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분리막을 이용한 천일염내 불순물 및 미세플라스틱 제거에 관한 연구
Removal of Harmful Impurities Including Microplastics in Sun-Dried Sea Salt by Membrane Technology 원문보기

멤브레인 = Membrane Journal, v.32 no.5, 2022년, pp.314 - 324  

임시우 (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C1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  서채희 (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C1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  홍승관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과) ,  김정훈 (한국화학연구원 화학공정연구본부 C1가스.탄소융합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분리막을 이용하여 천일염내 미세플라스틱을 비롯한 불순물을 제거하는 분리막 공정 설계를 위한 연구이다. 천일염 염전에 적합한 분리막 재질, 공경 사이즈, 모듈을 선정하여 다양한 조건에서 실험을 진행하였다. 선정된 200 kDa, 4 kDa 한외여과막 그리고 3 kDa 나노여과막을 선정하였고, 실험은 실험실과 실제 염전에 파일롯 플랜트를 건설하여 각각 실험하였다. 천일염내 불순물은 대부분 0.1 ㎛ 이상의 크기를 가졌고 크기 분포는 0.1 ㎛에서 1 ㎛ 사이 입자가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였다. 그리고 성분 분석결과 불순물 내에 7종류 이상의 다양한 미세플라스틱이 검출되었다. 분리막 공정 이후 여과된 염전수 분석한 결과 미세플라스틱을 포함한 불순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기존의 천일염과 분리막 여과수로 제작한 천일염의 성분 비교해본 결과 천일염 성분의 변화 없이 불순물만 효과적으로 제거됨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imed to design a membrane process that systematically removes contaminants including microplastics in sun-dried salt using a separation membrane. In this study, we selected the separation membrane material, pore size, and module suitable for the sun-dried salt fields, and proceeded wi...

주제어

참고문헌 (20)

  1. J. G. Derraik, "The pollution of the marine environment by plastic debris: a review", Mar. Pollut. Bull., 44, 842-852, (2002). 

  2. C. G. Alimba and C. Faggio, "Microplastics in the marine environment: current trends in environmental pollution and mechanisms of toxicological profile", Environ. Toxicol., 68, 61-74 (2019). 

  3. D. Yang, H. Shi, L. Li, J. Li, K. Jabeen, and P. Kolandhasamy, "Microplastic pollution in table salts from China", Environ. Sci. Technol., 49, 13622-13627 (2015). 

  4. D. Peixoto, C. Pinheiro, J. Amorim, L. Oliva-Teles, L. Guilhermino, and M. N. Vieira, "Microplastic pollution in commercial salt for human consumption: A review", Estuar. Coast. Shelf Sci., 219, 161-168 (2019). 

  5. J. G. Lee, S. R. Cho, S. T. Jeong, H. Y. Hwang, and P. J. Kim, "Different response of plastic film mulching on greenhouse gas intensity (GHGI) between chemical and organic fertilization in maize upland soil", Sci. Total Environ., 696, 133827 (2019). 

  6. J.-S. Kim, H.-J. Lee, S.-K. Kim, and H.-J. Kim, "Global pattern of microplastics (MPs) in commercial food-grade salts: sea salt as an indicator of seawater MP pollution", Environ. Sci. Technol., 52, 21 (2018). 

  7. C. Schmidt, T. Krauth, and S. Wagner, "Export of plastic debris by rivers into the sea", Environ. Sci. Technol., 51, 21 (2017). 

  8. X. Guo and J. Wang, "The chemical behaviors of microplastics in marine environment: A review", Mar. Pollut. Bull., 142, 1-14 (2019). 

  9. T. van Emmerik and A. Schwarz, "Plastic debris in rivers, Wiley Interdisciplinary Reviews", Water, 7, 1 (2020). 

  10. R. Hurley, J. Woodward, and J. J. Rothwell, "Microplastic contamination of river beds significantly reduced by catchment-wide flooding", Nat. Geosci., 11, 4 (2018). 

  11. Y. M. Shin, "A Study on the Price Stabilization of Sea Salt Price", Korean Book Study, 30, 2 (2018). 

  12. H. Jang, "Technology Trend on Commercial Polymeric Membranes for Water Treatment", Membr. J., 29, 11-17 (2019). 

  13. M. M. Pendergast and E. M. Hoek, "A review of water treatment membrane nanotechnologies", Energy Environ. Sci., 4, 6 (2011). 

  14. K. J. Howe, A. Marwah, K.-P. Chiu, and S. S. Adham, "Effect of coagulation on the size of MF and UF membrane foulants", Environ. Sci. Technol., 40, 24 (2006). 

  15. B. Ma, W. Xue, C. Hu, H. Liu, J. Qu, and L. Li, "Characteristics of microplastic removal via coagulation and ultrafiltration during drinking water treatment", Chem. Eng. J., 359, 159-167 (2019). 

  16. J. Sun, X. Dai, Q. Wang, M. C. van Loosdrecht, and B.-J. Ni, "Microplastics in wastewater treatment plants: Detection, occurrence and removal", Water Res., 152, 21-37 (2019). 

  17. S. Ziajahromi, P. A. Neale, L. Rintoul, and F. D. Leusch, "Wastewater treatment plants as a pathway for microplastics: development of a new approach to sample wastewater-based microplastics", Water Res., 112, 93-99 (2017). 

  18. T. Poerio, E. Piacentini, and R. Mazzei, "Membrane processes for microplastic removal", Molecules, 24, 22 (2019). 

  19. C. Zhao, J. Xue, F. Ran, and S. Sun, "Modification of polyethersulfone membranes-A review of methods", Prog. Mater. Sci., 58, 1 (2013). 

  20. A. Ahmad, A. Abdulkarim, B. Ooi, and S. Ismail, "Recent development in additives modifications of polyethersulfone membrane for flux enhancement", Chem. Eng. J., 223, 246-267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