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요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의 특성과 공종 간 영향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 and Working Type on Major Forest Restoration Sites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36 no.5, 2022년, pp.481 - 495  

전용삼 (한국산지보전협회 산림생태복원센터) ,  박준형 (한국산지보전협회 산림생태복원센터) ,  권오일 (한국산지보전협회 산림생태복원센터) ,  이혜정 (한국수목원정원관리원 사회적가치성과실) ,  임채영 (한국산지보전협회 산림생태복원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산림복원사업 이후 유입되는 귀화식물과 생태계교란 식물의 실태 및 사업의 특성에 따라 나타나는 양상을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현장조사는 산림청에서 수행한 산림복원사업지 29개소를 대상으로 2020년과 2021년 봄철(5~6월), 여름철(8~9월)로 나누어 연 2회 실시하였고, 사업 범위 밖의 지역은 조사에서 제외하여 실제 복원사업 후 도입 및 유입되었다고 볼 수 있는 식물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대상지 내 분포하는 귀화식물상과 복원사업 준공내역 확인을 통해 현장에 실제 적용된 공종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다. 전체 대상지에서 출현한 귀화식물은 29과 80속 108종 1아종으로 109분류군이며, 생태계교란 식물은 총 3과 7속 8종이 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의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사업 후 소요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고, 귀화식물 분류군 수와 귀화율은 권역 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p>0.05), 훼손 유형별 귀화식물 분류군 수의 경우 백두대간 단절 구간과 채석지, 시설부지 등의 유형에서 출현한 귀화식물 수가 상대적으로 많았다(p<0.05). 복원지 내 나지 및 비탈면의 녹화를 위한 식생도입 방법인 종자 파종, 나무 식재,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의 유무에 따른 귀화율 비교 분석 결과, 종자파종을 할 경우 귀화율은 평균 15.545%로 파종 공종이 없는 경우의 평균 9.167%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p<0.05), 그 외 다른 식생도입 방법은 공종 적용 유무에 따라 귀화율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p>0.05). 이는 식물체의 형태를 확인하고 어느 정도 제어할 수 있는 나무 식재와 초본 식재, 떼붙임 공종과는 달리 종자 상태에서 귀화식물 여부의 파악이 까다로운 종자 파종 공종이 산림복원사업지 내 귀화식물 도입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복원지 내 종자 파종 시 종자 전문가에 의한 검수 과정의 도입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이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산림복원사업 시 식생 도입 및 사후관리의 방향설정에 도움이 되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designed to identify the actual state of naturalized plants and invasive alien species that cause disturbances to the ecosystem, plants which are introduced after forest restoration,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resulting from the project. Onsite examination included 29 sites which ha...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27)

  1. Cho, Y.H., J.H. Kim and S.H. Park(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in Korean) 

  2. Choung, Y., B.M. Min, K.S. Lee, K.H. Cho, K.Y. Joo, J.O. Hyun, H.R. Na, H.K. Oh, G.H. Nam and J.S. Kim(2020) Wetland preference and life form of the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in Korean) 

  3. Jung, W.O.(2001) Effects of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stability and vegetation survival in cutting slope of forest roads.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4(2): 74-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4. Kang, H.M., S.H. Choi, D.H. Kim and J.T. Song(2017) A study on the restoration effects of vegetation restoration types. Korean J. Environ. Ecol. 31(2): 174-18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Kim, B.H., G.H. Kim, H.J. Kim and D.H. Kim(2000) Plant community survey and analysis for restoration of vegetation in coal-mined spoil lands-A case study of Hamtae coal-mined spoil lands in Taebaek city, Kangwondo-. J. Korean Env. Res. & Reveg. Tech. 3(4): 33-4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6. Kim, H.S. and J.G. Oh(201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Dadohae national marine park. Korean J. Plant Res. 23(2): 187-19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im, J.D., J.W. Lee, B.J. Park, H.J. Lee, D.H. Lee, T.I. Heo, J.G. Byeon and J.H. Ahn(2020) Successional trends and vegetation types in the Baramjae area of Baekdudaegan. J. Korean Soc. For. Sci. 109(3): 249-2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Kim, J.S. and T.Y. Kim(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in Korean) 

  9. Kim, J.S., J.H. Kim and J.H. Kim(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Plants living in seasides, rivers, wetlands and cities. Dolbegae, Paju. (in Korean) 

  10. Kim, K.H., H.C. Sung, J.Y. Choi and Y.J. Hur(2016) The revegetation using domestic plants. NEXUS Environmental Design Center, Gwacheon, 140pp. (in Korean) 

  11. Kim, N.C., H.Y. Kim and M.Y. Choi(2015) The study on the utilization of soil seed bank for the restoration of original vegetation. J. Korean Env. Res. Tech. 18(6): 201-21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2. Korea Forest Service(2015a)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Jinhan M&B, Seoul. (in Korean) 

  13. Korea Forest Service(2015b) Illustrated pteridophytes of Korea. Jinhan M&B, Seoul. (in Korean) 

  14. Korea Forest Service(2022) The process guide of forest restoration. Korea Forest Service, Daejeon, 212pp. (in Korean) 

  15. Korea National Arboretum(2017)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6. Korea National Arboretum(2019) Checklist of alien plant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17. Lee, C.S. and K. Lee(2015)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2nd ed.). Geobook, Seoul. (in Korean) 

  18. Lee, M.J., H.K. Song, J.W. Lee and H.J. Kim(2003) Vegetation succession in the cut-slope of forest road-In case study on Chungcheong-do-. Jour. Korean For. Soc. 92(4): 397-40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Lee, S., J. Yun, D. Kang and J. Cha(2020) Planting status of ecological restoration project and improvement plan. J. Environ. Impact Assess. 29(5): 307-32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in Korean) 

  21.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2021) Information for the fiel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in Korean) 

  22. Oh, K.K. and S.G. Park(2003) Conservation status and restoration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in warm temperate region, Korea(II)-Restoration planning of vegetation in a case study areas-. Kor. J. Env. Eco. 17(1): 71-8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Science & Policy Working Group(2004) The SER international primer on ecological restoration. Society for Ecological Restoration International, Tucson. https://www.ser.org 

  24. Son, Y.H., C.D. Koo, C.S. Kim, P.S. Park, C.W. Yun and K.H. Lee(2016) Forest ecology. Hyangmunsa, Seoul, 346pp. (in Korean) 

  25. Yoon, J.W., H.T. Shin, M.H. Yi, G.S. Kim, J.W. Sung, K.H. Park, C.H. Lee and Y.S. Kim(2012) Status and management proposal of naturalized plant species within the cultural treasury area in Gyeongju national park, Korea. Kor. J. Env. Eco. 26(4): 550-5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You, J.H., K.H. Park and J.H. Choi(2014) Management plan and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ized plants by ecological restoration of Gaeumjeong stream, Changwon-si. J. KILA 42(2): 48-5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You, J.H., Y.H. Kim, G. Chen, L.L. Zhang, S.B. Gwak, J.H. Jeong, Y.R. Seo, Y. Li and Z.L. Cui(2021) Vascular plants of Gyochon village in Gyeongju-si.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Garden Design 7(1): 36-4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