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원인에 관한 3차원 모델링 수준 비교 - 지구본 모델과 가상현실 모델 -
Comparison of Three-dimensional Modeling Levels for Cause of Season Changes of Elementary Students: Globe Model and Virtual Reality Model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2 no.2, 2023년, pp.311 - 324  

석윤수 (원주치악초등학교) ,  윤혜경 (춘천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계절 변화 원인을 탐구하기 위해서 초등학생들은 3차원 공간에서 모델링하는 경험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초등학생이 계절 변화 원인을 설명하기 위해 3차원 공간에서 지구의 운동을 모델링하는 과정을 분석하였다. 특히 지구본과 전구를 활용한 모델과 가상현실을 매체로 한 모델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의 모델링 수준을 분석함으로써 표상 매체에 따른 모델링 활동의 특징을 비교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학생 12명, 3개 모둠의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5차시에 걸쳐 수행된 모델링 수업을 녹화하고, 학생들이 구성한 모델, 모델에 대한 학생의 설명 영상, 활동지 및 사후 면담 자료를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지구본 모델에서 가상현실 모델로 표상 매체가 달라졌을 때 나타난 긍정적인 측면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구본 모델을 구성할 땐 우주 기반 관점에서만 설명하려 했지만, 가상현실 모델을 구성할 땐 우주 기반의 관점과 지구 기반의 관점 모두에서 관찰하고 설명하고자 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것은 시점을 자유자재로 선택할 수 있다는 가상현실의 특징에 기인한다. 둘째, 지구본 모델을 구성할 땐 전구 빛과 태양 빛의 차이에 대한 인식이나 논의가 거의 없었지만, 가상현실 모델을 구성할 땐 태양 오브젝트가 갖는 한계를 비판적으로 인식하면서 모델을 평가하는 모습이 나타났다. 그러나 가상현실 모델링 과정에서 부정적인 측면도 나타났다. 지구본 모델에서는 학생들의 구체적 조작이 가능했지만, 가상현실 모델에서는 코딩을 통해 오브젝트를 움직이기 어려워 학생들의 모델링 수준이 감소하는 경우가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통해 가상현실 모델링 활동의 필요성과 과학과 교수·학습에 주는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understand the cause of changes in seasons, elementary students need to experience modeling in three-dimensional space. To address this concern, the study analyzed the modeling activities of elementary students to explain the Earth's movement as a cause of changes in seasons in 3D space. In parti...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8)

  1. 강다영(2020). 증강현실과 가상현실을 활용한 과학 중심?융합인재교육(STEAM) 프로그램이 초등 영재학생들의 융합적 문제해결력과 과학 학습 정서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고경만(2000). 계절의 변화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개념.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고민석, 김나영, 양일호(2014). 계절의 변화 원인에 대한?설명에서 나타난 초등학생들의 개념 시뮬레이션 사례?연구.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7(1), 43-53. 

  4.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고시 제2011-361호. 

  5. 교육부(2015).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고시 제2015-74호. 

  6. 김다정, 전석주. (2014). 현장체험학습을 위한 가상학습 기반수업모형의 설계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18(1), 133-142. 

  7. 김순미, 양일호, 임성만(2013). 계절 변화의 원인에 관한?초등학생의 멘탈 모델 변화 과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5), 893-910. 

  8. 김우겸, 최동열, 곽승철, 김희수(2019). 가상현실 기술을?활용한 학습이 학습 동기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3(3), 271-283. 

  9. 김혜란, 최선영(2020). 초등 과학 수업에 VR 구현 프로그램을 활용한 SW 융합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초등과학교육, 39(2), 296-305. 

  10. 노자헌, 손준호, 김종희(2020).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개념 검사를 위한 도구 개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13(1), 74-89. 

  11. 노현호(2018). VR 콘텐츠를 활용한 초등 과학 프로그램?개발 및 적용.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맹승호, 이기영,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03-718. 

  13. 박인우, 류지현, 조상용, 손미현, 장재홍(2017). 증강현실(AR)과 가상현실(VR) 콘텐츠 이해 및 교육적 활용 방안?이슈리포트. KERIS 한국교육학술정보원, PM 2017-8. 

  14. 박정호, 최은영(2018). VR 콘텐츠의 인지에 미치는 시지각 요인이 실재감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2(7), 985-992. 

  15. 배영권, 박판우, 문교식, 유인환, 김우열, 이효녕, 신승기(2018). 가상현실장비(VR)를 활용한 융합인재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만족도와 학습자의 태도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5), 593-603. 

  16. 석윤수(2022). 계절 변화 원인에 관한 초등학생의 3차원 모델링 수준 분석. 춘천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석윤수, 윤혜경(2022). 초등학생의 계절 변화 원인에 관한?지구본 활용 모델링 분석. 초등과학교육, 41(4), 673-689. 

  18. 성지영(2014). 모델을 활용한 계절의 변화 수업에서 초등학생들이 겪는 어려움. 경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심규철, 박종석, 김현섭, 김재현, 박영철, 류해일(2001). 과학교육에서 가상현실 기법의 활용 모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1(4), 725-737. 

  20. 엄장희(2022). 초등학교의 협력적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나타난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학생 행위주체성 이해.?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1. 오필석(2007). 중등학교 지구과학 수업에서 과학적 모델의 활용 양상 분석: 대기 및 해양 지구과학 관련 수업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7), 645-662. 

  22. 유연준, 오필석(2016). 초등학생들의 계절의 변화 단원의?학습에서 모델링 중심 과학 탐구 수업의 효과. 초등과학교육, 35(2), 265-276. 

  23. 윤희영(2015). 초등학생의 소집단 상호작용에서 나타난?기압에 관한 모델링 과정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이기영, 맹승호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별과 우주?단원에 대한 중학교 과학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4), 393-406. 

  25. 이정아, 이기영, 박영신, 맹승호, 오현석(2015). 초등학교?태양계와 별 수업에서 나타나는 공간적 사고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2), 179-197. 

  26. 이재병, 권난주(2022) 가상현실(VR) 콘텐츠를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생의 공간 감각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46(1), 66-79. 

  27. 이태수(2017). 가상현실과 증강현실 기반 안내된 탐구학습이 학습장애 학생의 과학과 '태양계와 별'의 학습에?미치는 효과. 특수교육연구, 24(2), 265-287. 

  28. 이혜선, 정윤희, 김상연(2019).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활용한 국내 가상현실(VR) 연구와 교육적 활용 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지, 19(18), 311-338. 

  29. 장진아, 박준형, 송진웅(2019). 초등학교 과학 디지털교과서에 제시된 테크놀로지를 활용한 탐구 활동의 특징:?가상실험, 가상현실, 증강현실 활용 사례들을 중심으로.?초등과학교육, 38(2), 275-286. 

  30. 정선라, 이용복(2013). 계절변화 개념 위계에 관한 연구.?한국지구과학회지, 34(4), 366-367. 

  31. 조혜숙, 남정희, 오필석(2017). 과학교육에서 모델 및 모델링에 대한 고찰: 메타모델링 지식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2), 239-252. 

  32. 채동현(2011). 계절 변화의 원인에 대한 초등학교 6학년?학생들의 선개념 조사. 초등과학교육, 30(2), 204-212. 

  33. 최선영, 여상인(2010). 초등과학수업에서 교사가 느끼는?어려운 초등과학교과서 단원에 대한 조사. 과학교육논총 23, 89-102. 

  34. 최섭(2021). VR 기반 프로그램을 활용한 과학적 모형 구성 수업의 개발과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5. 한도윤, 김형범, 김흥태(2022). 가상현실 (VR) 지질자료?개발을 통한 원격수업의 효과 분석: 지오빅데이터 오픈플랫폼 활용을 중심으로.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15(1), 47-61. 

  36. Baek, H., Schwarz, C., Chen, J., Hokayem, H., & Zhan, L.?(2011). Engaging elementary students in scientific?modeling: The MoDeLS fifth-grade approach and?findings. In Models and modeling (pp. 195-218).?Springer. 

  37. Baek, Y. (2010). Teaching and learning in a virtual world.?Seoul: Hakjisa. 

  38. Barab, S. A., Hay, K. E., Barnett, M., & Keating, T. (2000).?Virtual solar system project: Building understanding?through model building.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37(7), 719-756. 

  39. Bell, R. L., & Trundle, K. C. (2008). The use of a?computer simulation to promote scientific conceptions?of moon phas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45(3), 346-372. 

  40. Clement, J. (1989). Learning via Model Construction and?Criticism. In J. A. Glover, R. R. Ronning & C. R.?Reynolds (Eds.), Handbook of Creativity. Perspectives?on Individual Differences. Springer, Boston, MA. 

  41. Harrison, A. G., & Treagust, D. F. (2000). Learning about?atoms, molecules, and chemical bonds: A case study of?multiple-model use in grade 11 chemistry. Science?Education, 84(3), 352-381. 

  42. National Research Council & Downs, R. M. (2006).?Learning to think spatially. National Academies Press. 

  43. National Research Council. (2012). A framework for K-12?science education: Practices, crosscutting concepts, and?core ideas. National Academies Press. 

  44. Passmore, C., Stewart, J., & Cartier, J. (2009). Model-based?inquiry and school science: Creating connections. School?Science and Mathematics, 109(7), 394-402. 

  45.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1), 1-45. 

  46. Rea-Ramirez, M. A., Clement, J., & Nunez-Oviedo, M.?C. (2008). An instructional model derived from model?construction and criticism theory. In J. J. Clement &?M. A. Rea-Ramirez (Eds.), Model based learning and?instruction in science. Models and Modeling in Science?Education, vol 2. Springer, Dordrecht. 

  47. Schwarz, C. V., Reiser, B. J., Davis, E. A., Kenyon, L.,?Acher, A., Fortus, D., Shwartz, Y., Hug, B., & Krajcik,?J. (2009). Developing a learning progression for scientific?modeling: Making scientific modeling accessible and?meaningful for learner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Teaching, 46(6), 632-654. 

  48. Schwarz, C. V., & White, B. Y. (2005). Metamodeling?knowledge: Developing students' understanding of?scientific modeling. Cognition and Instruction, 23(2),?165-20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