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5~7세기 신라시대 성곽과 우물에 대한 석축입면조형원리
Principles of Stone Elevation Formation for Walls and Wells in the Silla Dynasty from 5th to 7th Centuries 원문보기

韓國傳統造景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v.41 no.1, 2023년, pp.47 - 55  

강성빈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서성혁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정태열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5~7세기 신라시대 석축의 입면조형원리를 규명하고자 돌의 크기, 비례, 형상, 각도, 분포 등에 대하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크기 균등도는 -0.8~4.1로 낮게 나타났다. 이는 작은 돌부터 큰 돌까지 다양한 규격의 돌을 사용했음을 의미한다. 또한 신라시대 석축의 큰 돌의 분포는 높이에 관계없이 균등하게 나타났다. 이는 신라시대의 석축에서 우물, 산성 등 구조적 분류와 관계없이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신라인들은 석축공사에서 실용성, 효율성만을 추구한 것이 아니며, 의장적 요소를 고려했다고 생각된다. 둘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비례편차는 0.861~1.515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신라시대 석축은 긴 판석형의 돌만 사용한 것이 아니라, 길고 짧은 돌을 혼재하여 사용한 것을 의미한다. 셋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형상평균은 0.45로 낮게 나타났으며, 형상편차는 최대 0.15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체적으로 돌은 불규칙적인 형상을 하고 있으며, 각 돌은 형상의 차이가 높은 것을 의미한다. 넷째, 신라시대 석축의 돌의 각도편차는 4.3~16.2로 나타났으며, 각도의 평균은 2로 나타났다. 이는 신라시대 석축의 각 돌의 각도는 좌, 우로 기울어져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신라시대 석축은 돌의 크기, 세장비, 형상, 각도간의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조선시대 석축은 돌의 크기와 세장비에서 양의 상관관계, 돌의 크기와 형상에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이는 조선시대 석축은 돌이 비교적 정형화된 반면, 신라시대 석축은 재료의 본성을 지켜 입면이 재료와 하나가 됨으로써 절제의 미를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size, proportion, shape, angle, distribution, etc. of stones in order to identify the principles of facade molding of stonework of the 5th to 7th centuries of the Silla Dynasty. First, the uniformity of the size of the stones of th...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18)

  1. 김영재(2017). 문화유산의 진정성. 대한건축학회. 61(3): 78. 

  2. 박종익(1994). 고대산성의 축조기법에 대한 연구. 영남고고학회보고서. 

  3. 한양대학교 박물관(2000). 이성산성 7차 발굴조사보고서. 

  4. 한국토지공사 토지박물관(2002). 남한산성 발굴조사보고서. 

  5. 국립문화재연구소(2008). 경복궁 소주방지 발굴조사보고서. 

  6.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2005). 대전계족산성 발굴조사보고서. 

  7. 국립경주문화재 연구소(2019). 경주 동궁과 월지 III 발굴조사보고서. 

  8. 신라문화유산연구원(2016). 경주재매정지 -유적정비를 위한 학술발굴조사보고서-. 

  9. 중원문화재연구원(2006). 보은삼년산성 -발굴정비 기초설계 보고서-. 

  10. 문화재청(2008). 건축문화재 점검관리 매뉴얼. 

  11. 강성빈(2022). 5~7세기 신라시대 성곽과 우물의 입면조형원리.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백종오(2018). 임진강 유역 삼국의 성곽과 방어체계에 관한 토론문. 경기문화재연구소.중부고고학회 학술대회. pp.150-160. 

  13. 이은석(2004). 왕경의 성립과 발전. 한국고고학전국대회 발표문. pp.9-25. 

  14. 황보은숙(2008). 신라왕경의 도시적 발달. 신라문화. 32(32): 327-358. 

  15. 임석재(2005). 한국의 돌.담.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16. 손영식(2011). 한국의 성곽. 주류성. 

  17. 문화재청(2020). 문화재수리표준시방서. 

  18. 구마겐고(Kumagengo)(2021). 点.線.面. An Graphic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