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전통어로방식-어살의 전승과 더 좋은 죽방렴 멸치의 생산: 남해안 죽방렴의 구조 변화와 어업방식을 중심으로
Passing Down Traditional Fishing Methods Using Fish Weirs and the Production of Better Bamboo Weir Anchovies: Focusing on Structural Changes to Bamboo Weirs and Fishing Methods on the Southern Coast 원문보기

文化財 = Annual review in cultural heritage studies, v.55 no.3, 2022년, pp.132 - 150  

전경호 (국립해양박물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가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어살은 전통어로방식의 하나로 우리나라 연안어업을 대표하는 어구였다. 그런데 1970년대 이후 연근해 어선어업이 발달하면서 어살을 포함한 전통어로방식은 상대적으로 쇠퇴하기 시작하였다. 현재 어살은 돌살과 죽방렴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데, 경상남도 남해군과 사천시에서는 죽방렴을 이용하여 멸치를 어획하고 있다. 죽방렴의 기본 형태는 물고기가 모이는 공간인 '발통'과, 조류에 의해 물고기가 발통 안으로 들어가게 도움을 주는 V자 혹은 U자 형태의 '할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어업방식은 밀물 때 연안으로 들어왔다가 썰물 때 조류를 따라 발통 안에 갇힌 물고기를 그물이나 뜰채로 어획한다. 이 논문에서는 남해와 사천 지역의 죽방렴 구조와 어업방식의 비교분석을 통해 전통어로방식의 전승 과정을 알아보았다. 먼저 현재의 죽방렴 구조가 완성되는 역사적 과정을 분석했다. 과거 방렴과 어살의 공존 속에서 두 어구의 특성을 조합한 죽방렴이라는 어구가 지족해협과 삼천포해협을 중심으로 완성된 것으로 보인다. 다음으로는 물고기가 모이는 공간(발통)이 원형이거나 방형으로 만들어진 두 가지 형태의 죽방렴의 구조와 어업방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자연환경에 순응하고, 획득 가능한 자원(재료)을 적극 활용하면서 죽방렴 어업이라는 전통 어로기술을 변화시켜 적합한 기술로 발전시킨 어민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는 죽방렴 멸치에 부여된 새로운 가치를 분석하였다. 더 좋은 멸치라는 죽방렴 멸치의 새로운 가치는 다른 멸치어업에 비해 소량 생산되는 죽방렴 멸치어업의 명맥을 유지시켜 주는 하나의 기제로 작동하고 있다. 이처럼 죽방렴 어업은 전통어로방식을 전승하고 있다는 역사성과 함께 다른 어로를 통해서 생산한 멸치보다 더 좋은 멸치라는 차별성까지 획득하면서 계승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esignated as a national intangible cultural asset, the fish weir is a traditional fishing method and was a leading fishing tool in Korean coastal fishery. As the littoral sea area fishing vessel fishery developed since the 1970s, traditional fishing methods including fish weirs began to decline. Th...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2)

  1. 「고려사」 4권, 현종 7년 5월 기사. 

  2. 「고려사」 8권, 문종 12년 7월 기사. 

  3. 「고려사절요」 16권, 고종 37년 1월 기사. 

  4. 「세종실록」 지리지. 

  5. 「영조실록」 77권, 영조 28년 8월 23일 기사. 

  6. 정약용, 「경세유표」 제14권. 

  7. 「태조실록」 12권, 태조 6년 10월 8일 기사. 

  8. 국립민속박물관 2002. 「경남 어촌민속지」. 

  9. 김려(김명년 역), 2010, 「牛海異魚譜」, 한국수산경제. 

  10. 농상공부 수산국(이근우.신명호.심민정 역), 2010, 「한국수산지 I-1」, 새미. 

  11. 농상공부 수산국(이근우.신보배.전지혜 역), 2010, 「한국수산지 I-2」, 새미. 

  12. 박경용, 2013, 「남해안 竹防簾 어업과 물질.물건의 전통지식」, 「南道文化硏究」 25, 순천대학교 남도문화연구소, pp.253~286. 

  13. 박종오, 2011, 「죽방렴(竹方廉) 관련 의례에 나타난 어로관념」, 「남도민속연구」 22, 남도민속학회, pp.111~133. 

  14. 서유구(박종우, 정명현, 민철기 역), 2021, 「임원경제지 전어지 2」, 풍석문화재단. 

  15. 요시다 케이이치(박호원.김수희 역), 2019. 「조선수산개발사」, 민속원. 

  16. 이경주.권호종.정대율, 2019, 「남해안의 전통적인 수산 어로방식인 죽방렴의 문헌적 고찰」,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9(2),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pp.469~480. 

  17. 조용순, 2005, 「경남 남해군 지족해협의 죽방렴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平安北道産業課 漁業組合聯合會, 「漁具圖集」. 

  19. 홍기옥, 2017, 「원시 어법 '죽방렴' 관련 어휘 연구-죽방렴 관련 명칭과 제작, 보수하기 관련 어휘-」, 「人文硏究」 81,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pp.60~96. 

  20. 한국일보 2022년 4.18 기사: "육질 으뜸 '죽방멸치' 550년 지킨 전통의 힘으로 세계농업유산 노크" 

  21.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전통어로방식-어살: https://www.heritage.go.kr/heri/cul/culSelectDetail.do?VdkVgwKey17,01380100,ZZ&pageNo1_1_1_0(접속일: 2022.06.07.) 

  22. 한국민족문화대백과 어전: https://terms.naver.com/entry.nhn?docId580898&cid46631&categoryId46631(접속일: 2022.06.0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