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 지식(PCK) 요소 분석 - 3~4학년 물질 영역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PCK Components in Elementary Science Government-Authorized Teacher's Guides Developed under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Focused on Material Units in 3rd~4th Grade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2 no.1, 2023년, pp.47 - 63  

송나윤 (서울대학교 교육종합연구원) ,  조윤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  노태희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사용 지도서의 3~4학년 물질 영역에 나타난 PCK 요소를 분석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사용 지도서와 달리 상대적으로 PCK 요소의 편차가 작았다. 평균적으로 과학 내용에 관한 지식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고, 과학 교수 전략에 관한 지식이 과학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보다 비율이 높게 다뤄졌다. 과학 평가에 관한 지식은 출판사 간 편차가 가장 컸으며, 학생에 관한 지식은 대부분의 출판사에서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하위요소로는 개념 및 이론보다 실험 및 탐구의 비율이 높았다. 수직 연계와 수업 목표에 비해 수평연계의 비율이 낮았고, 수업 목표는 교과 역량, 성취기준 등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었다. 발문이 강조됨에 따라 지도 전략과 발문이 비슷한 비율로 나타났다. 동기 및 흥미, 오개념은 지도 전략, 발문과의 연계가 나타났다. 평가 문항과 평가 준거는 수준별로 제시된 경우가 있었으며, 이 두 요소를 중심으로 다양한 PCK 요소의 연계가 있었다. 출판사별 편차가 상대적으로 큰 요소는 보충·심화 개념, 교과서 탐구, 활동 순서 및 방식, 교과 특이적 전략, 평가 문항이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중심으로 추후 교사용 지도서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PCK components in the materials units of the third and fourth grades of the Korean government-authorized teacher's guides for elementary school, developed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CK components were presented in a relatively...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62)

  1. 강훈식, 윤혜경, 임희준, 장명덕, 임채성, 신동훈, 권치순,?이대형, 김남일(2009). 초등학교 3-4학년 차세대 과학 교과용 도서의 실험본에 대한 교사와 학생 및 학부모들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8(1), 79-92. 

  2.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임 과학교사의 과학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3. 곽영순, 김주훈(2003). 좋은 수업에 대한 질적 연구: 중등과학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2),?144-154. 

  4.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제2015-74호). 세종: 교육부. 

  5. 교육부(2018). 교과용도서 다양화 및 자유발행제 추진계획(안). 세종: 교육부. 

  6. 권종미, 정완호, 김영신(2001).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에?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 방향. 초등과학교육, 20(1),?75-89. 

  7.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의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8. 김동석, 김지숙, 이규호, 오필석, 최선영(2022). '하루 동안 태양과 달의 위치 변화' 지도에 대한 교사의 인식분석. 초등과학교육, 41(4), 627-641. 

  9. 김성기, 민희정, 하민수, 백성혜(2021). 과학교사의 수행?평가에 대한 평가 전문성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24(1), 231-251. 

  10. 김성룡, 박정우, 신애경(2022). 초등학교 과학과 검정 교과용 도서에 제시된 창의?융합 활동의 STEAM 요소분석: 3-4학년군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24-234. 

  11. 김은정, 정숙진, 신명경, 신영준, 이규호(2022).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검정교과서의 탐구활동?비교 분석: 지층과 화석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41(2), 295-306. 

  12. 김현섭(2022).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자극과 반응 단원의?개념 연계성 분석. 교육과정평가연구, 25(2), 119-137. 

  13. 김형욱, 송진웅(2020).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참고자료 분석: 3-6학년?물리영역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9(2), 155-167. 

  14.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15. 박병태, 권치순(2011). 교육과정 변천에 따른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 지구 영역 계절의 변화 단원의 분석. 한국초등교육, 22(2), 91-106. 

  16. 박성진, 유병길(2013). 과학 기반 STEAM에 의한 "빛"?단원 학습이 과학 학습 동기, 흥미 및 과학 탐구 능력에 미치는 효과. 초등과학교육, 32(3), 225-238. 

  17. 서경혜, 최유경, 김수진(2011). 초등 교사들의 온라인상에서의 수업자료 공유에 대한 사례연구. 초등교육연구, 24(2), 257-284. 

  18. 신민경, 김희백(2022). 초임 중등 과학교사들의 협력적?성찰을 통한 수업 전문성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42(1), 77-96. 

  19. 신영준(2004). 국민공통기본교육과정 과학과 생명영역에서 탐구활동 연계성 분석. 생물교육, 32(2), 135-141. 

  20. 신정윤, 박상우, 정현지, 홍미나, 김현재(2022).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초등 과학 검정 교과서 내용 다양성 분석. 초등과학교육, 41(2), 307-324. 

  21. 심예지, 정지호, 박일우(2017).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과학 지도서에 제시된 학습 목표 및 평가 문항 목표?분석과 과학 관련 태도 영역 문항 개발. 현장과학교육, 11(1), 67-76. 

  22. 양찬호, 송나윤, 김민환, 노태희(2016). 중등 예비화학교사의 수업 계획에서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방식 분석.?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81-691. 

  23. 양찬호, 이지현, 노태희(2014). 중등 예비과학교사들의?수업 계획에서 나타나는 특징. 한국과학교육학회지,?34(2), 187-195. 

  24. 오필석(2017). 예비 초등 교사들이 달 관측 활동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교수법적 제안. 초등과학교육, 36(4),?447-460. 

  25. 윤혜경(2004).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3(1), 74-84. 

  26. 이경윤(2019). 미국 사회과 교사용 지도서 분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10), 995-1020. 

  27. 이경화, 최민영(2013). PCK의 측면에서 본 국어 교사용?지도서의 비판적 고찰: 2009 개정 초등학교 1-2학년군을?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3(6), 667-689. 

  28. 이수아, 전영석, 홍준의, 신영준, 최정훈, 이인호(2007).?초등 교사들이 과학 수업에서 겪는 어려움 분석. 초등과학교육, 26(1), 97-107. 

  29. 이승미, 이병천, 노은희, 이근호, 백경선, 유창완, 김현수,?임윤진, 안종제, 김정윤, 방은희(2018). 교육과정 대강화를 위한 교육과정 구성 방안 연구(CRC 2018-9). 진천: 한국교육과정평가원. 

  30. 이신애, 임희준(2016). 수업 준비를 위한 초등 과학 교사용 지도서 활용 실태: 2009 개정 과학과 3-4학년을 중심으로. 초등과학교육, 35(2), 205-215. 

  31. 이재원, 류고운, 노태희(2018).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과학 교사용 지도서에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PCK) 요소 분석. 대한화학회지, 62(5), 386-397. 

  32. 이혜민, 강석진(2020). 초등교사와 예비초등교사의 과학?평가 실태와 지향. 초등과학교육, 39(1), 15-25. 

  33. 장명덕(2022). 초등 3-4학년군 국정 및 검정 과학 교사용지도서의 과학적 태도 분석: '지구와 우주' 영역을?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학회지, 15(2), 192-212. 

  34. 장명덕, 정용재, 김한제(2011). 초등교사들의 과학 교사용 지도서 총론에 대한 인식과 활용 실태. 초등과학교육, 30(4), 535-552. 

  35. 전성수(2022). 검정제에 의해 최초 개발된 초등과학교과서들의 자석 단원에 대한 내외적 체제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2(5), 525-542. 

  36. 정세종, 나지연(2020). 북한 소학교와 초급중학교 과학과교사용 지도서의 교수내용지식(PCK) 요소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4), 415-427. 

  37. 지승민, 박재근(2016). 과학 내용지식과 교수방법 측면에서 초등학교 초임교사가 과학수업에서 겪는 어려움.?과학교육연구지, 40(2), 116-130. 

  38. 차정호, 이혜인, 노태희(2005). 중등 과학 교과서의 화학?단원에 포함된 STS 내용 중 윤리?가치 영역에 대한?분석. 대한화학회지, 49(2), 215-223. 

  39. 최호정, 류한영(2015).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일상생활 속 맥락 기반의 학습 서비스 디자인: 과학 학습을?중심으로. 디자인융복합연구, 14(4), 151-167. 

  40. 한기애, 노석구(2003). 제7차 초등학교 과학과 교사용 지도서의 활용 실태 분석. 초등과학교육, 22(1), 51-64. 

  41. Barendsen, E., & Henze, I. (2019). Relating teacher PCK?and teacher practice using classroom observation.?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49(5), 1141-1175. 

  42. Bennett, J. (2003). Teaching and learning science: A?guide to recent research and its applications. London,?UK: Continuum. 

  43. Beyer, C. J., & Davis, E. A. (2012). Learning to critique?and adapt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Examining the?development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Science Education,?96(1), 130-157. 

  44. Beyer, C. J., Delgado, C., Davis, E. A., & Krajcik, J.?(2009). Investigating teacher learning supports in high?school biology curricular programs to inform the?design of educative curriculum materials.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6(9), 977-998. 

  45. Collopy, R. (2003). Curriculum materials as a professional?development tool: How a mathematics textbook?affected two teachers' learning. The Elementary School?Journal, 103(3), 287-311. 

  46. Davis, E. A., & Krajcik, J. S. (2005). Designing educative?curriculum materials to promote teacher learning.?Educational Researcher, 34(3), 3-14. 

  47. Falk, A. (2012). Teachers learning from professional?development in elementary science: Reciprocal relations?between formative assessment and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Science Education, 96(2), 265-290. 

  48. Krathwohl, D. R. (2002). A revision of Bloom's taxonomy:?An overview. Theory into Practice, 41(4), 212-218. 

  49.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J. Gess-Newsome?&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content knowledge (pp. 95-132). Dordrecht, The?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50. Padilla, K., & van Driel, J. (2011). The relationships?between PCK components: The case of quantum?chemistry professors. Chemistry Education Research?and Practice, 12(3), 367-378. 

  51. Park, S., & Chen, Y. C. (2012). Mapping out the?integration of the components of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PCK): Examples from high school biology?classroom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49(7), 922-941. 

  52. Park, S., & Oliver, J. S. (2008). Revisiting the?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PCK): PCK 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3),?261-284. 

  53. Putnam, R. T., & Borko, H. (2000). What do new views?of knowledge and thinking have to say about research?on teacher learning?. Educational Researcher, 29(1),?4-15. 

  54. Remillard, J. T., Harris, B., & Agodini, R. (2014). The?influence of curriculum material design on opportunities?for student learning. ZDM Mathematics Education,?46(5), 735-749. 

  55. Rezat, S., Fan, L., & Pepin, B. (2021). Mathematics?textbooks and curriculum resources as instruments for?change. ZDM-Mathematics Education, 53(6), 1189-1206. 

  56. Roblin, N. P., Schunn, C., & McKenney, S. (2018). What?are critical features of science curriculum materials that?impact student and teacher outcomes?. Science Education,?102(2), 260-282. 

  57. Schneider, R. M., & Krajcik, J. (2002). Supporting?science teacher learning: The role of educative curriculum?materials.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3(3),?221-245. 

  58. Shulman, L.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59.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1-22. 

  60. Smith, S. R., & Abell, S. K. (2008). Assessing and?addressing student science ideas. Science and Children,?45(7), 72-73. 

  61. van Driel, J. H., Verloop, N., & De Vos, W. (1998).?Develop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35(6), 673-695. 

  62. Wiener, G. J., Schmeling, S. M., & Hopf, M. (2018). The?technique of probing acceptance as a tool for teachers'?professional development: A PCK study. Journal of?Research in Science Teaching, 55(6), 849-87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