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삼 심마니 채삼 관습과 민법상 특수지역권
Wild Ginseng Digger's Digging Custom and Its Special Servitude of Korean Civil Act 원문보기

인삼문화 = Journal of ginseng culture, v.5, 2023년, pp.77 - 96  

배병일 (영남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를 인삼 종주국으로 자리매김한 고려인삼의 기원은 산삼이다. 그 산삼의 채삼 관습의 근거를 조선왕조실록, 일제 강점기 법령, 우리나라 산림법령과 민법 등에서 찾고자 하였다. 조선 시대와 일제 강점기 이전에는 심마니 채삼 관습은 입회관행으로 존재하였지만, 1910년 일제는 강점기 동안 우리나라 고유한 입회권 법리를 왜곡하였다. 일제가 왜곡한 입회권 법리는 해방 이후에 계속돼 1960년 민법 시행 때까지 유지되었다. 민법 시행 이후 입회권 법리는 특수지역권으로 바뀌었다. 입회권의 연원은 조선 시대의 시초장으로 난방용 땔감이나 사료용 풀을 채취할 수 있는 시초장은 조선 시대 그 당시 지역주민이 생존할 수 있는 최소한의 생존권이자 권익이었다. 생존권으로서의 입회권이었기 때문에 일제가 이를 폐지하려고 시도하였지만 실패하였다. 그럼에도 일제가 왜곡한 입회권 법리는 산림관련법령 등에서 지금까지도 유지되고 있다. 1945년 광복이 된 지 70년이 지난 이제는 일제의 심마니 채삼 관습에 관한 왜곡된 법리에서 탈피하여야 하고, 채삼 관행의 근거가 입회관행에서 민법상 특수지역권으로 변화된 것을 인정하여야 한다. 이에 심마니 단체는 법인 아닌 사단이고, 심마니의 채삼 관행은 민법상 특수지역권으로 법리 구성할 수 있고, 심마니의 산삼 채삼 행위는 관습법적으로 유효하다고 보아야 한다. 이를 통해 인삼과 관련된 산삼 채취행위에 관한 법적 성질과 그 근거를 명확히 할 수 있고, 심마니 채삼 행위의 민사법적 책임소재도 명확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looks at the origin of a wild-ginseng, Korean ginseng, and traces the origin of associated wild-ginseng digging customs back to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These historical customs helped Korea gain control over its wild ginseng resources following Japanese colonization acts, Korea'...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곽윤직, 김재형. 「민법총칙」 (박영사, 2013). 

  2. 곽윤직, 김재형. 「물권법」 (박영사, 2014). 

  3. 김용한. 「물권법론」 (박영사, 1996). 

  4. 김증한, 김학동. 「물권법」 (박영사, 1997). 

  5. 이숭녕. 「은어고」 (일조각, 1957). 

  6. 이영준. 「물권법」 (박영사, 2014). 

  7.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上」 (岩波書店, 1939). 

  8. 和田一郞. 「山人蔘採り. 朝鮮の?ひ」 (ウツボヤ書籍店, 1921). 

  9. 김이협. 「심메꾼(심마니) 은어집」, 「방언」 3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0. 배도식. 「심메마니 은어의 조어 구조」, 「어문학교육」 4 (한국어문교육학회, 1981). 

  11. 배병일. 「산삼 채취인-심메마니의 관습에 관한 법사회학적 연구」, 「비교사법」 (한국비교사법학회, 1994). 

  12. 배병일. 「임야 입회 관행에 관한 문헌적 연구」, 「토지법학」 18 (한국토지법학회, 2002). 

  13. 손진태. 「강계 채삼자의 습속」, 「조선민속」 2 (조선민속학회, 1934). 

  14. 연호택. 「심메마니 은어의 연구(II)」, 「관대논문집」 21(1) (관동대학교, 1993). 

  15. 연호택. 「심메마니 은어의 연구: 오대산 지역을 중심으로」, 「관대논문집」 20(1) (관동대학교, 1992). 

  16. 이길록. 「채삼인의 은어와 습속」, 「어문학보」 3(1) (강원대국어교육학과, 1975). 

  17. 이숭녕. 「쇄멸 단계에 들어선 심메마니 은어에 대하여」, 「방언」 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0). 

  18. 장정룡. 「오대산 심메마니의 산신제」, 「월간태백」 9 (강원일보사, 1990). 

  19. 장태진. 「지리산 지구 산삼 채취인 은어의 실태」, 「가람 이병기 박사 송수논문집」 (三和出版社, 1966). 

  20. 최범훈. 「심마니 은어 연구」, 「한국문학연구」 6.7 (한국문화연구소, 1984). 

  21. 최승순. 「강원도지방 채삼인 습속」, 「한국민속학」 8(1) (한국민속학회, 1975). 

  22. 최호균. 「16세기 말 채삼 사건과 대여진정책」, 「대동문화연구」 32 (성균관대 동아시아학술원, 1997). 

  23. 今村?. 「山人蔘採りの風習」, 「靑丘學總」 6 (靑丘學會, 1931). 

  24. 中尾英俊. 「債權的入會權について」, 「法律時報」 592,119 (日本評論社, 1977). 

  25. 조선왕조실록 

  26. 대법원 판례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