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메콩강 유역의 격자형 강수 자료에 의한 강우-유출 모의 성능 비교·분석
Comparison of rainfall-runoff performance based on various gridded precipitation datasets in the Mekong River basin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v.56 no.2, 2023년, pp.75 - 89  

김영훈 (경북대학교 미래과학기술융합학과) ,  레수안히엔 (경북대학교 재난대응전략연구소) ,  정성호 (경북대학교 미래과학기술융합학과) ,  연민호 (경북대학교 미래과학기술융합학과) ,  이기하 (경북대학교 미래과학기술융합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강우-유출 해석은 하천 홍수예경보, 댐 유입량 산정 및 방류량 결정 등 수자원 관리 및 계획수립에 있어 중요한 과정이며, 밀도높은 강우관측망으로부터 수집된 강우 자료는 정확한 강우-유출 해석을 위한 가장 중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본 연구 대상 지역인 메콩강 유역은 국가공유하천으로 강수 자료수집이 어렵고, 구축된 자료의 양적, 질적 품질이 국가별로 상이하여 수문해석 결과의 불확실성을 높일 우려가 있다. 최근 원격탐사 기술의 발달로 격자형 글로벌 강수자료의 획득이 용이해졌으며, 이를 활용한 미계측 유역 또는 대유역에서의 다양한 수문해석 연구들이 수행된 바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계측 대유역 수문해석에 있어 격자형 강수자료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3개의 위성 강수자료(TRMM, GSMaP, PERSIANN-CDR)와 2개의 지점 격자형 강수자료(APHRODITE, GPCC)를 수집하고, APHRODITE를 관측값으로 합성곱 신경망 모형인 ConvAE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위성 강수자료의 시·공간적 편의보정을 수행하였다. 또한, 메콩강 본류의 주요지점인 Luang Prabang, Pakse, Stung Treng, Kratie 4개 수위 관측소를 선정하여 SWAT 모형의 매개변수를 보정(2004~2011)하고 지점 격자형 강수자료 및 위성 강수자료의 보정전·후의 유출모의(2012~2013)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원시위성 강수자료 및 GPCC는 APHPRODITE에 비해 정량적으로 과소 또는 과대추정되거나 공간적으로 매우 상이한 패턴을 나타낸 반면, GSMaP과 ConvAE를 이용하여 보정된 위성 강수자료의 경우, APHPRODITE에 대한 시·공간적 상관성이 개선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유출모의의 경우, 모든 지점에 대해서 ConvAE로 보정된 위성 강수자료를 이용한 유출모의 결과가 원시 위성강수자료를 이용한 유출결과 보다 정확도가 향상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격자형 위성 강수자료 보정기법과 연계한 강우-유출 해석은 향후 다양한 위성 강수자료를 활용한 미계측 대유역 수문해석에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Mekong River basin is a nationally shared river, it is difficult to collect precipitation data, and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quality of the data sets differs from country to country, which may increase the uncertainty of hydrological analysis results.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9)

  1. Chen, A., Chen, D., and Azorin Molina, C. (2018). "Assessing reliability of precipitation data over the Mekong River basin: A?comparison of ground-based, satellite, and reanalysis datasets."?International Journal of Climatology, Vol. 38, No. 11, pp.?4314-4334. 

  2. Cho, J., Kim, C.G., Hwang, S., Shin, J., and Park, J. (2019). "Hydrologic evaluation of grid-based global climate data for use in?ungauged watershed." Journal of Climate Change Research,?Vol. 10, No. 1, pp. 23-34. 

  3. Dhungana, S., Shrestha, S., Van, T.P., Kc, S., Das Gupta, A., and?Nguyen, T.P.L. (2023). "Evaluation of gridded precipitation?products in the selected sub-basins of Lower Mekong River?basin." Theoretical and Applied Climatology, Vol. 151, pp.?293-310. 

  4. Dinh, K.D., Anh, T.N., Nguyen, N.Y., Bui, D.D., and Srinivasan, R.?(2020). "Evaluation of grid-based rainfall products and water?balances over the Mekong River basin." Remote Sensing, Vol.?12, No. 11, 1858. 

  5. Fu, Q., Ruan, R., and Liu, Y. (2011). "Accuracy assessment of global?satellite mapping of precipitation (gsmap) product over poyang?lake basin, China." Procedia Environmental Sciences, Vol. 10,?pp. 2265-2271. 

  6. Irannezhad, M., and Liu, J. (2022). "Evaluation of six gauge-based?gridded climate products for analyzing long-term historical?precipitation patterns across the Lancang-Mekong River basin."?Geography and Sustainability, Vol. 3, No. 1, pp. 85-103. 

  7. Jung, S., Oh, S., Lee, D., Le, X. H., and Lee, G. (2021). "Application?of convolutional autoencoder for spatiotemporal bias-correction?of radar precipitation."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Association, Vol. 54, No. 7, pp. 453-462. 

  8. Karimpouli, S., and Tahmasebi, P. (2019). "Segmentation of digital?rock images using deep convolutional autoencoder networks."?Computers and Geosciences, Vol. 126, pp. 142-150. 

  9. Kim, D.H., and Kim, S.M. (2016). "Evaluation of SWAT model applicability for runoff estimation in Nam River dam watershed."?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Vol.?58, No. 4, pp. 9-19. 

  10. Kim, J.H., Choi, Y.S., and Kim, K.T. (2020). "Comparison of accuracy?for GPM IMERG, GSMaP and CMORPH satellite precipitation?products over Korea."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Vol. 23, No. 3, pp. 208-219. 

  11. Kim, J.P., Park, K.W., Jung, I.W., Han, K.S., and Kim, G. (2013).?"Application of high resolution multi-satellite precipitation?products and a distributed hydrological modeling for daily?runoff simulation."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ol.?29, No. 2, pp. 263-274. 

  12. Kim, J.P., Park, K.W., Jung, I.W., Kim, G., and Yoon, S.K. (2014).?"Validation of multi-satellite precipitation products for assessing?their potential utility of hydrological application over South?Korea."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Vol. 14, No. 2, pp. 85-96. 

  13. Le, X.H., Lee, G., Jung, K., An, H.U., Lee, S., and Jung, Y. (2020).?"Application of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for spatiotemporal bias correction of daily satellite-based precipitation."?Remote Sensing, Vol. 12, No. 17, 2731. 

  14. Lee, D.E. (2019). Analysis of runoff and flood inundation in the?lower Mekong River basin due to climate change. Ph. D.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pp. 95-97. 

  15. Lee, D.E., Yu, W.S., and Lee, G.H. (2018). "Large scale rainfall-runoff analysis using SWAT model: Case study: Mekong River?basi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Vol. 60, No. 1, pp. 47-57. 

  16. Li, Z., Yang, D., and Hong, Y. (2013). "Multi-scale evaluation of?high-resolution multi-sensor blended global precipitation?products over the Yangtze River." Journal of Hydrology, Vol.?500, pp. 157-169. 

  17. Moriasi, D.N., Arnold, J.G., Van Liew, M.W., Bingner, R.L., Harmel,?R.D., and Veith, T.L. (2007). "Model evaluation guidelines for?systematic quantification of accuracy in watershed simulations."?Transactions of the ASABE, Vol. 50, No. 3, pp. 885-900. 

  18. Try, S., Tanaka, S., Tanaka, K., Sayama, T., Oeurng, C., Uk, S., Takara, K., Hu, M., and Han, D. (2020). "Comparison of gridded?precipitation datasets for rainfall-runoff and inundation modeling in the Mekong River basin." PLoS One, Vol. 15, No. 1, e0226814. 

  19. Wang, W., Lu, H., Yang, D., Sothea, K., Jiao, Y., Gao, B., Peng, X.,?and Pang, Z. (2016). "Modelling hydrologic processes in the?Mekong River Basin using a distributed model driven by?satellite precipitation and rain gauge observations." PloS One,?Vol. 11, No. 3, e015222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