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과학 학습에서 불일치 현상 대면 여부에 따른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의 변화
Changes in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in Science Learning Depending on Confronting Violation of Expectation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1 no.3, 2022년, pp.521 - 537  

강지훈 (달산초등학교) ,  김지나 (부산대학교)

초록

과학 학습 과정에서 유발되는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은 학업 수행 및 성취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은 매 순간마다 그 수준이 변할 수 있기 때문에 학습의 전 과정에서 학생의 상태호기심과 상태불안 수준을 파악하여 지도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에서는 과학 학습을 과학 문제 대면, 결과 확인, 과학 개념 학습의 세 상황으로 구분하여 초등학교 5~6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의 예상과 결과의 일치 여부에 따른 학생들의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문제 대면 후 결과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예상과 일치한 결과에 직면한 nVOE 집단의 상태호기심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자신의 예상과 일치하지 않은 결과에 직면한 VOE 집단의 상태호기심은 증가하였다. VOE 집단 중 결과에 대한 이유를 바르게 추론한 VOE-R 집단의 상태호기심 수준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결과에 대한 이유를 바르게 추론하지 못한 VOE-FR 집단의 상태호기심은 증가하였다. 한편 문제의 결과를 확인한 후 VOE 집단과 nVOE 집단의 상태불안은 감소하였으며 VOE-R 집단 역시 상태불안이 감소하였다. 반면 VOE-FR 집단의 상태불안은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문제의 결과를 확인한 후 결과에 대한 과학 개념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VOE 집단, nVOE 집단, VOE-FR 집단의 상태호기심은 모두 감소하였다. 한편 nVOE 집단의 상태불안 수준은 유의한 변화가 없었지만, VOE 집단, VOE-R 집단, VOE-FR 집단의 상태불안 수준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교육적 함의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과학 학습에서 유발되는 학생의 정서적 상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in the science learning have a great influence on academic performance and achievement. Since the levels of state curiosity and anxiety can change at any moment, it is essential to identify the levels of student's state curiosity and state anxiety throughout the cou...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97)

  1. 강지훈(2021). 중학교 과학영재학생의 과학불안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4), 283-295. 

  2. 강지훈, 김지나(2020). 열과 관련된 문제 상황에서 초등학생들이 느끼는 친숙도, 인지에 대한 지각, 상태호기심, 상태불안의 관계 분석. 초등과학교육, 39(3), 433-448. 

  3. 강지훈, 김지나(2021a). 과학 학습에서 유발되는 과학상태호기심 및 과학상태불안 수준에 따른 학습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3), 221-235. 

  4. 강지훈, 김지나(2021b). 과학 문제 대면 상황에서 상태호기심 및 상태불안 유발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자 변인에 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40(3), 343-365. 

  5. 강지훈, 김지나(2021c). 초등학생의 열 개념 및 문제 상황과 친숙도 수준에 따른 정답률. 새물리, 71(1), 38-48. 

  6. 강지훈, 유병길, 김지나(2020). 과학 상태호기심 및 과학상태불안 측정도구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5), 485-502. 

  7. 강훈식, 곽진하, 김유정, 노태희(2007). 변칙사례 및 대안가설에 의해 유발된 인지갈등과 비인지적 변인이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대한화학회지, 51(1), 56-63. 

  8. 곽호완(2011). 혼합 설계에서 공분산분석의 주의점: KwakStat과 SPSS를 사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및 생물, 23(2), 229-238. 

  9. 권미랑(2008). 불일치 현상 대면 전과 후의 인지갈등이 중학생의 물리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0. 권미랑, 김지나, 김중복, 권재술(2009). 불일치 현상 대면전의 인지갈등이 중학생들의 물리 개념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8), 886-897. 

  11. 권성기, 김익진(2003). 초등학생의 열 개념에 따른 온도 개념의 특성. 초등과학교육, 22(1), 15-28. 

  12. 권재술, 이경호, 김연수(2003). 인지갈등과 개념변화의 필요조건과 충분조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74-591. 

  13. 김성은, 정규형, 허영회, 우종훈, 김과현(2018). 한번에 통과하는 논문: AMOS 구조방정식 활용과 SPSS 고급분석. 서울: 한빛아카데미(주). 

  14. 김성진(1999). 초등학교 학생의 온도와 열에 대한 개념 조사. 부산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김연수(2002). 인지갈등의 불안 유형과 귀인의 동기 심리학적 요인에 따른 학생의 물리 개념 변화 특성.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6. 김지나, 최혁준, 권재술(2002). 정량적 현상제시와 정성적 현상제시에 의한 학생들의 인지갈등 정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2-21. 

  17. 노태희, 정은희, 강석진, 한재영(2002). 개념 학습에서 변칙 사례의 역할.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86-594. 

  18. 노태희, 임희연, 강석진, 김순주(2001).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변인, 변칙 사례에 의한 인지갈등, 개념변화 사이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658-667. 

  19. 백성혜, 박영주(2002). 초등, 중등학교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열, 온도 개념에 대한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478-489. 

  20. 성영신, 김학진, 이현진, 박정선, 김희진, 김보경(2008). 지적 호기심의 심리적 메커니즘: 호기심 충족 방식에 따른 차이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9(2), 305-331. 

  21. 성영신, 이현진, 박하연, 방지원(2009). 호기심 충족 시간 지연이 보상 및 학습에 미치는 영향: 호기심 정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20(4), 43-58. 

  22. 성태제(2019). 알기 쉬운 통계분석(3판). 서울: 학지사. 

  23. 신영준, 강훈식, 곽영순, 김희경, 이수영, 이성희(2017). 과학관련 정의적 영역 검사도구에 대한 조사 연구. 생물교육, 45(1), 41-54. 

  24. 유진은(2014). 반복측정 자료를 다루는 교육 연구 실태분석. 열린교육연구, 22(4), 119-138. 

  25. 이선경, 김우희(1995). 열의 오개념 교정을 위한 과학사의 도입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3), 275-283. 

  26. 임규혁, 임웅(2007). 교육심리학. 서울: 학지사. 

  27. 정미미, 엄한주(2011). Two-way ANOVA 분석절차 및 사후검증방법의 이해. 한국체육측정평가학회지, 13(2), 1-15. 

  28. 최행숙, 김은경, 백성혜, 이길재, 정완호(2001). 초등학생들의 열과 온도에 대한 대안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20(1), 123-138. 

  29. Anderson, L. W. (1981).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 ls. Boston: Allyn and Bacon. 

  30. Anderson, L. W., & Bourke, S. F. (2000). Assessing affective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s. Mahwah, NJ: Lawrence Erlbaum. 

  31. Bathgate, M. E., Schunn, C. D., & Correnti, R. (2014). Children's motivation toward science across contexts, manner of interaction, and topic. Science Education, 98(2), 189-215. 

  32. Berlyne, D. E. (1960). Conflict, arousal, and curiosity. New York: McGraw-Hill. 

  33. Bloom, B. S. (1976). Human characteristics and school learning. New York: McGraw-Hill. 

  34. Borowske, K. (2005). Curiosity and Motivation-to-learn. Proceeding of the ACRL twelfth National Conference. Bower, G. H. (1981). Mood and memory. American Psychologist, 36(2), 129-148. 

  35. Boyle, G. J. (1979). Delimitation of state-trait curiosity in relation to state anxiety and learning task performance. Australian Journal of Education, 23(1), 70-82. 

  36. Brace, N., Kemp, R., & Snelgar, R. (2006). SPSS for psychologists: A guide to data analysis using SPSS for Windows (3rd ed.).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37. Carver, C. S., & Scheier, M. F. (1988). A control-process perspective on anxiety. Anxiety Research, 1(1), 17-22. 

  38. Covington, M. V. (1992). Making the grade: A self-worth perspective on motivation and school reform.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39. Davidson, R. J. (1994). On emotion, mood, and related affective constructs. In P. Ekman & R. J. Davidson (Eds.), The nature of emotion: Fundamental questions (pp. 51-55).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40. Day, H. I. (1982). Curiosity and the interested explorer. Performance and Instruction, 21(4), 19-22. 

  41. Deacy, A. D., Gayes, L. A., De Lurgio, S., & Wallace, D. P. (2016). Adaptation of the State-Trait Inventory for Cognitive and Somatic Anxiety for Use in Children: A Preliminary Analysis. Journal or Pediatric Psychology, 41(9), 1033-1043. 

  42. Eggen, P., & Kauchak, D. (2010). Educational Psychology: Windows on Classrooms. Pearson. [신종호 역(2014). 교육심리학. 학지사.] 

  43. Erickson, G. L. (1979). Children's conceptions of heat and temperature. Science Education, 63(2), 221-230. 

  44. Everson, H. T., Smodlaka, I., & Tobias, S. (1994). Exploring the relationship of test anxiety and metacognition on reading test performance: A cognitive analysis. Anxiety, Stress & Co ping: An Internatio nal Journal, 7(1), 85-96. 

  45. Eysenck, M. W. (1992). Anxiety: The cognitive perspective. Hobe, UK: Erlbaum. 

  46. Fandakova, Y., & Gruber, M. J. (2021). States of curiosity and interest enhance memory differently in adolescents and in children. Developmental Science, 24(1), e13005. 

  47. Fastrich, G. M., Kerr, T., Castel, A. D., & Murayama, K. (2018). The role of interest in memory for trivia questions: An investigation with a large-scale database. Motivation Science, 4(3), 227-250. 

  48. Gros, D. F., Antony, M. M., Simms, L. J., & McCabe, R. E. (2007).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State-Trait Inventory for Cognitive and Somatic Anxiety (STICSA): Comparison to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Psychological Assessment, 19(4), 369-381. 

  49. Grossnickle, E. M. (2016). Disentangling curiosity: Dimensionality, definitions, and distinctions from interest in educational contexts.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28(1), 23-60. 

  50. Gruber, M. J., & Ranganath, C. (2019). How curiosity enhances hippocampus-dependent memory: The Prediction, Appraisal, Curiosity, and Exploration (PACE) framework. Trends in Cognitive Sciences, 23(12), 1014-1025. 

  51. Gruber, M. J., Gelman, B. D., & Ranganath, C. (2014). State of curiosity modulate hippocampus-dependent learning via the dopaminergic circuit. Neuron, 84(2), 486-496. 

  52. Hembree, R. (1988). Correlates, causes, effects, and treatmentof test anxiety.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58(1), 47-77. 

  53. Henderson, B., Charlesworth, W. R., & Gamradt, J. (1982). Children's exploratory behavior in a novel field setting. Ethology and Sociobiology, 3(2), 93-99. 

  54. Huitema, B. E. (1980). The analysis of covariance and alternatives. John, Wiley & Sons, Inc. 

  55. Jaber, L. Z., & Hammer, D. (2016). Learning to feel like a scientist. Science Education, 100(2), 189-220. 

  56. Jegede, O. J. (1987). Socio-cultural correlates of anxiety in science classrooms: a preliminary report. Paper presented as a contribution to the International Roundtable Exchange at the National Convention of the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 Washington, D. C., March, 26-29. 

  57. Jirout, J. J. (2020). Supporting Early Scientific Thinking Through Curiosity. Frontiers in Psychology, 11. 

  58. Kang, M. J., Hsu, M., Krajbich, I. M., Loewenstein, G., McClure, S. M., Wang, J. T. Y., & Camerer, C. F. (2009). The wick in the candle of learning: Epistemic curiosity activates reward circuitry and enhances memory. Psychological Science, 20(8), 963-973. 

  59. Keppel, G. (1991). Design and Analysis: A Researcher's Handbook (3rd). Prentice Hall, Englewood Cliffs, New Jersey. 

  60. Keppel, G., & Zedeck, S. (1989). Data Analysis for Research Design. W. H. Freeman Company. 

  61. Kim, S. I. (1999). Causal bridging inference: A cause o f story interestingness. British Journal of Psychology, 90(1), 57-71. 

  62. Ladd, S. L., & Gabrieli, J. D. E. (2015). Trait and state anxiety reduce the mere exposure effect. Frontiers in Psychology, 6, Article 701. 

  63. Laukenmann, M., Bleicher, M., Fuss, S., Glaser-Zikuda, M., Mayring, P., & Rhoneck, C. (2003). An investigation on the influence of emotions on learning in physics.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5(4), 489-507. 

  64. Lee, G., Kwo n, J., Park, S., Kim, J., Kwo n, H., & Park, H. (2003).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the measuring cognitive conflict in secondary-level science clas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6), 585-603. 

  65. Leherissey, B. L. (1971a).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state epistemic curiosity (Tech. Memo No. 34). Tallahassee: Florida State University. 

  66. Leherissey, B. L. (1971b). Optimal degree of arousal theory: Toward an integration of research on curiosity behaviors. Unpublished manuscript, Florida State University. 

  67. Lester, D. (1968). The effect of fear and anxiety on exploration and curiosity: Toward a theory of exploration. The Journal of General Psychology, 79(1), 105-120. 

  68. Litman, J. A., Hutchins, T. L., & Russon, R. K. (2005). Epistemic curiosity, feeling of knowing, and exploratory behavior. Cognition and Emotion, 19(4), 559-582. 

  69. Litman, J. A., & Spielberger, C. D. (2003). Measuring epistemic curiosity and its diversive and specific componen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80(1), 75-86. 

  70. Loewenstein, G. (1994). The psychology of curiosity: a review and reinterpretation. Psychological Bulletin, 116(1), 75-98. 

  71. Mallow, J. V., & Greenburg, S. L. (1982). Science anxiety: Causes and remedies. Journal of College Science Teaching, 11(6), 356-358. 

  72. Markey, A., & Loewenstein, G. (2014). CURIOSITY. In R. Pekrun & L. Linnenbrink-Garcia (Eds.), Educational psychology handbook series. International Handbook of Emotions in Education (pp. 228-245). New York, NY: Routledge. 

  73. Marvin, C. B., & Shohamy, D. (2016). Curiosity and reward: Valence predicts choice and information prediction errors enhance learning. Journal of Experimental Psychology: General, 145(3), 266-272. 

  74. McGillivray, S., Murayama, K., & Castel, A. D. (2015). Thirst for knowledge: The effects of curiosity and interest on memory in younger and older adults. Psychology and Aging, 30(4), 835-841. 

  75. Meyer, D. K., & Turner, J. C. (2002). Discovering emotion in classroom motivation research.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107-114. 

  76. Murphy, C., Dehmelt, V., Yonelinas, A. P., Ranganath, C., & Gruber, M. J. (2021). Temporal proximity to the elicitation of curiosity is key for enhancing memory for incidental information. Learning & Memory, 28(2), 34-39. 

  77. Naveh-Benjamin, M. (1991). A comparison of training programs intended for different types of test-anxious students: Further support for an information-processing model.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3(1), 134-139. 

  78. Naylor, F. D. (1981). A state-trait curiosity inventory. Australian Psychologist, 16(2), 172-183. 

  79. Olson, K. R., Camp, C. J., & Fuller, D. (1984). Curiosity and need for cognition. Psychological Reports, 54(1), 71-74. 

  80. Pacheco-Unguetti, A. P., Acosta, A., Callejas, A., & Lupianez, J. (2010). Attention and anxiety: Different attentional functioning under state and trait anxiety. Psychological Science, 21(2), 298-304. 

  81. Paik, S. H., Cho, B. K., & Go, Y. M. (2007). Korean 4-to 11-Year-Old Student Co nceptio ns o f Heat and Temperatur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4(2), 284-302. 

  82. Pekrun, R. (2006). The control-value theory of achievement emotions: Assumptions, corollaries,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research and practice.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18(4), 315-341. 

  83. Pintrich, P. R., & De Gro o t, E. V. (1990). Mo tivatio 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33-40. 

  84. Pintrich, P. R., Marx, R. W., & Boyle, R. A. (1993). Beyo nd co ld co nceptual change: The ro le o f motivational beliefs and classroom contextual factors in the process of conceptual change. Review of Educational Research, 63(2), 167-199. 

  85. Raffety, B. D., Smith, R. E., & Ptacek, J. T. (1997). Facilitating and debilitating trait anxiety, situational anxiety, and coping with an anticipated stressor: A process analysi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2(4), 892-906. 

  86. Randler, C., Hummel, E., Glaser-Zikuda, M., Vollmer, C., Bogner, F. X., & Mayring, P. (2011). Reliability and validation of a short scale to measure situational emotions in science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6(4), 359-370. 

  87. Rosenberg, E. L. (1998). Levels of analysis and the organization of affect.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47-270. 

  88. Sahin, M., Caliskan, S., & Dilek, U. (201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hysics anxiety rating scale. International Journal of Environmental & Science Education, 10(2), 183-200. 

  89. Schutz, P. A., & Lanehart, S. L. (2002). Introduction: emotions in educ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37(2), 67-68. 

  90. Schutz, P. A., & Pekrun, R. (2007). Emotion in Education. Amsterdam: Academic Press. 

  91. Shin, D. D., & Kim, S. (2019). Homo curious: Curious of interest? Educational Psychology Review, 31(5), 853-874. 

  92. Spielberger, C. D. (1972a).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New York: Academic Press. 

  93. Spielberger, C. D. (1972b). Experimental approaches to test anxiety: Attention and the uses of information. In C. D. Spielberger (Ed.), Anxiety; Current Trends in Theory and Research (Vol. 2). N. Y: Academic press. 

  94. Tobin, K., Ritchie, S., Oakley, J., Mergard, V., & Hudson, P. (2013). Relationships between emotional climate and the fluency of classroom interactions. Learning Environments Research, 16(1), 71-89. 

  95. Trudewind, C. (2000). Curiosity and anxiety as motivational determinants of cognitive development. In J. Heckhausen (Ed.), Advances in Psychology, 131. 

  96. Motivational psychology of human development: Developing motivation and motivating development (pp. 15-38). Elsevier Science. 

  97. Wine, J. D. (1980). Cognitive-attentional theory of test anxiety. In I. G. Sarason (Ed.), Test Anxiety: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s (pp. 349-385). L. Erlbaum Associates, Hillsdale, NJ.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