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작업 안전보건관리 전문가 양성과정의 교육과정 개발
Development of Curriculum for Agricultural Work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Specialist Training Course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9 no.3, 2022년, pp.131 - 142  

이현경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채혜선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박수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김인수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curriculum for nurturing experts who perform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ask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three stages. First, job definitions and job models of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managers were derived through job analysis using the DACUM tech...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32)

  1. 갈원모, 김종배, 남현우, & 최상복. (2001). 안전관리자 직무분석과 효율적 교과목 선정에 관한 연구. 안전경영과학회지, 3(3), 33-44. 

  2. 강경종, & 김종우. (2001). 전문대학 교육과정 모형 개발과 운영 방안.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3. 강종철, & 장성록. (2004). 산업안전보건교육의 인센티브 모델에 관한 연구. 한국안전학회지, 19(4), 129-134. 

  4. 고용노동부. (2021). 산업안전보건법 시행규칙. 국가법령정보센터. https://www.law.go.kr/ 

  5. 국가통계포털(Kosis). (2001-2018). 산업재해율. https://kosis.kr/ 

  6. 국가통계포털(Kosis). (2012-2019). 농업인 업무상 질병 및 손상 통계. 통계청. https://kosis.kr/ 

  7. 김장호. (2005). 직업교육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직무분석 지침서.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8. 김봉환. (1990). 직무분석 지침서. 서울: 한국산업인력공단. 

  9. 김진모, 황영훈, 손규태, & 채리. (2015). 농업인을 위한 학습자 참여형 안전보건 교육 프로그램 설계. 농촌지도와 개발, 22(2), 205-219. doi:10.12653/jecd.2015.22.2.0205 

  10. 김진모, 김진군, 마상진, 전영욱, 이진화, & 주현미. (2007).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99-116. 

  11. 김진모, 이택선, 이경숙, 김경란, 길대환, 김효철, et al. (2007). ISD 모델에 기초한 농업인 안전교육 프로그램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69-95. 

  12. 김진모, 이진화, 공민영, & 이유진. (2010). RP(Rapid Prototyping) 접근법에 기반한 농작업 안전 직무교육 프로그램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2(4), 1-26. 

  13. 김진모, 이경숙, 황영훈, 송민철, 김민지, & 김효철. (2013). 학습영역에 따른 농작업 안전관리자 교육프로그램 교수 계획안 프레임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5(3), 125-146. 

  14. 김진모, 황영훈, 손규태, 유영주, 이은표, 정지용, et al. (2017). 농업인 리더 대상 작업 안전보건 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49(4), 19-41. 

  15. 김진석, 우극현, 민영선, 김보균, 최경숙, & 박기수. (2010). 농작업 환경개선을 위한 한국형 참여형 개선활동 교육 (PAOT)의 개발과 실제 적용 사례. 농촌의학.지역보건, 35(4), 417-427. 

  16. 안중원, & 박덕병. (2021).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통한 청년활동 정책방안 연구. 농촌지도와 개발, 28(1), 53-68. doi:10.12653/jecd.2021.28.1.0053 

  17. 이소진, 최문식, & 김종안. (2016). 농업경영 리스크 요인 분석: AHP와 IPA 분석. 농촌지도와 개발, 23(3), 1976-3107. doi:10.12653/jecd.2016.23.3.0309 

  18. 이현경, 김경수, 최동필, 이민지, & 김효철. (2021). 사망 원인통계 기반 농림어업 숙련 종사자의 손상사망 특성: 직업군별 비교. 한국자료분석학회, 23(3), 1327-1342. doi:10.37727/jkdas.2021.23.3.1327 

  19. 정동희, & 박동수. (2013). 소기업의 산업재해전담부서 조직화와 산업재해 발생율과의 관계 조직의 안전관리풍토의 조절역할. 영상저널, 6(1), 61-81. 

  20. 한국산업인력공단. (2021). 농작업안전보건기사 자격시험현황. 울산: 한국산업인력공단. 

  21. Georgieva, T., Grau, Y., Berova, M., & Yordanov, R. G. Y. (2021). Innovations in the professional education of teachers and trainers in the field of sustainable agriculture development. Bulgarian Journal of Agricultural Science, 27(1), 61-70. 

  22. Hard, D. L., Myers, J. R., Stout, N. A., & Pizatella, T. J. (1992). A model agricultural health promotion systems program for building state-based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infrastructures. Scandinavian Journal of Work, Environment & Health, 18(2), 46-48. 

  23. Harper, J. G., & Poling, R. L. (1998). The south Carolina farm leaders for agricultur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al program. Journal of Agromedicine, 5(2), 9-15. 

  24. Hesse, G. C. (1989). Methodological issues of research to DACUM and curriculum conference, ED313522. 

  25. KRUS. (2019). KRUS basic information. Poland: Kasa Rolniczego Ubezpieczenia Spolecznego. https://www.krus.gov.pl 

  26. ILO. (2015). Agriculture: A hazardous work. Switzerland: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http://www.ilo.org/safework/areasofwork/hazardouswork/WCMS_356550/lang-en/index.htm 

  27. ISSA. (2022). Vision Zero. Vienna: International Social Security Association. https://visionzero.global/ 

  28. SLU. (2009). Farmhouse safety common sense project expert's manual. Sweden: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www.sakertbondfornuft.se 

  29. SLU. (2013). Forebyggande av arbetsskador inom lantbruket, - Utbildning av handledare inom "Sakert Bondfornuft". Sweden: Swedish University of Agricultural Sciences. https://pub.epsilon.slu.se/9390/7/alwall_svennerfelt_et_al_130122_2.pdf 

  30. NIVA. (2016). Occupation health and safety in agriculture and horticulture. Sweden: Norden. https://niva.org/course/occupational-health-and-safety-in-agriculture-and-horticulture/ 

  31. Norton, E. R., & Moser, R. J. (2008). DACUM handbook. Columbus, OH: Ohio Center on Education and Training for Employment. 

  32. Morera, M. C., Monaghan, P. F., Tovar-Aguilar, J. A., Galindo-Gonzalez, S., Roka, F. M., & Asuaje, C. (2014). Improving health and safety conditions in agriculture through professional training of Florida farm labor supervisors. Journal of Agromedicine, 19(2), 117-122. doi:10.1080/1059924X.2014.88631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