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민화 화조화의 특성을 활용한 3D 디지털 패션 디자인
Development of 3D Digital Fashion Design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in Korean Folk Paintings 원문보기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 Fashion & Costume Design Association, v.25 no.1, 2023년, pp.15 - 31  

설경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  이연희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휴먼테크융합전공)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fashion desig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flower and bird paintings in traditional Korean folk paintings. As a research method, external and internal characteristics of folk paintings were examined through previous studies ...

주제어

참고문헌 (37)

  1. 권지현. (1999). 조선조 민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김영학. (2009). 민화. 서울: 대원사. 

  3. 김용선. (2013). 「유(遊)」개념을 통한 민화의 자유분방성 연구. 조형미디어학, 16(1), 43-50. 

  4. 김은정, 이지윤, 차주언, 김지영. (2014). 민화를?응용한 패션문화상품 디자인 -서민의 염원을?중심으로. 생활과학연구논총, 18(2), 91-108. 

  5. 김정수. (2008). 조선후기 민화에 나타난 미적 특성의 표현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철순. (1991). 한국민화논고. 서울: 예경. 

  7. 김택민. (2007). 민화의 특성을 통한 현대적 조형?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호연. (1982). 한국의 민화. 서울: 열화당. 

  9. 남영록. (2018). 민화의 현대적 변용 연구. 동방문화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 박수정. (2020). 조선시대 화조화의 현대적 재해석을 통한 패션 디자인 개발. 동덕여자대학교 패션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영화. (2006). 민화를 이용한 일러스트레이션의?한국적 이미지 표현에 관한 연구. 일러스트레이션포름, 13, 9-28. 

  12. 서지연. (2015). 한국 민화 화조도를 결합한 크로셰 레이스(Crochet Lace) 이미지의 패션디자인.?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혜련, 김혜경. (2011). 민화의 미적특성을 응용한 의상디자인 연구.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11(1), 103-120. 

  14. 심영옥. (2014). 전통 민화의 현대적 창작 활용에?관한 고찰. 한국민화, 5, 66-89. 

  15. 야나기 무네요시. (1982). 조선의 예술 (박재희?역). 서울: 문공사. (원저 1922 출판) 

  16. 염미선. (2016). 민화의 화조화에 나타난 모티브와?색채를 활용한 현대 패션디자인 개발. 한국의상디자인학회지, 18(2), 115-125. 

  17. 오승진, 이난경. (1997). 한국의 문화 아이덴티티를 위한 민화의 조형성 특성 연구. 디자인학연구, 22, 97-102. 

  18. 윤열수. (2003). 민화이야기. 서울: 디자인하우스. 

  19. 윤열수. (2005). 꿈꾸는 우리민화. 경기: 보림. 

  20. 윤열수. (2017). 민화에 나타난 축수강녕(祝壽康寧). 박물관학보, 33, 279-294. 

  21. 윤열수. (2018). 서민의 삶과 꿈, 그림으로 만나다.?경기: 다섯수레. 

  22. 이경숙. (2014). 민화의 전통성의 현재적 가치. 한국민화, 5, 6-19. 

  23. 이성규. (2011). 한국 민화의 화조화 모티브를 응용한 현대 의상 연구 -핸드페인팅 기법을 이용하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승연. (2005). 민화 이미지를 응용한 텍스타일?디자인 연구 -화문을 중심으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이연제. (2002). 한국 민화를 응용한 의상디자인?연구 -화조화(花鳥畵)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우환. (1982). 이조의 민화. 서울: 열화당. 

  27. 임두빈. (1997). 민화란 무엇인가. 서울: 서문당. 

  28. 임두빈. (2013). 민화(民畵)의 미학적 분석을 통한?정신미(精神美) 연구. 예술과 미디어, 12(4),?35-50. 

  29. 장화자. (2018). 민화에 나타난 예술심리 고찰. 문화와예술연구, 11, 225-250. 

  30. 정병모. (2012). 민화, 가장 대중적인 그리고 한국적인. 경기: 돌베개. 

  31. 정병모. (2017). 민화는 민화다. 서울: 다할미디어. 

  32. 정병모. (2020). 꽃의 판타지: 민화 꽃그림 연구.?한국민화, 13, 222-245. 

  33. 정연주. (2018). 조선시대 민화의 상징성에 관한?연구-화조화를 중심으로-. 한국화예디자인학연구, 38, 115-131. 

  34. 조자용. (1981). 한국 민화의 멋. 서울: 브리태니커. 

  35. 지순임. (2006). 한국 민화의 예술적 가치 연구. 한국미학예술학회지, 24, 191-225. 

  36. 최문정. (2006). 화조화의 이미지를 응용한 니트웨어?디자인 연구 -니트의 복합 기법을 중심으로-.?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한지수. (2007). 민화 화조화를 응용한 메이크업과?의상디자인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