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코로나 시기 패들렛 활용 교양 수업에 대한 학습자 인식 고찰
A Study on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 for Liberal Arts Class Using Padlet During the COVID-19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1 no.4, 2023년, pp.73 - 80  

박옥희 (배재대학교 주시경대학 기초교육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 팬데믹기간에 온라인 학습 도구 패들랫(Padlet)을 활용하여 대면으로 수업한 교양 과목에 대한 학습자의 인식을 조사하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B대학 재학생 37명을 대상으로 패들렛 활용 수업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와 동기에 대해 양적 조사와 질적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설문 자료는 SPSS 19.0 프로그램으로 통계 처리하였고, 개방형 질문은 중심어 위주로 분류하여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패들렛을 활용한 대면 수업에 대해 학습자의 인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 .001). 수업만족도가 제일 높았고, 이어서 학습 효과와 동기 순으로 높았고 반면, 수업 참여도는 제일 낮았다. 둘째, 성별비교에서는 여학생이 참여도를 제외한 만족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p< .001). 셋째, 학년 간 비교에서는 1학년과 4학년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고(p< .001),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서 모두 1학년이 4학년 보다 높았다. 넷째, 개방형 질문에서 패들렛 활용 학습에 대한 만족도, 참여도, 학습 효과, 동기에 대해 학습자들은 긍정적인 데이터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제언 및 교육적 함의가 논의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plore college students' perception for offline class using the online platform Padlet as a tool in liberal arts class during the COVID-19 lockdown. Thirty seven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and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were used. The statistical results and an...

주제어

참고문헌 (19)

  1. H. J. Chung, A. L. Kim, & H. N. Jpp. (2020). In the COVID-19 crisis, a study on the types of perceptions on online classes of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8), 1359-1381. DOI : 10.22251/jlcci.2020.20.18.1359 

  2. O. H. Park. (2022). A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academic emotions for untact general English class: focused on pre-recorded lecture vs. real time online clas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11), 41-47. DOI : 10.22678/JIC.2022.20.11.041 

  3. K. H. Kim. (2020). Study on the effects and limitations of blended learning-based college lectures in online course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1(9), 67-83. DOI : 10.22251/jlcci.2021.21.9.67 

  4. S. Y. Kim. (2021). Essay analysis on college students;' online/on-off mixed learning experience. Journal of Learner-CentereIndustrial Convertgence, 20(11), 41-47. DOI : 10.22678/JIC.2022.20.11.041 

  5. G. M. Kim. (2021). The prospect of English education preparing for post-COVID: comparison of the effects of online and offline classes. Journal of the Korea English Education Society, 20(1), 39-59. DOI : 10.18649/jkees.2021.20.1.39 

  6. J. D. Kim. (2020). Analysis of content through student response to face-to-face and untact instructions. Journal of the Edutainment, 2(2), 1-15. DOI : 10.36237/koedus.2.2.1 

  7. H. W. Kim. (2020). A comparative study on the learner achievement of online and offline Korean classes-focusing on beginner vocabulary. The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13, 19-35. DOI : 10.25022/RSKLE.2020.13. 019. 

  8. H. S. Lee & E. H. Seo. (2021). A comparative study on the class satisfaction between remote video class and face-to-face class.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1(7), 440-447. DOI : 10.5392/JKCA.2021.21.07.440 

  9. S. I. Cho. (2020). Comparison of academic achievement of classroom learning and on-line learning: a case study. The Journal of Business Education, 34(6), 23-39. DOI : 10.34274/Krabe.2022.34.6.002 

  10. O. H. Park. (2022). A study on university freshmen's academic emotions for untact general English class: focused on pre-recorded lecture vs. real time online class.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20(11), 41-47. DOI : 10.22678/JIC.2022.20.11.041 

  11. H. J. Kim. (2022). A study on the use of Padlet in non face-to-face liberal arts English classes and university students' responses. Journal of English Teaching through Movies and media, 23(1), 1-12. DOI : 10.16875/stem.2022.23.1.1 

  12. S. I. Chun. (2021). College students' perception of the learning effectiveness of Padlet. Studies in English Education, 26(3), 485-506. DOI : 10.22275/SEE.2021.26.3.05 

  13. Y. H. Kim. (2022). A study on the use of Padlet by Japanese learners-focusing on tourism Japanese class in this COVID-19 era. Journal of Study on Japan, 57, 29-48. DOI : 10.20404/jscau.2022.08.57.29 

  14. H. J. Lim. (2022).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class motivation on the use of Padlet in general English classes. Culture and Convergence, 44(6), 311-325. DOI : 10.33645/cnc.2022.6.44.6.311 

  15. C. H. Roh. (2021). A study on interaction using Padlet in asynchronous online Korean course-focusing on the case of at cyber university.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53, 99-123. DOI : 10.37967/emh.2021.9.153.99 

  16. A. Baxter. (2008). The USA. Oxford Press: Cambridge: UK. 

  17. N. M. M. Zainuddin, N. F. M. Azmi, R. C. M. Yusoff, S. A. Shariff & W. A. W. Hassan. (2020). Enhancing classroom engagement through Padlet as a learning tool: a case study. The Journal of Innovative Computing, 10(1), 49-57. 

  18. E. S. Lee. (2022).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university students for non face-to-face classes-focused on 4-year university in Chungnam province. Korean Society for Holistic Convertgence Education, 26(1), 181-199. DOI : 10.35184/kshce.2022.26.1.181 

  19. Y. J. Jeong. (2023). The liberal arts education in the post-pandemic era: from speed battle of digital transformation to sustainable future. The Journal of General Education, 22, 39-68. DOI : 10.24173/jge.2023.22.2.3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