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간적 사고 관점에서 천문 분야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예비교사가 인식한 문제점과 개선안
Problems and Suggestions for Astronomy Textbook Images and Inquiries Raised by Pre-service Teachers: From the Perspective of Spatial Thinking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3, 2022년, pp.501 - 520  

김종욱 (서울화양초등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천문학 학습 과정에서 공간적 사고의 중요성을 고려할 때, 교원 양성 단계에서부터 공간적 사고를 고려한 교수⋅학습 방법에 대한 교육이 이뤄질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에게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을 실시한 후 이들이 천문 단원 교과서의 삽화 및 탐구활동에 대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안의 양상을 탐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천문 영역의 공간적 사고를 공간 개념, 표상, 추론 과정으로 구성된 것으로 정의하였다. 수도권 소재 A 교육대학에 재학 중인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2021년 10월, 2주에 걸쳐 공간적 사고에 대한 교육이 실시되었으며 예비교사들은 천문 단원 중 1개 차시를 자율적으로 선택하여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현행 교과서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최종적으로 22명이 제시한 33개의 사례가 분석되었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예비교사들은 공간 개념과 추론 과정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 및 탐구활동의 한계를 인식하고 그것을 보완하기 위한 개선안을 제안하는 모습을 나타냈다. 그러나 일부 예비교사는 문제점을 타당하게 인식하더라도 적절한 개선안을 제안하지 못하거나,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분석하지 못하는 경향도 나타냈다. 본 연구는 공간적 사고에 대한 일련의 교육을 통해 예비교사가 천문 교수 실행시 공간적 사고 측면에서 교과서 삽화나 탐구활동을 인식하고, 그 한계를 보완할 능력을 갖출 수 있음을 보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아울러 본 연구 결과가 공간적 사고와 관련된 교사 양성 프로그램에 시사하는 바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idering the importance of spatial thinking in the process of learning astronomy, it is necessary to educate pre-service teachers on teaching methods that consider spatial thinking from the teacher training program stage. Accordingly, after providing education on spatial thinking to pre-service s...

주제어

표/그림 (22)

참고문헌 (34)

  1. 교육부(2019a).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5-1. 천재교과서. 

  2. 교육부(2019b).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6-1. 천재교과서. 

  3. 교육부(2019c). 초등학교 5-6학년군 과학 6-2. 천재교과서. 

  4. 맹승호, 이기영,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순위 선다 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03-718. 

  5. 이정아, 이기영, 박영신, 맹승호, 오현석(2015). 초등학교 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 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179-197. 

  6. Black, A. A. (2005). Spatial ability and earth science conceptual understand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3(4), 402-414. 

  7. Cole, M., Cohen, C., Wilhelm, J., & Lindell, R. (2018). Spatial thinking in astronomy education research. Physical Review Physics Education Research, 14(1), 010139. 

  8. Creswell, J. W. (2013).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es. Sage. 

  9. Clement, J. (2000). Model based learning as a key research area for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2(9), 1041-1053. 

  10. Eisner, E. W. (1998). The enlightened eye: Qualitative inquiry and the enhancement of educational practice. Prentice Hall. 

  11. Geary, D. C. (1998). Male, female: The evolution of human sex differenc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2.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3-17). Kluwer Academic Publisher. 

  13. Heyer, I., Slater, S. J., & Slater, T. (2013). Establishing the empirical relationship between non-science majoring undergraduate learners' spatial thinking skills and their conceptual astronomy knowledge. Revista LatinoAmericana de Educacao em Astronomia 16, 45-61. 

  14. Kastens, K. A., & Ishikawa, T. (2006). Spatial thinking in the geosciences and cognitive sciences: A crossdisciplinary look at the intersection of the two fields. Special Papers-Geological Society of America, 413, 51-74. 

  15. Kikas, E. (1998). Pupils' explanations of seasonal changes: Age differences and the influence of teaching. British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68, 505-516. 

  16. Kikas, E. (2006). The effect of verbal and visuo-spatial abilities on the development of knowledge of the Earth.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6(3), 269-283. 

  17. Linn, M. C., & Pe te rse n, A. C. (1985). Eme rge nce and characterization of sex differences in spatial ability: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1479-1498. 

  18. Lohman, D. F. (1979). Spatial ability: A review and reanalysis of the correlational literature. Technical report No. 8, Aptitude research project. Stanford University. 

  19. McGee, M. G. (1979). Human spatial abilities: Psychometric studies and environmental, genetic, hormonal, and neurological influences. Psychological bulletin, 86(5), 889. 

  20. National Research Council (NRC). (2006). Learning to think spatially. National Academies Press. 

  21. Padalkar, S., & Ramadas, J. (2008). Modeling the round earth through diagrams. The Astronomy Education Review, 2(6), 54-74. 

  22.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23. Plumme r, J. D., Kocare li, A., & Slagle , C. (2014). Learning to explain astronomy across moving frames of reference: Exploring the role of classroom and planetarium-based instructional context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6(7), 1083-1106. 

  24. Rudman, D. S. (2002). Solving astronomy problems can be limited by intuited knowledge, spatial ability, or both.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1-11. 

  25. Schneps, M. H., Ruel, J., Sonnert, G., Dussault, M., Griffin, M., & Sadler, P. M. (2014). Conceptualizing astronomical scale: Virtual simulations on handheld tablet computers reverse misconceptions. Computers & Education, 70, 269-280. 

  26. Schoon, K. J. (1995). The origin and extent of alternative conce ptions in the e arth and space scie nce s: A surve y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Journal of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7, 27-46. 

  27. Sherrod, S. E., & Wilhelm, J. (2009). A study of how classroom dialogue facilitates the development of geometric spatial concepts related to understanding the cause of moon phase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7), 873-894. 

  28.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29.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0. Sneider, C., Bar, V., & Kavanagh, C. (2011). Learning about Se asons: A Guide for Te ache rs and Curriculum Developers. Astronomy Education Review, 10(1). 010103-1. 

  31. Subramaniam, K., & Padalkar, S. (2009). Visualisation and reasoning in explaining the phases of the moon.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1(3), 395-417. 

  32. Turk, C. (2016). The correlation between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stronomy achievement, attitudes towards astronomy, and spatial thinking skills. Journal of Education and Learning, 5, 187-199. 

  33. Venville, G. J., Louisell, R. D., & Wilhelm, J. A. (2012). Young children's knowledge about the moon: A complex dynamic system.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2(4), 729-752. 

  34. Wilhelm, J., Cole, M., Cohen, C., & Lindell, R. (2018). How middle level science teachers visualize and translate motion, scale, and geometric space of the Earth-Moon-Sun system with their students. Physical Review Physics Education Research, 14(1), 1-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