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환경소양 요인별 수준에 따른 환경행동 실천 경험의 차이
Differences in Environmental Behavior Practice Experience according to the Level of Environmental Literacy Factors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6 no.1, 2023년, pp.153 - 165  

김윤경 (흥도초등학교) ,  강지훈 (달산초등학교) ,  이동영 (동궁초등학교)

초록

본 연구는 학습자들의 환경 소양을 조사하여 환경 소양의 요인별로 그 결과를 분류한 후, 요인별 분류에 따른 학생들의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대해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의 실행은 P 광역시에 위치한 D 초등학교 6학년 학생 47명의 학생들을 최종 분석의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환경소양 검사지와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관한 설문지를 주요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연구의 결과 학습자들은 환경소양 요인에 따라 세 군집으로 분류되었으며, 각각 고 환경소양군, 저 환경소양군, 저기능정서군으로 명명하였다. 각 군집별로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대한 기술 내용을 활용하여 언어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중심도 분석을 실시하여 시각화한 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고환경소양군은 1) 환경행동 실천 주체를 개인과 가족으로 인식하고, 2) 환경행동 실천 경험을 환경소양의 모든 요소와 연관지어서 기술하였으며, 3) 기후변화에 대해 비교적 비관론적 관점으로 인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저 환경소양군과 저기능정서군은 1)환경행동 실천 주체를 비교적 사회적 문제로 인식하고, 2) 환경행동 실천 경험에 대한 기술이 비교적 편향되어 있으며, 특히 저기능정서군은 지식 요소에 집중되어 있다. 그리고 3) 기후변화에 대해서는 비교적 낙관론적인 관점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 같은 결론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의 관점에서 시사점을 주는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learners' environmental literacy, classifies the results by factors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then investigates the differences in the students' environmental behavior practice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by factor.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47 6th gra...

주제어

표/그림 (9)

참고문헌 (30)

  1. 김순식, 이용섭(2022). PBL 을 적용한 환경글쓰기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기후소양 및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3), 345-353. 

  2. 김윤지(2021). SDGs 연계 교육에서 예비 지구과학 교사들의 탄소 소양.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4(3), 292-301. 

  3. 문성채, 이영희, 손연아(2015). 과학적 소양을 바탕으로 해석한 환경소양 요소에 의한 중학교 '환경과 녹색성장' 교과서 분석. 환경교육, 28(1), 1-14. 

  4. 박치성, 정지원(2013). 텍스트 네트워크 분석-사회적 인식 네트워크. 정부학연구, 19(2), 73-108. 

  5. 이상균(2017). 과학과 Eco-STEAM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환경소양과 STEAM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0(1), 62-75. 

  6. 정현희, 서우석(2008). 초등학생 환경 소양 측정 도구의 개발. 환경교육, 21(4), 79-93. 

  7. 진옥화, 최돈형(2005). 환경 소양 개념의 변천과 환경소양 측정 연구. 환경교육, 18(2), 31-43. 

  8. Al-Smadi, M. O., & Al-Zboon, E. K. (2015). The impact?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sustainable development: A case study from Jordan. Journal of Education?and Practice, 6(5), 56-63. 

  9. Bamberg, S., & Moser, G. (2007). Twenty years after Hines,?Hungerford, and Tomera: A new meta-analysis of psycho-social determinants of pro-environmental behaviour.?Journal of Environmental Psychology, 27(1), 14-25. 

  10. Costello, A., Abbas, M., Allen, A., Ball, S., Bell, S., Bellamy,?R., ... & Patterson, C. (2009). Managing the health?effects of climate change: Lancet and University College?London Institute for Global Health Commission. The?Lancet, 373(9676), 1693-1733. 

  11. DeWitt, J., & Storksdieck, M. (2008). The impact of environmental education on children's environmental attitudes and behaviors: A review and synthesis of the?literature.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40(2), 30-50. 

  12. Gifford, R., & Nilsson, A. (2014). Personal and social factors?that influence pro-environmental concern and behaviour:?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9(3),?141-157. 

  13. Grilli, G., & Curtis, J. (2021). Encouraging pro-environmental?behaviours: A review of methods and approaches.?Renewable and Sustainable Energy Reviews, 135,?110039. 

  14. Hines, J. M., Hungerford, H. R., & Tomera, A. N. (1986).?Analysis and synthesis of research on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A meta-analysis. Journal of?Environmental Education, 18(2), 1-8. 

  15. Hungerford, H. R., & Volk, T. L. (1990). Changing learner?behavior through environmental education. The?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21(3), 8-21. 

  16.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IPCC). (2018).?Global warming of 1.5℃. Cambridge University Press. 

  17. Kaiser, F. G., Schultz, P. W., & Li, J. (2009). The challenge?of energy efficiency: Personal moral values, institutional norms, and behavior. In R. Wustenhagen, M.?Wolsink, & M. J. Burer (Eds.), Social learning towards?a sustainable world (pp. 111-126). Greenleaf. 

  18. Kamada, T., & Kawai, S. (1989). An algorithm for drawing?general undirected graphs. Information Processing?Letters, 31(1), 7-15. 

  19. Kim, K. H., & Lee, S. H. (2015). Environmental education?in South Korea. In Encyclopedia of environmental education (pp. 365-369). Springer, Dordrecht. 

  20. Kollmuss, A., & Agyeman, J. (2002). Mind the gap: Why?do people act environmentally and what are the barriers to pro-environmental behavior? Environmental?Education Research, 8(3), 239-260. 

  21. Leiserowitz, A. A., Maibach, E. W., Roser-Renouf, C.,?Feinberg, G., & Rosenthal, S. (2017). Climate change?in the American mind: November 2016. Yale?University and George Mason University. 

  22. Milfont, T. L., Duckitt, J., & Cameron, L. D. (2010). A?cross-cultural study of environmental motive concerns?and their implications for pro-environmental behavior.?Environment and Behavior, 42(6), 747-776. 

  23. NAAEE. (2004). Excellence in environmental education:?Guidelines for learning (K-12). Washington, DC: Author. 

  24. Ojala, M., & Bengtsson, H. (2019). Hope and worry in climate change communication-Insights from publics in?four Nordic countries. Environmental Communication,?13(2), 183-197. 

  25. Power, M. C., Kioumourtzoglou, M. A., Hart, J. E.,?Okereke, O. I., Laden, F., Weisskopf, M. G., & Bobb,?J. F. (2020). The relation between past exposure to?fine particulate air pollution and prevalent anxiety:?Observational cohort study. BMJ (Clinical Research?Ed.), 370, m3160. 

  26. Schultz, P. W. (2002). Inclusion with nature: The psychology of human-nature relations. In P. Schmuck, & P.?W. Schultz (Eds.), Psychology of sustainable development (pp. 61-78). Springer. 

  27. Sterling, S. (2004). Environmental education and the development of eco-literacy. Journal of Environmental?Education, 35(1), 11-22. 

  28. UNESCO. (2016). Education for sustainable development?goals: Learning objectives. Paris: UNESCO. 

  29. Wells, N. M., Lekies, K. S., & Maruyama, G. M. (2006).?Benefits of nature: What we are learning about why?people respond to nature. Journal of Physical Activity?and Health, 3(Suppl 1), S126-S139. 

  30. World Wide Fund for Nature. (2022). Earth life report 202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