도전이기보다는 기회가 되도록 하는 것이야말로 디지털 시대의 기독교교육에게 주어진 과제라고 하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explored the effect of digital epistemology on Christian education. The media of an era determines the type and form of the epistemology of that era, which in turn has a decisive influence on the direction of Christian education in that era. Therefore, it consists of three parts. First, a...

주제어

참고문헌 (38)

  1. Kim. M. S. (2017). An Environmental Philosophical Study on Changes inhuman perception method by Environment Created by Modern Media Technology, Environmental Philosophy, 23, 5-35 

  2. Sim. H. R. (2012) 20th Century Media Philosophy: From Analog to Digital. Seoul: Greenby 

  3. Yang. K. H. (2018). AI's Epistemological Problems and Christian Education, Theological Thought, 183, 165-197. 

  4. Yang. K.H. (2021) A Study on Spiritual Teaching in the Age of AI : Focused on "Contemplative Pedagogy". Journal of Christian Education in Korea, 66, 11-48 

  5. Won. M. H. (2002). Media and Perception: A Philosophical Commentary on Marshall McLuhan's Media Theory, Philosophical Analysis, 5, 135-155 

  6. Acceleration Studies Foundation(ASF) (2007). "Metaverse Roadmap, Pathway to the 3D Web", http://www.metaverseroadmap.org/MetaverseRoadmapOverview.pdf 

  7. Bartholomew, C. G. & M. W. Goheen (2004). The Drama of Scripture: Finding our place in the biblical Story, Grand Rapids: Baker. 

  8. Bolla, P. (2014). Digital Knowledge: Format, Scale, and the Information-knowledge Parallax at the Total Knowledge Horizon A Reply to - Alan Liu, https://liu.english.ucsb.edu/peter-de-bolla-reply-to-alan-lius-theses-on-the-epistemology-of-the-digital/ 

  9. Cambridge Dictionary, "digital" https://dictionary.cambridge.org/dictionary/english/digital 

  10. Carrozza, C., & Andrea, G. (2016). Performing digital ways of knowing: epistemic walks with methods-as-prototypes, Graduate Journal of Social Science April, 12, 58-76. 

  11. Castells, M. (2000).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y. Oxford: Blackwell. 

  12. Ernst, W. (2022). 미디어 고고학의 눈으로 디지털 비디오 아카이브를 바라보기, https://njp.ggcf.kr/wp-content/uploads/2022/05/4_6_%EB%B3%BC%ED%94%84%EA% 

  13. Flusser, V. (1987). Die Schrift: Hat Schreiben Zukunft? Goettingen: Immatrix Publ. 윤종석역(1998) 「디지털시대의 글쓰기: 글쓰기에 미래는 있는가」 문예출판사. 

  14. Flusser, V. (1996a) Kommunikologie, Mannheim, Bollmann, 김성재역, (2001) 「코무니콜로기」 커뮤니케이션북스. 

  15. Flusser, V. (1996b) Die Revolution der Bilder, Mannheim: Bollmann, 김현진역 (2004) 「그림의 혁명」 커뮤니케이션북스. 

  16. Flusser, V. (1997). Fuer eine Philosophie der Fotografie, Goettingen: Europen Photography, 윤종석 역 (1999). 「사진의 철학을 위하여」, 커뮤니케이션북스. 

  17. Hansen, M. B. N. (2006). Bodies in Code: Interfaces with Digital Media. New York and London: Routledge. 

  18. Harris, M. (1989). Fashion me a people. Louisville, Kentucky: John Knox Press. 

  19. Heim, M. R. (1999). Transmogrification, https://anyflip.com/tjtz/nhfc/basic 

  20. Ingvarsson, J. (2018). Towards a digital epistemology, conferenceproceeding, 8. 24. https://scalar.usc.edu/works/cherchez-le-texte-proceedings-of-the-elo-2013-conference/towards-a-digital-epistemology 

  21. Ingvarsson, J. (2021). Towards a Digital Epistemology Aesthetics and Modes of Thought in Early Modernity and the Present Age, Switzerland: Palgrave Macmillan. 

  22. Lankshear, C. (2003). The Challenge of Digital Epistemologies. Education, Communication & Information, 3, 167-186. 

  23. Liu, A. (2014). Theses on the Epistemology of the Digital: Advice for the Cambridge Centre for Digital Knowledge. http://liu.english.ucsb.edu/theses-on-the-epistemology-of-the-digital-page. 

  24. Liu, A. (2018). Friending the Past: The Sense of History in the Digital Age. Chicago/London: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5. Lyotard, J. F. (1984). The Postmodern Condition: A Report on Knowledge. Trans. Geoff Bennington and Brian Massumi.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6. Lyotard, J. F. (1993). Political Writings. Trans. Bill Readings and Kevin Paul Geison.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27. McLuhan, M. (1962). The Gutenberg Galaxy. 임상원 (역) (2001). 「구텐베르크 은하계」.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8. McLuhan, M. (1964). Understanding Media: The Extensions Of Man. 박정규 (역) (2001). 「미디어의 이해: 인간의 확장」.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29. McLuhan, M. & Fiore, Q. (1967). The medium is the massage. A Benthm Bbook. 

  30. McLuhan, M. & Powers, B. R. (1988). The Global Village. 박기순 (역) (2005). 「지구촌: 21세기 인류의 삶과 미디어의 변화」.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31. MaLuhan & Leonard, G. B. (1967). "The Future of Education: The Class of 1989", Look, Feb. 21, 23-25. 

  32. Merriam-Webster, "digital",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digital 

  33. Moore, M.E. (1983). Education for Continuity & Change, New Model for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Nashville: Abingdon Press, 이정근, 박혜성역, (1991) 기독교교육의 새로운 모형. 대한기독교교육협회. 

  34. O'Gorman, Marcel (2006). E-Crit: Digital Media, Critical Theory and the Humanities. Toronto: University of Toronto Press. 

  35. Richardson, I & Harper, C. (2002) "Corporeal Virtuality: The Impossibility of a Fleshless Ontology" Virtual/Informational/Digital, Murdoch University. Centre for Research in Culture and Communication, https://researchrepository.murdoch.edu.au/id/eprint/11765/1/Corporeal_Virtuality.pdf 

  36. Strate, L. (2012), The Medium and McLuhan's Message, AZON Y PALABA 80, 

  37. Surkau, H. W. (1986). "Katechismus", Die Religion in Geschichte und Gegenwart 3. Auflage, Tuebingen, Mohr Verlag, 1179-1188. 

  38. Virilio, P. (1995). La Vitesse de liberation, Paris: Galilee, 배영달역 (2006) 「탈출속도」. 경성대학교출판부.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