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전교육의 효과성 향상에 관한 연구 - 제조업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Improvement of Safety Education - Focused on the Education of Manufacturing Risk Assessment Officer -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9 no.1 = no.59, 2023년, pp.97 - 104  

김진억 (Department of Industrial Engineering, Sunmoo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안전보건공단에서는 위험성평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웹 기반의 KRAS 개발하여 각 사업장의 유형별 평가 모델을 제공하고 있다. 위험성평가의 이해를 돕기위해 민간 기관에서는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기업의 규모에 따른 제조업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할 것이다. 연구방법: 2017년부터 2021년까지 5년 이내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이수한 670개 사업장을 대상으로 SPSS 22를 이용하여, 재해 발생 관련 데이터를 통해, 100인을 기준으로 100인 미만 집단과 100인 이상 집단을 나누어 상관분석과, t-검정을 통해 재해율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설 1번~5번 채택, 5~8번 기각 되었다. 결론: 100인 이상의 기업 교육을 대상으로 한 기업의 규모에 따른 교육과정의 편성을 고려하고 위험성평가 인정 시의 혜택을 상향하는 부분에 대하여 제고해 볼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web based KRAS risk assessment support system to facilitate risk assessment in small businesses and provides an assessment model for each type of business. In order to help understand risk assessment, private institutions have opened and operated training in charge of risk assessment. I...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을 받은 기업의 규모에 따른 재해율의 관계성을 분석한 연구이다. 100인 미만과 100인 이상의 기업의 규모에 따른 재해 발생 관련 데이터를 분석함으로써 100인 미만과 100인 이상의 기업에 차이를 분석을 통해 가설을 채택하였다.
  • 본 연구를 통해 위험성평가 담당자 교육 이수 사업장을 대상으로 재해 발생 관련 데이터를 통해, 100인을 기준으로 100인 미만 집단과 100인 이상 집단을 나누어 분석해 보고자 한다.

가설 설정

  • 상관계수로 살펴본 결과, 가설 1에서 8까지에 대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가설 1(재해발생건 수와 재해율은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 가설2(재해 발생건수와 사고 사망자 수는 상관관계가 있을 것이다)가 채택 되었다. 재해 발생건수와 재해율 사고사망자 수는 상관계수에 대한 분석에 따라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 재해 발생건수와 재해율 사고사망자 수는 상관계수에 대한 분석에 따라 관련이 있음을 나타냈다. 가설 3~8의 경우 상관관계 분석으로는 측정이 어려우므로 t-검정을 통해 차이를 확인할 수 있다.
  • 가설 4
  • 가설 5
  • 가설 6
  • 가설 7
  • 가설 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Baek, J.B. (2015).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isk Assessment.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Agency, 2015-Researcher-608, South Korea. 

  2. Cho, H.H. (2014).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Education for the Improvement of Safety?Consciousness of Employer.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4-Researcher-959, South Korea. 

  3. Choi, H.J. (2022). "Risk assessment for disaster reduction in small-scale construction sites." Journal of Society of?Disaster Information, Vol. 18, No. 2, pp. 395-404. 

  4. Jang, G.H., Ha, K.C. (2016). "The effect of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on occupational accidents."?Journal of Society of Occupational and Environmental Hygiene, Vol. 26, No. 1, pp. 90-98. 

  5. Jung, J.W. (2014) "A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risk assessment system at workplace in Korea." Journal of the?Korean Society of Safety, Vol. 29, No. 3, pp. 122-123. 

  6. Kang, J.C., Jang, S.R. (2004) "Incentive models of the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system." Journal of?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ol. 19, No. 4, pp. 129-134. 

  7. Kim, B.S. (2017). Industrial Safety Management Theory. Hyungseol Publisher, South Korea. 

  8. Kim, J.E. (2021). A Study on Improving Measure through Investigation of the Actual Condition of Risk Assessment?Staff Education and Analysis of the Trend of Accident Occurrence. Master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9. Kim, Y.K., Park, J.Y., Kim, S.E. (2021).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onstruction safety education on unstable?behavior." Journal of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7, No. 1, pp. 154-164. 

  10. Lee, J.B. (2022). "Analysis of operation system establishment cases for efficient use of risk assessment at?construction sites - H focusing on construction company study." Journal of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8,?No. 4, pp. 828-838. 

  11. Lee, M.K. (2018). A Study on the Effective Training Plan of Employer and Management Supervisor. Kore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8-Researcher-785, South Korea. 

  12.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20). Guidelines for Risk Assessment in Workplaces[2020-53]. 

  13. Shin, S.M. (2017). A Study on Strengthening the Field Operation of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Education. Korea?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17-Researcher-907, South Korea.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