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짐바르도 시간관과 삶의 만족도가 기관 SNS 태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Zimbardo's Time Perspective and Life Satisfaction on Organizational SNS Attitude and Word-of-Mouth Effect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2 no.10, 2022년, pp.114 - 131  

이진균 (홍익대학교 광고홍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SNS를 통한 정부 중앙 부처 및 공공기관의 효과적인 대국민 소통이 나날이 중요해지는 현 시점에서 본 연구는 이들 기관 임직원의 시간관과 삶의 만족도가 기관 운영 SNS 태도 및 구전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 보았다. 본 연구는 총 136명의 현직 임직원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로 과거긍정적, 현재쾌락적, 미래지향적 시간관은 삶의 만족도와 기관 SNS 태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과거부정적 시간관은 삶의 만족도에만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현재운명론적 시간관은 삶의 만족도와 SNS 태도에 부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삶의 만족도는 기관 SNS 태도를 통해 구전효과에 순차적으로 정적 영향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는 정부 중앙 부처 및 공공기관 임직원의 시간관 및 삶의 만족도가 기관 SNS 태도 및 구전효과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밝힘으로써 대국민 소통 및 내부 커뮤니케이션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이론적, 실무적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mpact of time perspective and life satisfaction of government and public institution employees on organizational SNS attitude and word-of-mouth effect. A total of 136 incumbent employees participated in this online survey. It was found that past-positive, pr...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80)

  1. 인사혁신처, 디지털 시대, 대국민 소통 역량 강화 필수, 보도자료, 2021. 

  2.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골라보는 정책소셜홈, 2021. https://www.korea.kr/etc/deptSns.do 

  3. 이광훈, "시간 관점으로 본 조직이론-시간조직론정립을 위한 탐색적 서설," 정부와 정책, 제9권, 제1호, pp.23-41, 2016. 

  4. 임도빈, "시간길이와 부처조직운영에 관한 연구: 정통부와 농림부의 비교," 한국행정학보, 제37권, 제4호, pp.79-102, 2003. 

  5. L. A. Zampetakis, N. Bouranta, and V. S. Moustak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 Creativity and Time Management," Thinking Skills and Creativity, Vol.5, No.1, pp.23-32, 2010. 

  6. M. I. Hwang, "Decision Making under Time Pressure: A Model for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Information & Management, Vol.27, No.4, pp.197-203, 1994. 

  7. U. Akirmak and P. Ayla, "How Is Time Perspective Related to Burnout and Job Satisfaction? A Conservation of Resources Perspectiv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181, 109667, 2021. 

  8. K. Wojtkowska, M. Stolarski, and G. Matthews, "Time for Work: Analyzing the Role of Time Perspectives in Work Attitudes and Behaviors," Current Psychology, Vol.40, No.12, pp.5972-5983, 2021. 

  9. 김범준, "시간관과 행복,"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제28권, 제1호, pp.49-6, 2014. 

  10. J. W. Zhang, R. T. Howell, and M. Stolarski, "Comparing Three Methods to Measure a Balanced Time Perspective: The Relationship between a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14, No.1, pp.169-184, 2013. 

  11. I. Boniwell, E. Osin, P. Alex Linley, and G. V. Ivanchenko, "A Question of Balance: Time Perspective and Well-Being in British and Russian Samples,"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Vol.5, No.1, pp.24-40, 2010. 

  12. Y. J. Gao, "Time Perspective and Life Satisfaction among Young Adults in Taiwan," Social Behavior and Personality, Vol.39, No.6, pp.729-736, 2011. 

  13. J. W. Zhang and R. T. Howell, "Do Time Perspectives Predict Unique Variance in Life Satisfaction beyond Personality Trai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50, No.8, pp.1261-1266, 2011. 

  14. 권기철, 서영욱, "미래지향적 시간관, SNS 태도, SNS 추천의도의 구조적 관계,"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1권, 제4호, pp.741-751, 2020a. 

  15. L. Reinecke and S. Trepte, "Authenticity and Well-Being on Social Network Sites: A Two-Wave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Online Authenticity and the Positivity Bias in SNS Communic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30, pp.95-102, 2014. 

  16. S. Valenzuela, N. Park, and K. F. Kee, "Is There Social Capital in a Social Network Site?: Facebook Use and College Students' Life Satisfaction, Trust,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4, No.4, pp.875-901, 2009. 

  17. Y. Kim, B. Kim, H. S. Hwang, and D. Lee, "Social Media and Life Satisfaction among College Students: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NS Communication Network Heterogeneity and Social Self-Efficacy on Satisfaction with Campus Life," The Social Science Journal, Vol.57, No.1, pp.85-100, 2020. 

  18. A. Gaia, E. Sala, and G. Cerati, "Social Networking Sites Use and Life Satisfaction. A Quantitative Study on Older People Living in Europe," European Societies, Vol.23, No.1, pp.98-118, 2021. 

  19. N. Wang, Y. Sun, L. Zhan, and X. L. Shen, "Social Attachment, Life Satisfaction and SNS Continuance: A Dual-Role Perspective," International Journal of Mobile Communications, Vol.17, No.5, pp.604-624, 2019. 

  20. Y. C. Yuan and G. Gay, "Homophily of Network Ties and Bonding and Bridging Social Capital in Computer-Mediated Distributed Teams,"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Vol.11, No.4, pp.1062-1084, 2006. 

  21. H. Ibarra, "Homophily and Differential Returns: Sex Differences in Network Structure and Access in an Advertising Firm,"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Vol.37, No.3, pp.422-447, 1992. 

  22. W. Kets and A. Sandroni, "A Belief-Based Theory of Homophily," Games and Economic Behavior, Vol.115, pp.410-435, 2019. 

  23. K. A. Keough, P. G. Zimbardo, and J. N. Boyd, "Who's Smoking, Drinking, and Using Drugs? Time Perspective as a Predictor of Substance Use," Basic and Applied Social Psychology, Vol.21, No.2, pp.149-164, 1999. 

  24. P. G. Zimbardo and J. N. Boyd, "Putting Time in Perspective: A Valid, Reliable Individual-Differences Metric,"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7, pp.1271-1288, 1999. 

  25. R. Sword and P. Zimbardo, "The Importance of Our Time Perspective," Psychology Today, 2016. https://www.psychologytoday.com/us/blog/the-time-cure/201607/the-importance-our-timeperspective 

  26. V. Corral-Verdugo, B. Fraijo-Sing, and . J. Q. Pinheiro, "Sustainable Behavior and Time Perspective: Present, Past, and Future Orientations and Their Relationship with Water Conservation Behavior," Revista Interamericana de Psicologia/Interamerican Journal of Psychology, Vol.40, No.2, pp.139-147, 2006. 

  27. K. Karande, A. Merchant, and K. Sivakumar, "Relationships among Time Orientation, Consumer Innovativeness, and Innovative Behavior: The Moderating Role of Product Characteristics," AMS Review, Vol.1, pp.99-116, 2011. 

  28. A. Merchant, J. B. Ford, and G. Rose, "How Personal Nostalgia Influences Giving to Charit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64, No.6, pp.610-616, 2011. 

  29. P. Zimbardo and J. Boyd, The Time Paradox: The New Psychology of Time That Will Change Your Life. Simon and Schuster, 2008. 

  30. A. Liniauskaite and A. Kairys, "The Lithuanian Version of the Zimbardo Time Perspective Inventory (ZTPI), Psichologija, Vol.40, pp.66-87, 2009. 

  31. 이현주, 정남운, "시간관과 주관적 만족의 관계에서 감사와 후회 그리고 정서의 매개효과: 중년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제25권, 제2호, pp.129-150, 2020. 

  32. M. R. Jablonska and R. Zajdel, "Time Perspectives and Online Behavior of Digital Natives at the Tertiary Education Level," Polish Sociological Review, Vol.206, No.2, pp.217-236, 2019. 

  33. K. Makri and B. B. Schlegelmilch, "Time Orientation and Engagement with Social Networking Sites: A Cross-Cultural Study in Austria, China and Urugua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80, pp.155-163, 2017. 

  34. 최미경, "스마트폰 이용자의 시간관과 미디어 멀티태스킹이용행태 간의 관계 탐색: 20-50대 스마트폰 이용자를 중심으로,"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제26권, 제3호, pp.259-290, 2018. 

  35. T. A. Wills, J. M. Sandy, and A. M. Yaeger, "Time Perspective and Early-Onset Substance Use: A Model Based on Stress-Coping Theory," Psychology of Addictive Behaviors, Vol.15, No.2, pp.118-125, 2001. 

  36. Q. Fu, I. Rodriguez-Ardura, A. Meseguer-Artola, and P. Wu, "Self-Disclosure during the COVID-19 Emergency: Effects of Narcissism Traits, Time Perspective, Virtual Presence, and Hedonic Gratification,"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130, 107154, 2022. 

  37. M. Kaess, T. Durkee, R. Brunner, V. Carli, P. Parzer, C. Wasserman, M. Sarchiapone, C. Hoven, A. Apter, J. Balazs, M. Balint, J. Bobes, R. Cohen, D. Cosman, P. Cotter, G. Fischer, B. Floderus, M. Iosue, C. Haring, J. Kahn, G. J. Musa, B. Nemes, V. Postuvan, F. Resch, P. Saiz, M. Sisask, A. Snir, A. Varnik, J. Ziberna, and D. Wasserman, "Pathological Internet Use among European Adolescents: Psychopathology and Self-Destructive Behaviour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Vol.23, pp.1093-1102, 2014. 

  38. 조한익, "고등학생의 지각된 시간관이 자기조절학습에 미치는 영향: 자기통제력을 매개변인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8권, 제2호, pp.61-75, 2011. 

  39. J. R. Daugherty and G. L. Brase, "Taking Time to Be Healthy: Predicting Health Behaviors with Delay Discounting and Time Perspectiv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48, No.2, pp.202-207, 2010. 

  40. N. Valizadeh, M. Bijani, E. Abbasi, and S. Ganguly, "The Role of Time Perspective in Predicting Iranian Farmers' Participatory-Based Water Conservation Attitude and Behavior: The Role of Time Perspective in Water Conservation Behavior," Journal of Human Behavior in the Social Environment, Vol.28, No.8, pp.992-1010, 2018. 

  41. 손연경, 이승연, "대학생의 분배 및 절차공정성에 대한 개인적 믿음, 미래지향 시간관과 정신적 안녕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제33권, 제1호, pp.65-84, 2020. 

  42. 이송희, "반추와 우울의 관계에서 균형 잡힌 시간관의 조절효과," 청소년학연구, 제25권, 제2호, pp.113-136, 2018. 

  43. 김은지, 김지영, 김정섭, "대학생의 학업적 의지전략과 학업지연행동의 관계에서 미래지향시간관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8권, 제3호, pp.319-338, 2018. 

  44. 홍지웅, 황수정, 홍아정, "학습목표지향성의 인지 및 정서 경로: 미래지향시간관과 향유신념," 교육심리연구, 제33권, 제4호, pp.707-730, 2019. 

  45. 김상표, 변충규, 하환호, "미래지향 시간관이 창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과 모호성 인내력의 매개효과," 경영컨설팅연구, 제15권, 제4호, pp.47-56, 2015. 

  46. 이혜규, 유기선, "기독 대학생의 신앙 내재화 및 시간관이 쇼핑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로고스경영연구, 제17권, 제1호, pp.21-4, 2019. 

  47. 안정용, 성용준, "시간관 유형에 따른 광고 메시지 설득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제18권, 제4호, pp.739-755, 2017. 

  48. 권기철, 서영욱, "SNS 지각된가치와 개인감정이 지속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짐바르도 시간관을 중심으로," 인터넷전자상거래연구, 제20권, 제1호, pp.67-85, 2020b. 

  49. D. C. Shin and D. M. Johnson, "Avowed Happiness as an Overall Assessment of the Quality of Life," Social Indicators Research, Vol.5, No.1, pp.475-492, 1978. 

  50. E. D. Diener, R. A. Emmons, R. J. Larsen, and S. Griffin,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Vol.49, No.1, pp.71-75, 1985. 

  51. 금희조, "소셜 미디어 시대, 우리는 행복한가?: 소셜미디어 이용이 사회 자본과 정서적 웰빙에 미치는 영향," 한국방송학보, 제25권, 제5호, pp.7-48, 2011. 

  52. 진보래, 양정애, "성격특성, 오프라인 활동, 정치성향, 삶의 만족도에 따른 SNS 이용," 한국언론학보, 제59권, 제5호, pp.239-271, 2015. 

  53. K. Hogberg, Organizational Social Media: A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Agenda, 2018. https://aisel.aisnet.org/cgi/viewcontent.cgi?art icle1236&contexthicss-51 

  54. W. Van Osch and C. K. Coursaris, "Organizational Social Media: A Comprehensive Framework and Research Agenda," In 2013 46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IEEE), pp.700-707, 2013. 

  55. N. DePaula, E. Dincelli, and T. M. Harrison, "Toward a Typology of Government Social Media Communication: Democratic Goals, Symbolic Acts and Self-Presentation," Government Information Quarterly, Vol.35, No.1, pp.98-108, 2018. 

  56. 곽동성, 임기흥, 권진희, "기업의 SNS 서비스 특성이 관계몰입과 온라인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이용 빈도를 조절효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1권, 제5호, pp.225-235, 2013. 

  57. 김기진, 윤미정, "음식점에 대한 SNS 구전정보의 생동감이 수용과 태도 및 공유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외식경영연구, 제24권, pp.399-421, 2021. 

  58. 윤재현, 김한구, "SNS 광고특성이 이용자의 심리적 요인을 통해 광고태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정보시스템연구, 제27권, 제2호, pp.29-52, 2018. 

  59. 탁진국, 장성배, 김수연, 이병걸, 남동엽, "짐바르도 시간관 척도 타당화: 직장인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제29권, 제3호, pp.367-383, 2016. 

  60. R. W. Pollay and B. Mittal, "Here's the Beef: Factors, Determinants, and Segments in Consumer Criticism of Advertising," Journal of Marketing, Vol.57, No.3, pp.99-114, 1993. 

  61. 이세진, 방혜진, 노승화, "유대강도, 정보의 속성 및 관여도가 SNS 내 구전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제23권, 제4호, pp.119-14, 2012. 

  62. 김계수, AMOS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한나래, 2003. 

  63. 문호경,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스마트폰의존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과 우울의 직렬 이중매개효과," 학교사회복지, 제49권, pp.25-43, 2020. 

  64. L. T. Hu and P. M. Bentler, "Cutoff Criteria for Fit Indexes in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Conventional Criteria versus New Alternativ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Vol.6, No.1, pp.1-55, 1999. 

  65. 김지혜, 김병희, "소셜 미디어를 이용한 정부 PR 연구: 정부 PR 실무자와 SNS 전문가의 인식 차이를 중심으로," 광고 PR 실학연구, 제10권, 제1호, pp.32-67, 2017. 

  66. A. Przepiorka and M. Sobol-Kwapinska, "People with Positive Time Perspective Are More Grateful and Happier: Gratitude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Life Satisfaction,"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Vol.22, No.1, pp.113-126, 2021. 

  67. M. W. Matlin and D. J. Stang, The Pollyanna Principle: Selectivity in Language, Memory, and Thought, Schenkman Publishing Company, 1978. 

  68. M. Szczesniak and C. Timoszyk-Tomczak, "A Time for Being Thankful: Balanced Time Perspective and Gratitude," Studia Psychologica, Vol.60, No.3, pp.150-166, 2018. 

  69. S. Miceli, M. Cardaci, F. Scrima, and B. Caci, "Time Perspective and Facebook Addiction: The Moderating Role of Neuroticism," Current Psychology, pp.1-10, 2021. https://doi.org/10.1007/s12144-021-01355-w 

  70. 위하, 김경민, "구전에 영향을 미치는 SNS 제요인에 관한 연구," 정보시스템연구, 제24권, 제1호, pp.1-25, 2015. 

  71. L. Drake, E. Duncan, F. Sutherland, C. Abernethy, and C. Henry, "Time Perspective and Correlates of Wellbeing," Time & Society, Vol.17, No.1, pp.47-61, 2008. 

  72. C. Maslach, W. B. Schaufeli, and M. P. Leiter, "Job Burnout," Annual Review of Psychology, Vol.52, No.1, pp.397-422, 2001. 

  73. R. Gupta and D. A. Hershey, "Time Perspective as an Antecedent of Trust in a Manager and Its Impact on Employee Attitudes," Time & Society, Vol.28, No.1, pp.124-152, 2019. 

  74. 김민경, 조수영, "정부기관의 SNS 활용 및 수용자 반응 분석-청와대와 17부 페이스북을 중심으로," 홍보학연구, 제19권, 제3호, pp.1-37, 2015. 

  75. J. Witowska and M. Zajenkowski, "How Is Perception of Time Associated with Cognitive Functio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ime Perspective and Executive Control," Time & Society, Vol.28, No.3, pp.1124-1147, 2019. 

  76. 임안나, 박영숙, "삶의 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지지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3호, pp.675-682, 2017. 

  77. 경태원, 김경훈, "공공기관의 소셜 미디어 활용 현황 및 활성화 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1호, pp.13-17, 2011. 

  78. W. Orlikowski and J. Yates, "It's about Time: Temporal Structuring in Organizations," Organization Science, Vol.13, No.6, pp.684-700, 2002. 

  79. H. Henry, H. Zacher, and D. Desmette, "Future Time Perspective in the Work Context: A Systematic Review of Quantitative Studies," Frontiers in Psychology, Vol.8, Article 413, doi: 10.3389/fpsyg.2017.00413 

  80. J. Anderson and D. Gerb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Vol.103, No.3, pp.411-423, 198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