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북한이탈주민의 식사의 질 평가: 성인 영양지수를 기반으로
Assessment of diet quality of adults from North Korea: using nutrition quotient (NQ) for Korean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6 no.2, 2023년, pp.217 - 230  

권새별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김경남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  신문경 (한양대학교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성인영양지수 조사지를 바탕으로 북한이탈주민의 전반적인 식사의 질을 평가하고자 진행되었다. 특히 연령대별 식품 섭취 빈도와 식습관 및 식행동, 영양 지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서울 및 경기 일부 지역의 만 19-64세 성인 166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각 연령대별로 20대 41명, 30대 41명, 40대 41명, 50대이상 43명으로 연령대를 평준화하였다. 연령대가 낮을수록 라면, 패스트푸드, 과자 (초콜릿, 사탕 포함), 달거나 기름진 빵 (케이크, 도넛, 단팥빵 등), 가당 음료 등 고에너지 식품 섭취 빈도와 외식, 야식 섭취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20대 연령대에서 총점 NQ, 절제 영역 총 점수가 낮고 등급은 '하'로 판정된 비율이 높았다. 50대 연령대에서 절제영역의 점수가 높게 나타난 원인은 라면, 패스트푸드, 과자, 달거나 기름진 빵, 가당 음료 등과 같은 고에너지 식품 섭취 빈도도 낮기 때문인데, 이는 이 집단이 절제력있는 식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비춰질 수도 있으나 중년층에서 패스트푸드, 라면과 같은 식품의 기호도가 낮아 아예 섭취 고려 대상이 아니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해야 할 점은 연령이 낮을수록 식사의 질이 매우 열악하게 나타나 식사의 질 개선을 위한 맞춤형 영양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와 시사점이 북한이탈주민의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 교육과 이를 위한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diet intake status and quality of adults from North Korea who had lived in Seoul and Gyeonggi-do,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for Korean adults. Methods: A number of 166 adults aged from 20 to 64 years were enrolled as study subjects. A stru...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25)

  1. Ministry of Unification. Policy for North Korean defactor. Sejong: Ministry of Unification; 2020. 

  2. Lim HJ, Lee GN, Yang SJ. The trends in research on the health of North Korean refugees. J Korean Acad?Community Health Nurs 2017; 28(2): 144. 

  3. Ann SY, Ryou SH, Kim SB. Clinical characteristics of defectors from North Korea visiting a single tertiary?hospital in South Korea. Korean J Med 2015; 89(1): 54-63. 

  4. Choe MA, Yi M, Choi JA, Shin G. Health knowledg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factors influencing health?promoting behavior of North Korean defectors in South Korea. J Korean Acad Nurs 2012; 42(5): 622-631. 

  5. Cho SW, Lee SH, Koh ES, Kim SE, Kim SJ. Characteristics of body composition and muscle strength of?North Korean refugees during South Korean stay. Endocrinol Metab (Seoul) 2015; 30(4): 551-556. 

  6. Jeon JH, Park YS. The effects of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health beliefs on North Korean refugees'?health behavio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 23(1): 82-90. 

  7. Kang YS, Ha YG, Eun Y. Health status and health-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of North Korean?immigrants.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 23(3): 231-243. 

  8. Kim HH, Lee YJ, Kim HK, Kim JE, Kim SJ, Bae SM, et al.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psychiatric?symptoms in North Korean defectors. Psychiatry Investig 2011; 8(3): 179-185. 

  9. Kim YJ, Kim SG, Lee YH. Prevalence of general and central obesity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North?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by duration after defection from North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Int?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8; 15(4): 811. 

  10. Kim YJ, Lee YH, Lee YJ, Kim KJ, An JH, Kim NH, et al.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elated?factors among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a cross-sectional study. BMJ Open 2016; 6(6): e010849. 

  11. Moon GU, Park BR, Lee ES, Choi GY, Lee JJ, Lee IS, et al. The health conditions of the North Korean women?defectors and the marriage immigrant women.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2015; 19(1): 103-109. 

  12. Noh JW, Yun HY, Park H, Yu SE. A study of predictive factors affecting health: promoting behaviors of?North Korean adolescent refugees. J Prev Med Public Health 2015; 48(5): 231-238. 

  13. Korea Hana Foundation. A study researched the lifestyle situation of North Korean. Seoul: Korea Hana?Foundation; 2011. 

  14. Korea Hana Foundation. A study researched the lifestyle situation of North Korean. Seoul: Korea Hana?Foundation; 2014. 

  15. Korea Hana Foundation. A study researched the lifestyle situation of North Korean. Seoul: Korea Hana?Foundation; 2016. 

  16. Korea Hana Foundation. A study researched the lifestyle situation of North Korean. Seoul: Korea Hana?Foundation; 2017. 

  17. Korea Hana Foundation. A study researched the lifestyle situation of North Korean. Seoul: Korea Hana?Foundation; 2018. 

  18. Kim MJ, Jeong HS. Study on dietary habits of North Korean refugees.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11;?21(1): 1-13. 

  19. Kim SH, Lee SK, Kim SG. Dietary behaviors and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status among adult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J Nutr Health 2019; 52(5): 449-464. 

  20. Lee YH, Lee WJ, Kim YJ, Cho MJ, Kim JH, Lee YJ, et al. North Korean refugee health in South Korea?(NORNS) study: study design and methods. BMC Public Health 2012; 12(1): 172. 

  21. Jeong H, Lee SK, Kim SG. Changes in body weight and food security of adult North Korean refugees living?in South Korea. Nutr Res Pract 2017; 11(4): 307-318. 

  22. Choi SK, Park SM, Joung H. Still life with less: North Korean young adult defectors in South Korea show?continued poor nutrition and physique. Nutr Res Pract 2010; 4(2): 136-141. 

  23. Lee EJ, Kim EM. Survey of preference and present use of convenience foods for North Korean refugees.?Korean J Culinary Res 2014; 20(6): 147-58. 

  2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Statistics 2012: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3). Cheongju:?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3. 

  25. Lee JS, Kim HY, Hwang JY, Kwon SH, Chung HR, Kwak TK, et al. Development of nutrition quotient for?Korean adults: item selection and validation of factor structure. J Nutr Health 2018; 51(4): 340-35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