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드론의 안전 비행을 위한 윈드라이다 저고도 바람 분석 방법 제시
Analysis of Low Altitude Wind Profile Data from Wind Lidar for Drone Aviation Safety 원문보기

한국항공우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v.50 no.12, 2022년, pp.899 - 907  

김제원 (The EAST) ,  류정희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나성준 (The EAST) ,  성성철 (The EAST)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경량 비행장치인 드론의 최대 허용 비행 고도는 지상 150m로 이는 난류의 영향을 받아 바람의 변동성이 강한 대기경계층 내에 존재한다. 또한 대기경계층 내에서의 바람 변동성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다른 특성을 가지므로 드론 관련 안전사고 방지를 위해서는 비행 지역에서의 각 고도의 바람 특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인천국제공항 인근에 위치한 항공기상관측장비 테스트베드에서 윈드라이다(WindMast 350M)를 사용하여 2022년 7월과 9월에 바람의 연직 구조 관측을 수행하였고, 이러한 관측된 바람 자료를 활용하여 드론의 안전비행을 위한 정보를 생산하는 분석 방안을 제시하였다. 우선 윈드라이다를 통해 수집된 바람 자료에 푸리에 변환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수평 풍속의 시간 규모 특징을 각 고도별로 살펴보았다. 또한 강수와 무강수 사례의 바람장의 스펙트럼으로부터 드론 비행에 중요한 바람의 시간 규모인 1시간 이하 규모의 수평 풍속의 분산을 분리하여 전체 규모에 대한 1시간 이하 규모의 기여도를 각 고도별로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ccording to the Unmanned aircraft system Traffic Management (UTM), drones are permitted to fly up to 150m above ground, which is located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where there is considerable wind fluctuation due to turbulence. Although it is difficult to predict when turbulence will occur d...

주제어

참고문헌 (11)

  1. Stull, R. B., "An introduction to boundary layer meteorology,"Kluwer Academic Publisher, 1998. 

  2. O'Connell, M., Shi, G., Shi, X., Azizzadenesheli, K., Anandkumar, A., Yue, Y. and Chung, S. J., "Neural-Fly enables rapid learning for agile flight in strong winds," Science Robotics, Vol. 7, No. 66, 2022, eabm6597. 

  3. Kim, J. W. and Kang, S. L., "Spectral analysis of wind time series at a mountainous coastal region of the eastern Korea peninsula,"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0, No. 2, 2019, pp. 365~383. 

  4. Kang, S. L. and Won, H., "Spectral structure of 5 year time series of horizontal wind speed at the Boulder Atmospheric Observator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 Atmospheres, Vol. 121, No. 20, 2016, pp. 946~967. 

  5. Kim, J. W. and Kang, S. L., "Multiresolution analysis of wind time series at a coastal area: Focusing on the diurnal cycle of sea/land breeze,"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ol. 31, No. 2, 2020, pp. 221~241. 

  6. Lee, D. Y., Park, S. H. and Shin, S. J., "Risk Assessment of a Drone Under the Gust and its Precise Flight Simulation,"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for Aeronautical and Space Sciences, Vol. 50, No. 3, 2022, pp. 173~180. 

  7. Chong, J., Shin, S., Hwang, S. E., Lee, S., Lee, S. H., Kim, B. J. and Kim, S., "Vertical Measurement and analysis of meteorological factors Over Boseong region using meteorological drones," Journal of Earth Science Society, Vol. 41, No. 6, 2022, pp. 575~587. 

  8. Wu, S., Sun, K., Dai, G., Wang, X., Liu, X., Liu, B., Song, X., Reitebuch, O., Li, R., Yin, J. and Wang, X., "Inter-comparison of wind measurements in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and the lower troposphere with Aeolus and a ground-based coherent Doppler lidar network over China,"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Vol. 15, No. 1, 2022, pp. 131~148. 

  9. Paschke, R., Leinweber, R. and Lehmann, B., "An assessment of the performance of a 1.5㎛ Doppler lidar for operational vertical wind profiling based on a 1-year trial," Atmospheric Measurement Techniques, Vol. 8, 2015, pp. 2251~2266. 

  10. Park, M. S. and Choi, M. H., "Development of a Quality Check Algorithm for the WISE Pulsed Doppler Wind Lidar," Atmosphere, Vol. 26, No. 3, 2016, pp. 461~471. 

  11. Wyngaard, J. C., "Turbulence in the Atmosphe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