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의 버섯 수출의 특징 분석(2008~2022)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Mushroom Exports (2008-2022) 원문보기

Journal of mushrooms = 한국버섯학회지, v.21 no.1, 2023년, pp.1 - 7  

조우식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원예경영연구과) ,  이창윤 (농업회사법인 (주)사바하) ,  류영현 (경상북도농업기술원 농업환경연구과) ,  권헌중 (경상북도농업기술원 원예경영연구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한국의 버섯 수출의 요인들을 분석하여 수출증대 전략과 수출지원 정책을 수립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기초정보를 얻고자 수행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품목의 경북지역 버섯수출량은 전국 버섯수출량의 약 절반을 차지하고 있으며, 팽이버섯은 총수출액이 2009년 89%, 2010년 23%로 증가하여 2010년에는 최대수출량(17,163톤)과 최대수출액(26,292천$)을 기록하였으나 2011년 14%, 2012년 25%로 다소 감소 추세를 보이다가 이후 2013년 15%, 2018년 14%로 증가 등 2019년까지 소폭 증가하였으나, 2020년 수출량 10,515톤, 수출액 18,525천$, 2022년의 수출량 6,515톤으로 2010년 대비 62% 감소하였으며, 수출액은 12,622천$로 2010년 대비 52% 감소하였다. 새송이버섯의 경우는 수출액이 2012년 10%, 2013년 13%, 2014년 2%로 증가하여 완만한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2022년의 한국의 새송이버섯 수출량은 5,196톤으로 2010년 대비 91% 증가하였으며, 수출액은 22,322천$로 2010년 대비 160% 증가하였다. 나. 우리나라 버섯 수출은 특정국에 집중된 특징을 보이고 있다. 팽이버섯의 경우에는 2011년까지는 북미(미국, 캐나다),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이 전체 수출액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2011년 이후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 특히 중국으로의 수출이 줄어들고 베트남으로 수출이 급격히 증가하여 2012년부터 2022년까지 북미권, 베트남이 전체 수출액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중국으로의 수출은 2012년에 빠르게 하락 이후 꾸준히 내림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새송이버섯의 경우에는 2009년부터 2022년까지 유럽과 북미권(미국, 캐나다)이 전체 수출액수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고, 팽이버섯과는 달리 중화권(중국, 대만, 홍콩)과 베트남으로 수출 비중이 상대적으로 적은 것이 특징이다. 다. 우리나라 버섯 수출의 또 다른 특징은 수출시장이 다변화되고 있다. 팽이버섯과 새송이버섯 모두 수출대상 국가 수가 늘어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팽이버섯은 2009년에 23개국에 수출되었고 2010년에는 27개국, 2017년에는 27개국 2019년에는 30개국에 수출하였다. 새송이버섯은 2009년에 21개국 2010년에는 24개국 2017년에는 27개국 2019년에는 30개국에 수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ddresses the current demand of the Korean mushroom export industry to establish an export strategy and governing policies.The enoki mushroom exports increased by 89% in 2009 and 23% in 2010, resulting in the largest export volume (17,163 tons) and export value ($26,292,000) being recorde...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13)

  1. Ahn BI, Kim SY, Kim YS, Hong KS. 2009. Analysis on the?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Korea. Kor. J.?Food Marketing Economics. 26(2) : 19-36. 

  2. ATCESS. Kati Agricultural Food Export Information. 2022.?Available from http://www.kati.net. 

  3. Jo WS, Hwang EK, Cho DH, Choi CD, Park SD, Jung HY. 2009. 2008 The Nation Opinion Research to Mushroom?Industry. J Mushrooms. 7(1) : 37-43. 

  4. Jo WS, Hwang JS, Kim DG, Yoo YB. 2013. Analysis on?the Characteristics of Mushroom Exports in Gyeongbuk?Province, Korea. J Mushrooms. 11(1) : 32-35. 

  5. Kang CY, Min KT, Kim YJ, You CH. 2005. Present?situation and issues of mushroom industry. Korea Rural?Economic Institute. pp. 1-9. 

  6. Kim YJ, Park KH, Seo DS, Han HS. 2010. A value chain?of major agricultural products. Korea Rural Economic?Institute. pp. 41-50. 

  7. Lee HD, Yu BK, Seo DS, Kim SR, Lee CJ, Kwak KS. 2021. Efficacy of Listeria Innocua Reduction on Enoki?Mushrooms by Utilization of an Air Sterilization Device.?J Mushrooms. 19(3): 210-215. 

  8. MAFRA. 2020 Import and export trends and statistics of?agricultural, forestry, and fishery products. 2021. 

  9. Moon HP, Kim KP, Ou MG, Lee JY. 2012. Factors?Influencing the Export of Agricultural Products and?Effects of Export Support Programs in Korea. J Rural?Economy. 35(1) : 69-90. 

  10. Mushroom export research group. 2019. Mushroom trend?report. pp 1-29. 

  11. Yang CW. 2021. Inspection for Listeria monocytogenesin?Enoki mushrooms distributed in Korea. Master's Thesis.?Korea University, Seoul, Korea (in Korean). 

  12. Yoo YB, Jang HY, Ko IS, Yun MJ, Kim EC, Kim HW, Shin YG, Kim YJ, Lee C, Lee SH, Yoo GH. 2012.?Korean Mushroom Annual Report, 2011. Journal of?Korean Mushroom Growers Association. pp. 43-58. 

  13. Zhang JX, Wang HX, Chen MJ. 2012. MUSHROOM?SCIENCE XVIII. THE 18TH CONGRESS OF THE?INTERNATIONAL SOCIETY FOR MUSHROOM?SCIENCE. pp. 964.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