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청소년 자녀를 둔 한부모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개인적 자원과 가족자원을 중심으로
Factors Affecting Single Parents' Grit : Focusing on Personal Resources and Family Resources 원문보기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and policy review, v.27 no.2, 2023년, pp.49 - 62  

김가연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박정윤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그릿(Grit)은 장기적인 목표를 달성하고자 하는 열정과 인내를 의미하며, 심리적 건강과 적응을 예측하는 성격 특성이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 다양한 어려움 속에서도 자녀양육에 관심을 가지고 꾸준히 노력할 수 있도록 한부모의 그릿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실제적인 자원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KCYPS 2018)의 4차년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총 284명의 한부모를 대상으로 빈도, 평균 등의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한부모의 그릿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변인, 개인적 자원(심리자원, 생활시간 및 건강 자원), 가족자원(가족관계 및 자녀 자원, 경제자원)을 탐색하였다. 첫째, 상관관계 분석결과, 한부모의 그릿은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연령, 학력, 개인적 자원 중 삶의 만족도, 행복감, 자아존중감, 스마트폰 의존도, 운동시간, 아침식사 횟수, 가족자원 중 가구원수, 자녀성적만족도, 자녀학교생활만족도, 주관적 가정경제수준, 월평균 사교육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 학력, 개인적 자원 중 자아존중감, 근로 여부, 스마트폰 의존도, 운동시간, 가족자원 중 가구원수, 자녀성적만족도, 주관적 가정경제수준이 한부모의 그릿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한부모가 자녀양육을 잘 해낼 수 있도록 한부모의 그릿을 증진시키는 개인 및 가족 자원을 밝혔으며, 이를 통해 한부모가족의 안정적인 자녀양육 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Grit is a person's passion and perseverance that drive them to achieve long-term and meaningful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actical resources that can affect single parents' grit. Using the fourth-year panel data from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2018 (KCYPS 2018...

주제어

참고문헌 (61)

  1. 고선강(2018). 한부모가족의 가계지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모자가족과 부자가족의 지출 비교.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1), 99-118. DOI : 10.22626/jkfrma.22.1.006.? 

  2. 권대훈(2016). 통제소재, 미래시간조망, 그릿(grit)과 지연의 관계 분석. 교육학연구, 54(4), 21-43.? 

  3. 김동일.정여주.이주영.김명찬.이윤희.강은비.금창민.남지은(2012). 성인용 간략형 스마트폰 중독 자가진단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3(2), 629-644.? 

  4. 김숙미.구광현.김보현(2020). 영유아교사의 인성, 그릿, 창의성 간의 구조적 관계: 그릿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보육학회지, 20(3), 91-104.? 

  5. 김아연.박보경.김수지.이선희.도현심(2017). 청소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부모됨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청소년학연구, 24(8), 161-193.? 

  6. 김외숙.박은정(2018). 한부모가족의 시간사용과 시간부족감의 성차 분석.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2(3), 1-19. DOI : 10.22626/jkfrma.22.3.001.? 

  7. 김진구.박다은(2018). 청소년기 그릿과 시련극복역량간의 관계에 대한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5(1), 51-67.? 

  8. 김혜선.김은하(2010). 이혼한 여성 한부모 어머니의 경험삶의 위기에서 시작된 경험들. Crisisonomy, 6(1), 219-242.? 

  9. 김희명.황매향(2015). 한국판 아동용 끈기(Grit) 척도의 타당화. 교육논총, 35(3), 63-74.? 

  10. 노영희.김상인(2016). 한부모의 자녀양육어려움, 고용지위, 사회적지지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부모의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가족치료, 24(2), 167-185.? 

  11. 류영주.양수진(2017). 내재적.친사회적 동기와 삶 만족도의 관계에서 그릿(Grit)과 친사회적 행동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0(4), 93-115.? 

  12. 문은영(2011). 서울시 한부모가족 실태조사를 통해 본 부자(父子) 가족의 현황과 문제점. 공공사회연구, 1(2), 135-174.? 

  13. 박주하.배유진.양수진(2021). 영아-걸음마기 자녀를 둔 초산모의 그릿과 행복감의 관계: 삶의 의미와 양육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4(4), 1-20.? 

  14. 박혜린.어성연(2022).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소진 간의 관계에서 그릿의 매개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26(4), 109-127.? 

  15. 백은영.이명우(2018). 이혼을 선택한 여성 한부모의 행복 경험. 재활심리연구, 25(2), 299-325.? 

  16. 서미옥(2019). 그릿(Grit)과 관련 변인들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교육학연구, 57(1), 105-130.? 

  17. 서현아.엄세진(2019). 예비유아교사의 창의적 인성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행복감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8(2), 173-197.? 

  18. 서현원.이선영.임혜정(2021). 부모 자녀 대화시간이 자녀의 그릿(Grit)에 미치는 영향: 비일관적 양육태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41(3), 123-143.? 

  19. 성미애(2020). 청소년 자녀가 있는 남성 한부모의 어려움 관련 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8(1), 1-15.? 

  20. 여성가족부(2021). 2021년 한부모가족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21. 여성가족부(2023). 제1차 한부모가족정책 기본계획(2023~2027). 여성가족부.? 

  22. 연은모.최효식(2021). 한부모가 된 후의 변화 및 어려움에 대한 잠재프로파일 분석: 우울 수준의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22(6), 550-557.? 

  23. 윤기봉(2020). 어머니의 끈기가 청소년의 끈기에 미치는 영향: 부모 자녀 간 대화시간을 통한 양육태도의 조절된 매개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8(2), 15-28.? 

  24. 윤미리.이현정.홍세희(2020). 어머니와 자녀의 그릿(Grit)과 행복감,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교육문제연구, 33(3), 1-24.? 

  25. 이만수.박정윤(2022). 부자가족 아버지의 자녀 양육 자원에 대한 사례연구: 이혼한 남성을 중심으로.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26(4), 1-13. DOI : 10.22626/jkfrma.26.4.001.? 

  26. 이미란.이혜원.탁정화(2017). 예비유아교사의 자기효능감과 그릿의 관계에서 회복탄력성의 매개효과.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2), 491-512.? 

  27. 이정민.정혜원(2022). 어머니와 중학생 자녀의 스마트폰 의존도와 그릿 간 종단적 관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한 행위자-상대자 상호의존모형 적용. 한국교육문제연구, 40(2), 55-82.? 

  28. 이혜원.탁정화(2018). 예비유아교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아존중감이 그릿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미디어연구, 17(1), 251-276.? 

  29. 이효진.박수빈.김희정(2022). 미성년 자녀를 양육하는 한부모의 우울 관련 요인: 성별 그룹 간 차이를 중심으로. 정신간호학회지, 31(1), 36-46.? 

  30. 임세와.박주혜(2018). 한부모의 자녀양육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역량접근에 기반하여. 열린부모교육연구, 10(3), 1-28.? 

  31. 장명선.이영호(2016). 한부모가족의 자녀양육에 대한 정책적 요구와 방안 모색.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20(2), 141-163.? 

  32. 장혜원.최하영(2021). 학령기 자녀를 둔 남성한부모의 어려움-초등학생 자녀와 중.고등학생 자녀의 비교를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68(4), 35-67.? 

  33. 전향신.박분희(2020). 어머니그릿, 자녀그릿, 학업열의와 학업무기력 간의 구조적 관계: 성별에 따른 다집단 분석. 청소년학연구, 27(8), 329-355.? 

  34. 정수진.손영우.이수란(2021). 그릿과 직무만족 간의 관계: 목표-현재 일자리 일치도의 매개효과와 사회경제적지위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34(2), 153-182.? 

  35. 정예림.김예본.양수진(2021). 초산모의 그릿(Grit), 배우자 지지와 연령 수준에 따른 양육 열정, 산후 우울, 행복의 차이. 한국모자보건학회지, 25(3), 177-183.? 

  36. 최인수.표정민(2014). 한국인의 창의성에 대한 암묵적 이론 척도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8(1), 27-47.? 

  37. 최하영.김민영(2020). 학령기 자녀를 둔 여성한부모의 빈곤과 자녀양육어려움에 관한 연구-빈곤심도와 다차원적 요인들을 중심으로. 한국가족복지학, 67(3), 35-71.? 

  38. 통계청(2021a). 2021년 가계금융.복지조사. 통계청.? 

  39. 통계청(2021b). 2021년 인구주택총조사. 통계청.? 

  40. 통계청(2022). 2022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통계청.? 

  41. 하문선(2020). 청소년과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그릿 및 삶의 만족 간 관계: 자기-상대방 상호의존모형(APIM)의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24), 1297-1323.? 

  42. 허수연(2018). 한부모가족 여성의 자녀와의 시간과 자녀의 삶 만족에 관한 연구: 부모감독과 자녀의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한국가족복지학, 59, 5-26.? 

  43. 황미송.윤성민(2022). 어머니의 자기 지향 완벽주의와 양육불안의 관계에서 그릿(Grit)의 매개효과. 인문사회 21, 13(1), 505-516.? 

  44. 황용재.김창겸(2020). 부모의 그릿이 자녀의 그릿에 미치는 영향-자율성지지와 강요에 의한 다중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7(4), 27-47.? 

  45. 황진구.전현정.이용해(2022). 2022 한국아동.청소년 패널조사: 사업보고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46. Cashion, B. G.(1982). Female-headed families: Effects on children and clinical implications. Journal of Marital and Family Therapy, 8(2), 77-85.? 

  47. Crede, M., Tynan, M. C. & Harms, P. D.(2017). Much ado about grit: A meta-analytic synthesis of the grit literatur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13(3), 492-511.? 

  48.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1), 71-75.? 

  49. Duckworth, A. L.(2016). Grit: The power of passion and perseverance. NY: Scribner.? 

  50. Duckworth, A. L., Peterson, C., Matthews, M. D. & Kelly, D. R.(2007). Grit: Perseverance and passion for long-term goal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6), 1087-1101.? 

  51. Duckworth, A. L. & Quinn, P. D.(2009).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short grit scale(Grit-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91(2), 166-174.? 

  52. Ericsson, K. A., Krampe, R. T. & Tesch-Romer, C.(1993). The role of deliberate practice in the acquisition of expert performance. Psychological Review, 100(3), 363-406.? 

  53. Eskreis-Winkler, L., Shulman, E. P., Beal, S. A. & Duckworth, A. L.(2014). The grit effect: Predicting retention in the military, the workplace, school and marriage. Frontiers in Psychology, 5, 36.? 

  54. Gough, H. G. & Heilbrun, A. B.(1983). The adjective check list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55. Joy, K., Prathap, V., Rajan, A. P. &Vandana, V. S.(2020). Influence of parent's grit on student's grit and the effect of other social determinants upon the relation. Indian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11(2), 71-74.? 

  56. Kwon, H. W.(2021). What can sociology say about grit? A cross-cultural exploration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economic status, sense of control, and grit. Socius, 7, 1-12.? 

  57. Lindblad-Goldberg, M.(2006). Children in family contexts: Perspectives on treatment (2nd ed). NY: Guilford Press.? 

  58. Rhodes, E. & Giovannetti, T.(2022). Grit and successful aging in older adults. Aging & Mental health, 26(6), 1253-1260.? 

  59.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0. Whisenhunt, J. L., Chang, C. Y., Parrish, M. S. & Carter, J. R.(2019). Addressing single parents' needs in professional counseling: A qualitative examination of single parenthood. The Family Journal, 27(2), 188-198.? 

  61. Zepetnek, J. T., Martin, J., Cortes, N., Caswell, S. & Boolani, A.(2021). Influence of grit on lifestyle factor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in a sample of adults in the United Stat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5, 110705-11071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