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도서관 공론장 경험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연구
Exploring the Impact of Library Public Forums on Users' Perception of Libraries: A Study Based on Their Experiences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4 no.1, 2023년, pp.269 - 293  

이연옥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BK21 생활밀착형 정보서비스 전문인력 교육연구단) ,  강영아 (장위행복누림도서관) ,  장덕현 (부산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본 연구는 도서관의 정보서비스 일환으로 수행한 도서관 공론장이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에 어떠한 변화를 만들어내는지를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도서관 공론장의 경험에 따른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한 데이터는 도서관 공론장을 운영하고 있는 서울 성북구립도서관 이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수집되었다. 연구 결과, 이용자의 도서관에 대한 인식은 도서관 공론장 경험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도서관 공론장을 경험한 이용자가 비경험자에 비해 도서관에 대한 인식 수준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공론장을 경험한 이용자의 도서관 역할에 대한 이해 수준이 높으며, 도서관에 대한 신뢰도가 높고, 도서관을 이용하려는 의지 또한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더해, 이용자들은 도서관 공론장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이용자의 공론장에 대한 기대 수준과 참여의지가 전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이용자의 도서관 인식에 있어서 도서관의 공론장 운영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 공론장과 연계된 정보서비스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library public forums, which are conducted as a part of the library's information services, affect users' perception of libraries. We analyzed the variations in users' perception of libraries based on their participation in public forums held by the pu...

주제어

참고문헌 (29)

  1. Cha, Sung-Jong (2011). A study on the user satisfaction of public library users in Korea.?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28(1), 285-308.?http://10.3743/KOSIM.2011.28.1.285 

  2. Chang, Durk Hyun (2020). Perceived needs of users toward public library services in Busan.?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4(1), 51-70.?http://10.4275/KSLIS.2020.54.1.051 

  3. Chang, Durk Hyun & Kang, Eun Yeong (2012). Citizen perceptions and demands on?public libraries in Busan. The Journal of Humanities, 30, 201-223. 

  4. Cho, Young Wan & Koo, Joung Hwa (2021). Citizens' perception on establishing a new?public library in Jung-gu, Daegu.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32(3), 115-143. http://10.14699/kbiblia.2021.32.3.115 

  5. Kim, Choae & Kim Giyeong (2021). The mediation effect of the users' perception of?librarians' specialty: on the influence of public library activity on public library?percep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8(4),?83-112. 

  6. Kim, Sun Ae & Kown, Na-Hyun (2020). Citizens' needs and perceptions of their municipal?public library servic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54(2), 29-52. http://10.4275/KSLIS.2020.54.2.029 

  7. Lee, HeuiSoo & Kim, Giyeong (2014). Study on the needs of local residents for library?services based on community characteristics: focusing on three types of local communities.?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 Management, 31(1), 207-230.?http://10.3743/KOSIM.2014.31.1.207 

  8. Lee, Jae Whoan (2020). Meanings of library in the daily life of Korean.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51(4), 25-57.?http://10.16981/kliss.51.4.202012.25 

  9. Lee, Seongsin (2013). Correlation between public library service user satisfaction and loyalty?and moderator variables.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Information Science, 24(1), 83-103. http://G704-000742.2013.24.1.003 

  10. Lee, Yeon Ok & Kang, Young Ah (2023). A study on the roles of public libraries as community?public sphe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57(1), 139-160. http://dx.doi.org/10.4275/KSLIS.2023.57.1.139 

  11. Pyo, Soon-Hee & Cha, Mikyeong (2018). A comparative study of the perceptions on?public libraries between librarians and user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52(2), 221-244. http://10.4275/KSLIS.2018.52.2.221 

  12. Seongbuk Public Library (2018). 2017 Maeul in Suda. Seoul: Seongbuk Cultural Foundation. 

  13. Seongbuk Public Library (2019). 2018 Maeul in Suda. Seoul: Seongbuk Cultural Foundation. 

  14. Seongbuk Public Library (2022). 2022 Maeul in Suda. Seoul: Seongbuk Cultural Foundation. 

  15. Yi, Hyunjung & Nam, Young Joon (2015). A study on the expected level of users of?the public library: focused on the public library of Goyang. Journal of Korean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1), 43-63. 

  16. Yoon, Young-Tae (2008). A study on production of local public sphere. Journal of Political?Communication, 8, 49-86. http://10.35731/kpca.2008..8.002 

  17. Alstad, C. & Curry, A. (2003). Public space, public discourse, and public libraries. Library?and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13(1), 1-19. 

  18. Audunson, R., Aabo, S., Blomgren, R., Hobohm, H.-C., Jochumsen, H., Khosrowjerdi, M.,?Mumenthaler, R., Schuldt, K., Rasmussen, H., Rydbeck, K., Toth, M., & Varheim, A.?(2019). Public libraries as public sphere institutions: a comparative study of perceptions?of the public library's role in six European countries. Journal of Documentation, 75(6),?1396-1415. 

  19. Audunson, R. (2017). The public library: an arena for an enlightened and rational public?sphere? The Case of Norway Information Research, 22(1), 1-13. 

  20. Buschman, J. & Leckie, G. Eds.. (2007). The Library as Place: History, Community, and?Culture, Libraries. Westport, CT: Libraries Unlimited. 

  21. Goulding, A. (2009). Engaging with community engagement: public libraries and citizen?involvement. New Library World, 110(1/2), 37-51. 

  22.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1996. 

  23. IFLA-UNESCO Public Library Manifesto. 2022. 

  24. Kranich, N. (2012). Libraries and civic engagement. Library and Book Trade Almanac,?2012, 75-96. https://doi.org/10.7282/T3VX0DWS 

  25. Vakkari, P., Aabo, S., Audunson, R., & Oomes, M. (2014). Perceived outcomes of public?libraries in Finland, Norway & the Netherlands. Journal of Documentation, 70(5),?927-944. 

  26. Webster, F. (2014). Theories of the Information Society (4th ed.). London: Routledge.?조동기 역(2016). 현대정보사회이론. 서울: 나남. 

  27. Widdersheim, M. & Koizumi, M. (2016). Conceptual modelling of the public sphere in?public libraries. Journal of Documentation, 72(3), 591-610. 

  28. Williamson, M. (2000). Social exclusion and the public library: a Habermasian insight.?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32(4), 178-186. 

  29. Willingham, T. (2008). Libraries as civic agents. Public Library Quarterly, 27(2), 97-1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