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업기인 어업쓰레기 발생추정량에 대한 어업 및 해양환경 관련 정책 비교분석
A Comparative Analysis of Fishery and Marine Environment-related Policies on Estimated Amount of Fishery Debris Caused by Fishing 원문보기

海洋環境安全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v.28 no.6, 2022년, pp.906 - 917  

성은혜 (한국해양대학교 해사법정학부) ,  김경신 (한국해양수산개발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조업기인 어업쓰레기 발생(추정)량에 대한 어업 및 해양환경 정책의 범주별 차이를 비교하고,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독립변수는 세 가지로 구분되는데, 사전 예방정책, 현행 관리정책, 사후 대응정책이다. 사전 예방정책에는 친환경어업 지원사업, 제도적 예방활동, 물리적 차단 시설 설치가 있다. 현행 관리정책에는 관련 선박 운영, 어업질서 확립, 어업구조조정, 어장환경 개선이 해당된다. 사후 대응정책에는 하천~해안변 쓰레기 정화, 해양·침적·부유쓰레기 수거,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 어업관련 폐기물 처리, 해양쓰레기 피해복구가 포함된다. 측정지표는 각 사업별 결산액이다. 종속변수는 조업으로 인한 어업쓰레기 발생 추정량이고, 측정지표는 연안 통발 및 자망과 그 부속어구 유실량의 합이다. 평균순위 차이 검증결과 어업쓰레기 발생 추정량은 해역별로는 동해안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초자치단체별로는 시 지역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해양환경 관련 결산액은 군 지역에서 가장 많이 투입하고 있었고, 대부분의 변수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어업쓰레기 발생 추정량과 관련있는 변수는 사후 정책 중 조업 중 인양쓰레기 수매 사업과 폐기물 처리 지원 사업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compare differences according to categories of fishery and marine environmental policies for the (estimated) amount of fishery waste generated by fishing, and to analyze the correlation between associated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divided...

주제어

참고문헌 (30)

  1. Cho, D. O., S. G. Kim, and Y. H. Woo(2011), The Report of Statistical Analysis Result of 「Survey of Fishing Gear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of Marine Debris」, (SPSSWIN 12.0K and EXCEL 2007). Marine Technology ENG Co., Ltd., pp. 1-167. 

  2. Han, S. J.(2006), Understanding research methods and using SPSS, Daeyeongmunwhasa, p. 282. 

  3. Hong, S. W., J. M. Lee, Y. C. Jang, D. S. Kang, W. J. Shim, and J. S. Lee(2013), The Honolulu Strategy and Its Implication to Marine Debris Management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 16, No. 2. pp. 143-150. 

  4. Hwang, D. J.(2021), The Occurrence and Impact of 'Lost Fishing Gear' of Marine Debris caused by Ocean Activities, HDHY, April 9, 2021. 

  5. Jang, Y. C., J. M. Lee, S. W. Hong, M. J. Lee, and J. S. Lee(2014), Designing and Assessment of Policy Alternatives of Marine Debris: Focusing on Measures to Increase Recycle Ratio of Styrofoam Buoys,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18, No. 1, pp. 75-97. 

  6. Jang, Y. C., J. M. Lee, S. W. Hong, W. J. Shim, and D. S. Kang(2013), Development and Priority Setting of Policy Measures on Styrofoam Buoy Marine Debri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 16, No. 3, pp. 171-180. 

  7. Jang, Y. C., K. S. Kim, and C. S. Kim(2018), Ways to Reduce Marine Debris from Used Styrofoam Buoys: Analysis of Opinion of Aquaculture Fishermen in Tong Yeong through IAD Framework,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Vol. 22, No. 3, pp. 389-414. 

  8. Kim, H. J.(2005), Social Science Statistical Analysis, Samyoungsa, p. 173. 

  9. Kim, K. S., J. K. Ryu, J. Y. Mok, Y. S. Ahn, Y. J. Lee, M. R. Choa, D. K. Lee, J. K. Kim, J. B. Kim, C. G. Lee, J. S. Lee, S. H. Choi, S. S. Shin, J. S. Park, J. H. Lee, Y. H. Kang, H. Y. Park, H. S. Lee, M. H. Lee, A. R. Kim, D. G. Lee, J. H. Kim, G. M. Kim, J. S. Park, T. H. Jeong, and S. H. Lee(2020), 2019 Final Report of 'Pilot Project to Voluntary Recovery Support for abandoned Fishing Gear',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pp. 1-411. 

  10. Kim, S. D. and W. S. Kang(2012),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and Cost Estimation of Collection and Treatment of Deposited Marine Debris in Coastal Fisheries around the Southwestern Islands of Korea,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 15, No. 4, pp. 330-336. 

  11. Kim, D. J., J. P. Ko, and W. S. Choi(2005), Estimating the Amount of Marine Debris by the Survey and Researching on Estimation of the Amount of Waste Net by Fishing Types (I), Korea Fisheries Infrastructure Public Agency, pp. 1-213. 

  12. Kim, D. J., J. P. Ko, S. H. Lee, and W. S. Choi(2006a), Estimating the Amount of Marine Debris Caused by Fishery and Researching on Estimation of the Amount of Waste Net by Fishing Types(II), Korea Fisheries Infrastructure Public Agency, pp. 1-256. 

  13. Kim, S. G., Y. H. Kang, and E. S. Kang(2006b), Research on Actual State of Coast Pollution from Fishery Act: Research Study for Fishing People's Educational Material, Korea Maritime & Ocean University Sea Grant Research Project Team, Yeongnam Sea Grant Project. pp. 1-105. 

  14. Kwon, Y. J., S. H. Park, and S. H. Yoo(2014), Economic Feasibility Analysis of Marine Debris Pollution Abatement Technology Progra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Marine Environment & Energy, Vol. 17, No. 4, pp. 274-282. 

  15. Lee, H. C. and H. J. Lee(2017), Coastal Wastes Management System and Policy Trends in Japan, Chonnam Law Review, Vol. 37, No. 3, pp. 267-292. 

  16. Lee, J. M., Y. C. Jang, S. Y. Hong, J. S. Lee, K. S. Kim, H. J. Choi, and S. W. Hong(2016), A Study on the Annual Inflow and Its Control of Styrofoam Buoy Debris in Oyster Aquaculture Farm in Gyeongnam, Korea, Ocean Policy Research, Vol. 31, No. 1, pp. 55-79. 

  17. Lee, J. S. and D. Y. Kim(2016), Current Problems of Derelict Fishing Gear and Systematic Management Directions, Journal Of Fisheres And Marine Sciences Eduvation, Vol. 28. No. 4, pp. 1014-1023. 

  18. MOF(2011a), The 2nd Master Plan for Ocean and Fisheries Development (2011~2020), pp. 1-236. 

  19. MOF(2011b), The 4th Marine Environment Comprehensive Plan (2011~2020), pp. 1-202. 

  20. MOF(2014a), The 1st Eco-friendly Fishery Promotion Plan (2014~2018), pp. 1-105. 

  21. MOF(2014b), The 1st Master Plan for Structural Improvement of Offshore Fisheries(2014~2018), pp. 1-32. 

  22. MOF(2014c), The 2nd Master Plan for Marine Debris Management (2014~2018), pp. 1-87. 

  23. MOF(2014d), The 2nd Master Plan for Development of Fishing Village and Fishing Ports (2014~2018), pp. 1-469. 

  24. MOF(2016a), The 1st Master Plan for Development of Fisheries and Fishing Villages (2016~2020), pp. 1-162. 

  25. MOF(2016b), The 2nd Master Plan for Fishery Resource Management (2016~2020), pp. 1-55. 

  26. MOF(2017a), Statistical Analysis of Marine Debris Collection and Coastal Debris Monitoring in 2016, MOF. 2017. 2. 

  27. MOF(2017b), The 3rd Master Plan for Fishing Grounds Management (2017~2021), pp. 1-29. 

  28. MOF and KOEM(2017), 2017 Marine Litter Management Annual Report, pp. 1-89. 

  29. Yoo, B. S., S. T. Hwang, D. J. Kim, C. G. Kim, Y. Y. Jeon, B. W. Choi, J. P. Ko, G. H. Nam, and J. H. Lee(2004), Estimating the Amount of Marine Debris by the Survey and Analyzing the Effect of Collecting Stagnant Fishing nets, Korea Fisheries Infrastructure Public Agency, pp. 1-301. 

  30. Yoon, J. J.(2020), Performance Evaluation for Creating a Clean Marine Environment (Comprehensive Measures for Marine Debris) in ChungCheongNam-do, Issue Report, ChungNam Institute, pp. 1-2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