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The Effect of Old Korean's Interactions with their Children on Residential Mobility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4 no.2, 2023년, pp.1 - 17  

김진엽 (계명대학교 도시계획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우리나라는 노인인구의 급속한 증가로 노인주거 문제가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노인인구의 살던 곳에서 노후 맞이하기(Aging in Place: AIP)는 노인복지의 지향점으로 꾸준히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8-2020년 고령화연구패널 자료와 임의효과 로지스틱 회귀분석 모형을 사용하여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 주거이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녀와의 교류가 수도권과 비수도권에 무관하게 노인인구의 주거이동을 촉진시킬 확률이 높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둘째, 연령이 증가할수록 자녀와의 교류는 노인인구의 주거이동을 더욱 촉진시키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영향력은 연령과 변수에 따라 일정치 않게 나타났다. 셋째, 자녀와의 교류 변수들의 상호작용 효과를 통해 노인인구의 주거이동을 더욱 촉진시킬 가능성이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자녀와의 교류가 노인인구의 주거 안정성을 증진 시켜 독립적인 정주 환경을 구성할 수 있는지, 즉 노인인구의 살던 곳에서 노후 맞이하기 측면에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the population size of the elderly is rapidly increasing, and housing for them is emerging as an important issue. In particular, Aging in Place (AIP) has steadily been presented as a direction of welfare for the elderly.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effect of the interactions of the...

주제어

표/그림 (8)

참고문헌 (17)

  1. 권연화.최열(2016), "노년층과 잠재 노년층의 주거 선택 비교분석", 「부동산학보」, 66(1): 73~87. 

  2. 김진후.이재수(2020), "베이비부머의 은퇴 여부에 따른 주거이동의 영향 요인 비교 연구", 「도시정책연구」,?11(3): 161~183. 

  3. 김태환.김창엽(2018), "가계부채가 미충족의료에 미치는 영향",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24(4): 71~95. 

  4. 민인식.최필선(2012),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서울: 한국 STATA 학회. 

  5. 송주연.전희정(2018), "노인 주거이동 의향 결정요인 및 변화에 관한 연구: 2006.2016 주거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국정관리연구」, 13(2): 191~220 

  6. 심승규.지인엽(2021), "생애주기별 주택소유와 주거유형: 연령대별 손바뀜 현상에 대한 실증분석", 「LHI Journal」, 12(4): 31~40. 

  7. 이경애.정의철(2014), "고연령 자가 거주 가구의 주거이동 및 주택점유형태 결정요인: 가구주의 성별 특성을 중심으로", 「주택연구」, 22(3): 127~152 

  8. 이선우(2012), "근로장애인의 빈곤요인에 대한 연구", 「제4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발표논문」, 693~713. 

  9. 임미화(2013), "패널자료를 이용한 가구주 연령별 주거이동발생 요인", 「부동산연구」, 23(2): 79~94. 

  10. 최효비.최열(2022), "이변량 프로빗 모형을 이용한 노인가구의 주거이동 의사 결정요인 분석-부산.울산.경남 노인가구를 대상으로", 「부동산 분석」, 8(2):?75~94. 

  11. 통계청(2022), 「2022 고령자 통계」, 대전. 

  12. 한국고용정보원(2020), 「고령화연구패널조사 1-8차원자료」.?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2020),?「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1-8th Wave」. (in Korean) 

  13. Begley, J. and S. Chan (2022), "Next to Kin: How?Children Influence the Residential Mobility Decisions?of Older Adults", The Journal of the Economics of?Ageing, 23:100394 (Online Published). 

  14. Choi, Y., Y. H. Kwon and J. Kim (2018), "The Effect of?the Social Networks of the Elderly on Housing?Choice in Korea", Habitat International, 74: 1~8. 

  15. Lee, K. O. and G. Painter (2014), "Housing Tenure?Transitions of Older Households: What is the Role?of Child Proximity?", Real Estate Economics, 42(1):?109~152. 

  16. Spring, A., E. Ackert, K. Crowder and S. J. South?(2017), "Influence of Proximity to Kin on Residential?Mobility and Destination Choice: Examining Local?Movers in Metropolitan Areas", Demography, 54(4):?1277~1304. 

  17. Zhang, Y., M. Engelman and E. M. Agree (2013),?"Moving Considerations: A Longitudinal Analysis?of Parent-Child Residential Proximity for Older?Americans", Research on Aging, 35(6): 663~687.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