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물순환 회복을 위한 우선관리유역 선정 방안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on of priority management watershed for the restoration of water cycle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5 no.10, 2022년, pp.749 - 759  

김재문 (부산대학교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  백종석 (한국수자원조사기술원 첨단인프라실) ,  박재록 (부산대학교 녹색국토물관리연구소) ,  박병우 (한국수자원공사 인재개발원) ,  신현석 (부산대학교 건설융합부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 현상 증가와 도시화로 인한 불투수면의 증가로 인해 유역 물순환 관리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외에서는 물순환 왜곡현상을 억제해 줄 수 있는 저영향개발기술을 기반으로 연구가 지속적으로 진행중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영향개발 적용을 하기에 앞서 물순환 왜곡현상을 반영할 수 있는 요소 P, S, R값을 산정하여, 낙동강 유역을 대상으로 148 소유역별 PSR 지수를 산정하였다. PSR지수는 토지피복도 1975년을 기준으로 2019년 현재까지의 불투수면 변화율을 나타내는 압력지수 P, 기준에서 현재까지 각 소유역별 물순환 변화율을 나타내는 현상지수 S, 현시점에서 저영향개발 적용가능 면적 대책지수 R을 산정하여, 표준거리 d값 산정을 통해 PSR지수를 산정한다. PSR 지수값이 낮을수록 우선 관리 유역에 해당하며, 물순환 회복 우선 관리 유역으로는 1(서낙동강A), 2(낙동강하구언), 87(신천하류), 90(금호강하류), 91(진천천), 147(서낙동강B) 등 순으로 산정되었다. 대권역내 소유역별 물순환 우선관리 순서에 따라 효율적으로 저영향개발요소를 적용하면 물순환 왜곡현상 회복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aradigm of water cycle management in the watershed is changing due to the increase in abnormal climate phenomena caused by climate change and the increase in impervious area due to urbanization. Research is continuously underway based on Low Impact Development technology that can suppress water...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8)

  1. Choi, H.I., Park, S.Y., Song, J.H., and Park, M.J. (2013). "Identification of flood risk areas using a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2, pp. 237-243. 

  2. Choi, H.J. (2005). "An application of PSR (Pressure-State-Response) framework to tidal flats classification management." Journal of Korean Wetlands Society, Vol. 7, No. 2, pp. 133-144. 

  3. Choi, S.J., Lee, D.R., Moon, J.W., Kang, S.K., and Yang, S.H. (2011). "Development of the integrated water resources index based on characteristic of indicators."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p. 456. 

  4. Donigian, A.S., Jr. (2000). Lecture 19: Calibration and verification issues, Slide L19-22. HSPF training workshop handbook and CD. Presented and prepared for the U.S. EPA Office of Water and Office of Science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U.S. 

  5. Engelmann, C.J.K., Ward, A.D., Christy, A.D., and Bair, E.S. (2002). "Application of the BASINS database and NPSM model on a small Ohio watershed."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8, No. 1, pp. 289-300. 

  6.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2007). "Climate change, the physical science basis." Contributions of working group I to the fourth assessment report of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Edited by Solomon, S., Qin, D., Manning, M., Chen, Z., Marquis, M., Averyt, B., Tignor, M., Miller, H.L.,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and New York, NY, U.S., p. 996. 

  7. Jang, J.H., Yoon, C.G., Jung, K.W., and Kwon, S.Y. (2009). "Decision of critical area due to NPS pollutant loadings from Kyongan stream watershed using BASIN-SWA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 51, No. 5, pp. 69-78. 

  8. Kim, E.S., Sim, K.B., Jung, G.H., Nam, Y.K., and Choi, H.I. (2014). "Lake environmental risk index using PSR f ramework."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4, No. 2, pp. 317-326. 

  9. Kim, J.H., and Kwon, T.J. (2014). "Development of public facility design in consideration of heavy rainfall disaste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KOSHAM, Vol. 13, p. 80. 

  10. Laroche, A.M., Gallichand, J., Lagace, R., and Pesant, A., (1996). "Simulating atrazine transport with HSPF in an agricultural watershed."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Vol. 122, No. 7, pp. 622-630. 

  11. Lee, K.S., Cung, E.S., Shim, M.J., and Kim, Y.O. (2006). "Sustainable water resources planning to prevent streamflow Depletion in an urban watershed: 2. applic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39, No. 11, pp. 947-960. 

  12. Lim, K.S., Choi, S.J., Lee, D.R., and Moon, J.W. (2010). "Development of flood risk index using causal relationships of Flood Indicato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Vol. 30, No. 1B, pp. 61-70. 

  13. Ministry of Environment (ME) (2020). Manual for setting and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facilities. Publication No. 11-1480000-001700-14, pp. 42-174. 

  14.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1991). Environmental indicators, a preliminary set. Paris, France. 

  15. Park, M.J., Song, Y.S., Joo, J.G., and Park, M.K. (2013). "A study on urban flood vulnerability assessme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3, No. 5, pp. 297-305. 

  16. Ribarova, I., Ninov, P., and Cooper, D., (2008). "Modeling nutrient pollution during a first flood event using HSPF software: Iskar River case study." Bulgaria, Ecological Modelling, Vol. 211, No. 1-2, pp. 241-246. 

  17. Shin, A.H. (2008). A study on the dam simulation and non-point pollution reduction in Chungju Dam basin using BASINS/WinHSPF. Mater Thesis, Konkuk University. 

  18. Singh, J., Knapp, H.V., and Demissie, M. (2005). "Hydrologic modeling of the Iroquois River watershed using HSPF and SWAT." Journal of the American Water Resources Association, Vol. 42, No. 2, pp. 343-36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