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의 우주 교육을 위한 라즈베리 파이 기반 캔위성 수업자료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of CanSat Instruction Materials using Raspberry Pi for Space Education in University and Its Application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6 no.1, 2023년, pp.3 - 11  

유승훈 (공군사관학교 컴퓨터과학과) ,  이상현 (공군사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  이상구 (공군사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  이영건 (공군사관학교 전자통신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Raspberry Pi-based CanSat instruction materials for liberal arts classes to be used in university space education. The educational satellite simulation program is developed by applying the ADDIE program consisting of analysis, design, development, execution, a...

주제어

참고문헌 (27)

  1. 과기부(2022). 대한민국 달 궤도선 「 다누리」, 달 향한 여정 시작됐다.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pageIndex&bbsSeqNo94&nttSeqNo3182006&searchOptALL&searchTxt. 

  2. 과기부(2022). 정부 2022년 우주개발에 7,340억원 투자. https://www.msit.go.kr/bbs/view.do?sCodeuser&mId113&mPid112&bbsSeqNo94&nttSeqNo3181468&formMode&pageIndex&searchCtgry&searchCtgry2&searchCtgry3&RLS_YN&searchOptALL&searchTxt. 

  3. 김송현 외(2020). 공군사관학교 캔위성 교육 현황 및 발전방향 연구. 한국군사학논집, 76(1), 203-219. 

  4. 김신명.이철(2022). 뉴스페이스 리더 양성 사업 성과 분석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39-540. 

  5. 김용진 외(2017). STEAM 프로그램 활용 가이드북. 한국과학창의재단. 

  6.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양서원. 

  7. 나성주.송주환(2021). 라즈베리파이 기반 원격 식물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디지털콘텐츠학회논문지, 22(4), 737-742. 

  8. 박홍영 외(2012). 캔위성 대회를 위한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설계 및 구현.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897-900. 

  9. 서울대 심리연구팀(2004).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도구. 

  10. 신구환 외(2012). 국내 최초 캔위성 경연 대회용 전자부 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910-913. 

  11. 심세용(2016). 중학교 기술교육에서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아두이노 STEAM 프로그램 개발.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12. 심세용.김진옥.김진수(2016). 중학생의 기술적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아두이노 활용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6(1), 77-100. 

  13. 윤정구 외(2018). 아두이노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이 고등학생의 창의적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The SNU Journal of Education Research, 27(3), 53-73. 

  14. 이대석.임영대.김진수(2020). 일반계고의 창의공학설계 수업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STEAM 수업자료 개발과 적용. 공학교육연구, 23(1), 3-9. 

  15. 이영건 외(2021). 창의공학설계 및 실습 수업을 위한 아두이노 기반 교육용 캔위성 개발 연구. 공학교육연구, 24(5), 38-45. 

  16. 임동욱(2012). 손에 잡히는 STEAM 교육 무엇이 아이들을 즐겁게 하는가. 한국과학창의재단. 

  17. 조석희 외(2001). 간편 창의적 문제해결력 검사 개발 연구(I). 한국교육개발원. 

  18. 최남미 외(2014). 국가 우주교육 시스템 구축을 위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 학술발표회 초록집, 974-977. 

  19. 최남미 외(2020). 국내 초소형위성 역량 발전을 위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항공우주학회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269-270. 

  20. 최숙영.김세민(2016). 앱 인벤터와 아두이노를 이용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이 공업계 고등학생의 창의.융합적 사고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6), 45-54. 

  21. 한우제 외(2022). 우주산업 맞춤형 대학생 위성부품 시험 현장 실습. 한국항공우주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537-538. 

  22. KAIST(2019). 2018 DDSHS-KAIST 비룡창의과학연구 R&E 프로그램 연구결과보고서. 대전: 애드파워 

  23. LaCombe, J. C. et al.(2007). Design experiences with a student satellite program. In Proceedings of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 Pacific Southwest Annual Conference, 1-10. 

  24. Lawshe, C. H.(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28(4), 563-575. 

  25. Molenda, M.(2003). In search of the elusive ADDIE model. Performance improvement, 42(5), 34-37. 

  26. Ortiz, M. et al.(2020). CanSat Pico-satellite building workshop as an effective tool for STEAM education. In Proceedings of American Society for Engineering Education's Virtual Conference, 1-15. 

  27. Prajapati, R. C. et al.(2017). Introducing CanSat for Project Based Learning (PBL) of Space Science and Engineering in Nepal. In 31st ISTS-International Symposium on Space Technology and Science, 1-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