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루탐산 생산을 위한 Lactococcus lactis HY7803 균주의 대두 발효 적용
Application of Lactococcus lactis HY7803 into Soybean Fermentation for Production of Glutamic Acid 원문보기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letters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v.51 no.1, 2023년, pp.53 - 58  

이정민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허소정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지훈 ((주)hy 중앙연구소) ,  표은지 ((주)hy 중앙연구소) ,  이명희 ((주)hy 중앙연구소) ,  신상익 ((주)hy 중앙연구소) ,  이재환 ((주)hy 중앙연구소) ,  이정열 ((주)hy 중앙연구소) ,  정도원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actococcus lactis HY7803 균주를 대두 발효에 적용하여 맛 성분을 향상시키는 조미료 제조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대두 발효를 진행하였다. 대두발효물의 이화학적 분석 결과에 따르면, L. lactis HY7803 균주를 접종한 대두 발효물은 발효가 진행되면서 아미노태질소 함량, 아미노산 함량이 증가한 반면, 생균수가 감소하였다. 또한 맛성분에 기여하는 아미노산인 글루탐산의 함량을 보면,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114.99 ± 9.37 pmol/ul에서 138.14 ± 1.76 pmol/ul로 함량이 증가하였고, 글루탐산을 포함한 12개의 아미노산 함량이 음성대조군인 균을 첨가하지 않은 대두발효물에 비해 높았고, Aspergillus oryzae SNU-G를 첨가한 대두발효물과 유사한 함량으로 측정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L. lactis HY7803가 A. oryzae SNU-G의 대체종균으로써 이용 가능하며, 대두 발효를 통해 감칠맛 성분을 생산하는데 기여하는 종균으로써 효과적일 것으로 판단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lutamic acid producing strain for development savory taste enhancing foods was identified the possibility through application into soybean fermentation. To check the effects on glutamic acid production during soybean fermentation, Lactococcus lactis HY7803 was introduced as a starter. The soybe...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18)

  1. Bellisle F. 1999. Glutamate and the UMAMI taste: sensory, metabolic, nutritional and behavioural considerations. A review of the literature published in the last 10 years. Neurosci. Biobehav. Rev. 23: 423-438.? 

  2. Ikeda K. 2002. New seasonings. Chem. Senses. 27: 847-849.? 

  3. Kurihara K. 2015. Umami the fifth basic taste: history of studies on receptor mechanisms and role as a food flavor. BioMed Res. Int. 2015: 189402.? 

  4. Yoshida Y. 1998. Umami taste and traditional seasonings. Food Rev. Int. 14: 213-246.? 

  5. Populin T, Moret S, Truant S, Conte LS. 2007. A survey on the presence of free glutamic acid in foodstuffs, with and without added monosodium glutamate. Food Chem. 104: 1712-1717.? 

  6. Stanska K, Krzeski A. 2016. The umami taste: from discovery to clinical use. Otolaryngol. Pol. 70: 10-15.? 

  7. Lim BS. 2019. History of fermented condiments industry in Korea. Food Sci. Ind. 52: 68-83.? 

  8. Garcia M, Torre M, Marina M, Laborda F, Rodriquez AR. 1997. Composition and characterization of soyabean and related products. Crit. Rev. Food Sci. Nutr. 37: 361-391.? 

  9. Kwon DY, Oh SW, Lee JS, Yang HJ, Lee SH, Lee JH, et al. 2002. Amino acid substitution of hypocholesterolemic peptide originated from glycinin hydrolyzate. Food Sci. Biotechnol. 11: 55-61.? 

  10. Kwon DY, Kim S, Kim HYL, Kim KS. 2003. Changes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glycinin due to maleylation. Food Sci. Biotechnol. 12: 122-127.? 

  11. Catsimpoolas N, Kenney J, Meyer E, Szuhaj B. 1971. Molecular weight and amino acid composition of glycinin subunits. J. Sci. Food Agric. 22: 448-450.? 

  12. Yagasaki K, Takagi T, Sakai M, Kitamura K. 1997. Biochemical characterization of soybean protein consisting of different subunits of glycinin. J. Agric. Food Chem. 45: 656-660.? 

  13. Liu L, Chen X, Hao L, Zhang G, Jin Z, Li C, et al. 2020. Traditional fermented soybean products: processing, flavor formation, nutritional and biological activities. Crit. Rev. Food Sci. Nutr. 62: 1971-1989.? 

  14. Frias J, Song YS, Martinez VC, Gonzalez ME, Vidal VC. 2008. Immunoreactivity and amino acid content of fermented soybean products. J. Agric. Food Chem. 56: 99-105.? 

  15. Seo JS, Man EM, Lee TS. 1986. Effect of meju shapes and strains on the chemical composition of soybean pas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15: 1-9.? 

  16. Lee J, Heo S, Choi J, Kim M, Pyo E, Lee M, et al. 2021. Selection of Lactococcus lactis HY7803 for glutamic acid production based on comparative genomic analysis. J. Microbiol. Biotechnol. 31: 298-303.? 

  17.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OAC, Washington, DC.? 

  18. Park JS, Lee MY, Kim JS, Lee TS. 1994.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 (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6: 609-6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