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할해역 해양정보 공동활용 시스템(JOISS) 용존영양염 자료의 품질관리
Quality Control of Dissolved Nutrient Data in the Jurisdictional Oce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JOISS) 원문보기

바다 : 한국해양학회지 = The sea :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oceanography, v.27 no.4, 2022년, pp.173 - 193  

노태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기개발.운영센터) ,  최상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기개발.운영센터) ,  이지윤 (해봄데이터) ,  권소연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 ,  강동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환경연구센터) ,  송태윤 (해봄데이터) ,  손푸르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기기개발.운영센터)

초록

해수 중 용존영양염은 지구온난화의 주요 원인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 조절에 관여하는 해양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한 핵심변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반도 주변 해역의 해양환경 변화를 지속적으로 감시하기 위해 국가기관의 정기적인 관측과 다양한 연구과제수행을 통해 용존영양염 자료가 수집되고 있다. 이들 자료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각 기관들의 자료를 통합하는 관할 해역 해양정보 공동활용시스템(Jurisdictional Ocean Information Sharing System, JOISS)이 구축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JOISS 용존영양염 자료에 대해 한반도 주변해역의 용존영양염 지역 농도 범위와 용존영양염과 다른 해양학적인 특성 및 용존영양염 성분들간의 상호관계를 이용한 일차 품질관리를 수행 하였다. 지역 농도 범위와 일차품질관리를 통합한 품질관리 표식을 제공함으로써 자료의 신뢰도를 향상하여 JOISS 용존영양염 자료의 활용도 증가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JOISS 용존영양염 자료의 국제적인 상호비교성 향상에 필수적인 이차품질관리 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issolved nutrients in seawater are a key variable for understanding the role of the ocean in controlling atmospheric carbon dioxide, which is a major cause of global warming. In order to continuously monitor changes in the marine environment in the wate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dissolved nutr...

주제어

표/그림 (22)

참고문헌 (16)

  1. Becker, S., M. Aoyama, E.M.S. Woodward, K. Bakker, S. Coverly, C. Mahaffey and T. Tanhua, 2020. GO-SHIP Repeat Hydrography Nutrient Manual: The Precise and Accurate Determination of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in Seawater, Using Continuous Flow Analysis Methods. Frontiers Mar Sci., 7: 581790. DOI: https://doi.org/10.3389/fmars.2020.581790. 

  2. Cai, W., M. Dai and Y. Wang, 2006. Air-sea exchange of carbon dioxide in ocean margins: A province-based synthesis. Geophys Res Lett., 33(12). DOI: https://doi.org/10.1029/2006gl026219. 

  3. Gong, G.-C., Y.L.L. Chen and K.-K. Liu, 1996. Chemical hydrography and chlorophyll a distribution in the East China Sea in summer: implications in nutrient dynamics. Continental Shelf Research, 16(12): 1561-1590. DOI: https://doi.org/10.1016/0278-4343(96)00005-2. 

  4. IOC UNESCO (Intergovernmental Oceanographic Commission of UNESCO), 2013. Ocean Data Standards, Vol. 3: Recommendation for Quality Flag Scheme for the Exchange of Oceanographic and Marine Meteorological Data. IOC Manuals and Guides, 54(3), Paris, 12 pp, (IOC/2013/MG/54-3). 

  5. Jang, P.-G., H. Shin, S. Baek, M. Jang, T. Lee and K. Shin, 2013. Nutrient distribution and effects on phytoplankton assemblages in the western Korea/Tsushima Strait. New Zealand Journal of Marine and Freshwater Research, 47(1):21-37. DOI: https://doi.org/10.1080/00288330.2012.718284. 

  6. Jiang, L.-Q., D. Pierrot, R. Wanninkhof, R.A. Feely, B. Tilbrook, S. Alin, L. Barbero, R.H. Byrne, B.R. Carter, A.G. Dickson, J.-P. Gattuso, D. Greeley, M. Hoppema, M.P. Humphreys, J. Karstensen, N. Lange, S.K. Lauvset, E.R. Lewis, A. Olsen, F.F. Perez, C. Sabine, J.D. Sharp, T. Tanhua, T.W. Trull, A. Velo, A.J. Allegra, P. Barker, E. Burger, W.-J. Cai, C.-T.A. Chen, J. Cross, H. Garcia, J.M. Hernandez-Ayon, X. Hu, A. Kozyr, A.C. Langdon, K. Lee, J. Salisbury, Z.A. Wang and L. Xue, 2022. Best Practice Data Standards for Discrete Chemical Oceanographic Observations. Frontiers Mar Sci., 8: 705638. DOI: https://doi.org/10.3389/fmars.2021.705638. 

  7. Kido, K. and M. Nishimura, 1973. Regeneration of silicate in the ocean. J Oceanogr Soc Jpn., 29: 185-192. DOI:https://doi.org/10.1007/bf02108525. 

  8. Kim, C.-H. and K. Kim, 1983. Origin and Characteristic of cold waters occurring in coastal regions of the East Sea. J. Korean Soc. Oceanogr., 18(1): 73-83. 

  9. Kim, I.-N. and T. Lee, 2004.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the Origin of Summer Bottom Cold Waters in the Korea Strait. Ocean and Polar Research, 26(4): 595-606. 

  10. Kim, K., K.-R. Kim, Y.-G. Kim, Y.-K. Cho, D.-J. Kang, M. Takematsu and Y. Volkov, 2004. Water masses and decadal variability in the East Sea (Sea of Japan). Progress in Oceanography, 61(2-4): 157-174. DOI: https://doi.org/10.1016/j.pocean.2004.06.003. 

  11. Klausmeier, C.A., E. Litchman, T. Daufresne and S.A. Levin, 2004. Optimal nitrogen-to-phosphorus stoichiometry of phytoplankton. Nature, 429: 171-174. DOI: https://doi.org/10.1038/nature02454. 

  12. KMA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2020. Korean Climate Change Assessment Report 2020. 

  13. Olsen, A., N. Lange, R.M. Key, T. Tanhua, H.C. Bittig, A. Kozyr, M. Alvarez, K. Azetsu-Scott, S. Becker, P.J. Brown, B.R. Carter, L.C. da Cunha, R.A. Feely, S. van Heuven, M. Hoppema, M. Ishii, E. Jeansson, S. Jutterstrom, C.S. Landa, S.K. Lauvset, P. Michaelis, A. Murata, F.F. Perez, B. Pfeil, C. Schirnick, R. Steinfeldt, T. Suzuki, B. Tilbrook, A. Velo, R. Wanninkhof and R.J. Woosley, 2020. An updated version of the global interior ocean biogeochemical data product, GLODAPv2. 2020. Earth Syst Sci Data, 12(4): 3653-3678. DOI: https://doi.org/10.5194/essd-12-3653-2020. 

  14. Rho, T.K., 2021. Efforts on Improving Comparability of Ocean Chemical Data. J. Korean Soc. Oceanogr, 26(3): 201-219. DOI: https://doi.org/https://doi.org/10.7850/jkso.2021.26.3.201. 

  15. Schlitzer, R., 2020. Oceanographic quality flag schemes and mappings between them v.1.4 Available at: https://odv.awi.de/fileadmin/user_upload/odv/misc/ODV4_QualityFlagSets.pdf. 

  16. Tanhua, T., S. van Heuven, R.M. Key, A. Velo, A. Olsen and C. Schirnick, 2010. Quality control procedures and methods of the CARINA database. Earth System Science Data, 2(1): 35-49. DOI: https://doi.org/10.5194/essd-2-35-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