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위성영상의 방사적 특성을 고려한 구름 탐지 방법 개발
Development of Cloud Detection Method Considering Radiometric Characteristics of Satellite Imagery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6/1, 2023년, pp.1211 - 1224  

서원우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강홍기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윤완상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임평채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이수암 ((주)쓰리디랩스 영상공학연구소) ,  김태정 (인하대학교 공간정보공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구름은 광학위성을 이용한 국토 관측 및 재난 대응, 변화 탐지 등 지표의 현상을 관측하는데 있어 많은 어려운 문제를 야기한다. 구름의 존재는 영상 처리 단계 뿐만 아니라 최종적으로는 데이터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를 반드시 식별하고 제거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내 구름의 분광패턴에 가장 근접한 화소를 탐색 및 추출해 최적의 임계값을 선정하고 임계값을 바탕으로 구름 산출물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새로운 구름 탐지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구름 탐지 기법은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된다. 첫 번째 단계에서는 Digital Number (DN) 단위 영상을 대기상층 반사율 단위로 변환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대기상층 반사율 영상을 이용하여 Hue-Value-Saturation (HSV) 변환 및 삼각형 임계 처리, 최대우도 분류 등의 전처리를 적용하고 각 영상별로 초기 구름 마스크 생성을 위한 임계값을 결정한다. 세번째 후처리 단계에서는 생성된 초기 구름 마스크에 포함된 노이즈를 제거하고 구름 경계 및 내부를 개선한다. 구름 탐지를 위한 실험 자료로 구름의 공간적, 계절적 분포의 다양성을 보여주는 4~11월 시기에 한반도 지역에서 촬영된 국토위성 L2G 영상을 사용하였다. 제안 방법의 성능을 검증하기 위해 단일 임계화 방법으로 생성된 결과를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과 비교하여 전처리 과정을 통해 각 영상의 방사학적 특성을 고려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하게 구름을 검출할 수 있었다. 또한, 구름 개체를 제외한 나머지 밝은 물체(판넬식 지붕, 콘크리트 도로, 모래 등)의 영향을 최소화하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제안 방법은 기존 방법 대비 F1-score 기준으로 30% 이상의 개선된 결과를 보여주었으나 눈이 포함된 특정 영상에서 한계점이 있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louds cause many difficult problems in observing land surface phenomena using optical satellites, such as national land observation, disaster response, and change detection. In addition, the presence of clouds affects not only the image processing stage but also the final data quality, so it is nec...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러한 변형은 최종 탐지 결과에 심각한 오류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보완하는 과정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위성영상 내 구름의 분광패턴에 가장 근접한 화소를 탐색 및 추출해 최적의 임계값을 선정하고 임계값을 바탕으로 구름 산출물을 제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자동으로 수행하는 구름 탐지 기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구름 탐지 기법 중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단일 임계값의 문제를 보완한 구름 탐지 방법을 제안하였다. 제안 방법은 사전에 정해진 임계값을 모든 영상에 적용하는 것이 아닌 전처리를 통해 영상 내 구름 개체 후보를 자동으로 탐색하고 개체에 포함된 화소의 통계값 및 누적분포함수를 통해 최적의 임계값을 적용하였다.
  • 2). 이를 통해 RGB 각각에 대한 임계값을 결정하는 대신 HSV 중 밝기에 대한 임계값만을 결정하여 위성영상 내에 존재하는 구름을 포함하여 밝기값이 상대적으로 높은 화소를 식별하고자 하였다.

가설 설정

  • , 2014; Lee and Choi, 2021). 이 방법은 기본적으로 지표면의 반사율이 단시간 내에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고, 기준영상 대비 대상영상에서 반사율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화소를 구름 화소로 간주한다. 그러나 이 방법은 기준영상도 구름이 영향이 매우 적어야 하며, 무엇보다 국토위성과 같이 재방문 주기가 상대적으로 긴 위성에는 대기 및 지표 상태 변화의 문제로 적용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 이는 밴드별 평균과 밴드 간 공분산 특성을 고려하여 클래스 크기가 동일하지 않은 이봉 분포에서 자동 임계값 선택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오츠(Otsu)의 방법에 비해 더 강력한 접근 방식으로 알려져 있다. 이 방법을 실험에 적용하기 위해 삼각형 임계처리 방법으로 추출된 밝은 개체 후보에 구름 개체 후보 클래스와 나머지 밝은 개체 후보 클래스 이두개 클래스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였다. 그리고 평균 화소값 벡터가 높은 화소와 평균 화소값 벡터가 낮은 화소를 사전에 정의하고 최대우도 분류를 수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racknell, M. J., and Reading, A. M., 2014. Geological?mapping using remote sensing data: A comparison?of five machine learning algorithms, their response?to variations in the spatial distribution of training?data and the use of explicit spatial information.?Computers & Geosciences, 63, 22-33. https://doi.org/10.1016/j.cageo.2013.10.008 

  2. Du, W., Qin, Z., Fan, J., Gao, M., Wang, F., and Abbasi,?B., 2019. An efficient approach to remove thick?cloud in VNIR bands of multi-temporal remote?sensing images. Remote Sensing, 11(11), 1284.?https://doi.org/10.3390/rs11111284 

  3. Han, Y., Kim, B., Kim, Y., and Lee, W. H., 2014.?Automatic cloud detection for high spatial resolution?multi-temporal images. Remote Sensing Letters,?5(7), 601-608. https://doi.org/10.1080/2150704X.2014.942921 

  4. Hasan, A., Witharana, C., Udawalpola, M. R., and?Liljedahl, A. K., 2022. Detection of clouds in?medium-resolution satellite imagery using deep?convolutional neural nets. The International?Archives of the Photogrammetry, Remote Sensing?and Spatial Information Sciences, 46, 103-109.?https://doi.org/10.5194/isprs-archives-XLVI-M-2-2022-103-2022 

  5. Kang, J., Kim, G., Jeong, Y., Kim, S., Youn, Y., Cho,?S., and Lee, Y., 2021. U-net cloud detection for?the SPARCS cloud dataset from Landsat 8 images.?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5-1),?1149-1161. https://doi.org/10.7780/kjrs.2021.37.5.1.25 

  6. Kim, S. H., and Eun, J., 2021. Development of cloud?and shadow detection algorithm for periodic?composite of Sentinel-2A/B satellite images.?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7(5-1),?989-998. https://doi.org/10.7780/kjrs.2021.37.5.1.13 

  7. Kim, T., 2020. Current research and development status?for CAS 500-1/2 image processing and utilization?technology.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36(5-2), 861-866. https://doi.org/10.7780/kjrs.2020.36.5.2.1 

  8. Kriebel, K., Gesell, G., Kastner, M., and Mannstein,?H., 2003. The cloud analysis tool APOLLO:?Improvements and validations. International?Journal of Remote Sensing, 24(12), 2389-2408.?https://doi.org/10.1080/01431160210163065 

  9. Lee, H. S., and Lee, K. S., 2015. Development of cloud?detection method with Geostationary Ocean?Color Imagery for land applications. Korean?Journal of Remote Sensing, 31(5), 371-384.?https://doi.org/10.7780/kjrs.2015.31.5.2 

  10. Lee, K., and Kim, K., 2019. An experiment for surface?reflectance image generation of KOMPSAT 3A?image data by open source implementation.?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5(6-4),?1327-1339. https://doi.org/10.7780/kjrs.2019.35.6.4.3 

  11. Lee, K. S., 2019. Atmospheric correction issues of?optical imagery in land remote sensing. Korean?Journal of Remote Sensing, 35(6-3), 1299-1312.?https://doi.org/10.7780/kjrs.2019.35.6.3.12 

  12. Lee, K. S., 2021. Remote sensing principles and methods.?CIR. 

  13. Lee, S., and Choi, J., 2021. Daytime cloud detection?algorithm based on a multitemporal dataset for?GK-2A imagery. Remote Sensing, 13(16), 3215.?https://doi.org/10.3390/rs13163215 

  14. Park, S., Kwak, G.-H., Ahn, H.-Y., and Park, N.-W., 2023. Performance evaluation of machine learning?algorithms for cloud removal of optical imagery:?A case study in cropland. Korean Journal of?Remote Sensing, 39(5-1), 507-519. https://doi.org/10.7780/KJRS.2023.39.5.1.4 

  15. Qiu, S., Zhu, Z., and He, B., 2019. Fmask 4.0: Improved?cloud and cloud shadow detection in Landsats?4-8 and Sentinel-2 imagery. Remote Sensing of?Environment, 231, 111205. https://doi.org/10.1016/j.rse.2019.05.024 

  16. Stowe, L. L., Davis, P. A., and McClain, E. P., 1999.?Scientific basis and initial evaluation of the?CLAVR-1 global clear/cloud classification algorithm?for the Advanced Very High Resolution Radiometer.?Journal of Atmospheric and Oceanic Technology,?16(6), 656-681. https://doi.org/10.1175/1520-0426(1999)016 2.0.CO;2 

  17. Zack, G. W., Rogers, W. E., and Latt, S. A., 1977.?Automatic measurement of sister chromatid?exchange frequency. Journal of Histochemistry?& Cytochemistry, 25(7), 741-753. https://doi.org/10.1177/25.7.70454 

  18. Zhang, C., Weng, L., Ding, L., Xia, M., and Lin,?H., 2023. CRSNet: Cloud and cloud shadow?refinement segmentation networks for remote?sensing imagery. Remote Sensing, 15(6), 1664.?https://doi.org/10.3390/rs15061664 

  19. Zhong, B., Chen, W., Wu, S., Hu, L., Luo, X., and Liu,?Q., 2017. A cloud detection method based on?relationship between objects of cloud and cloud-shadow for Chinese moderate to high resolution?satellite imagery. IEEE Journal of Selected Topics?in Applied Earth Observations and Remote Sensing,?10(11), 4898-4908. https://doi.org/10.1109/JSTARS.2017.2734912 

  20. Zhu, Z., and Woodcock, C. E., 2014. Automated cloud,?cloud shadow, and snow detection in multitemporal?Landsat data: An algorithm designed specifically?for monitoring land cover change. Remote Sensing?of Environment, 152, 217-234. https://doi.org/10.1016/j.rse.2014.06.012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