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탄소중립 거버넌스 참여 과학기술전문가의 활동 기준 제시를 위한 공통성공요인 분석 (서울시 기후환경분야 거버넌스 사례를 통한 검증)
Analysis of Governance Common Success Factors for Activity Standards of Science and Technology Experts (Verification by a case of Climate and Environment Governance of Seoul City) 원문보기

청정기술 = Clean technology, v.29 no.2, 2023년, pp.151 - 159  

천지광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김혜애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  지민규 (한국환경연구원 환경평가본부) ,  전병훈 (한양대학교 자원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탄소중립의 실현을 위해서는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공동협력을 기반으로 거버넌스 제도를 활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성공적인 거버넌스 운영은 구성원들이 어떤 활동 기준을 가지고 참여하는지가 중요하며, 특히 정책 집행 과정에서 과학적 조언을 할 수 있는 전문가에게는 성공적인 합의점 도출을 위한 가이드 공유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거버넌스 참여 과학기술전문가의 활동기준 제시를 위한 공통성공요인을 도출하고자 거버넌스 모형이론과 모형구조, 사례별 공통성공요인, 서울시 기후환경분야 거버넌스 사례적용 등의 조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형이론 연구결과, 모형구조는 공통적으로 '조건-과정-결과'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구성원들의 활동시기인 '과정' 단계에서 공통성공요인을 도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공통성공요인의 사례조사를 통해 중복요인은 신뢰성, 책임성, 투명성 및 네트워크로 도출되었다. 공통성공요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서울시 거버넌스의 참여자 만족도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결과값은 신뢰성 > 네트워크 > 투명성 > 책임성의 순으로 확인되었으며, 관련 요인들이 적절하게 도출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과학기술분야 전문가의 활동요인으로 활용되어 탄소중립 정책의 수용성과 효용성을 높일 수 있기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ealization of carbon neutrality requires cooperation from various stakeholders and the utilization of a governance system. The criteria for participating members are crucial for the successful operation of governance, and it is especially necessary for experts who can provide scientific advice ...

주제어

표/그림 (6)

참고문헌 (23)

  1. Dong, A. H., Kang, J. E., Lee, S. H., Ha, J. H., and Lee, J.?Y.,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Sustainability Evaluation?Methodology for Climate Change Adaptation Policies and?Measures," J. Climate Change Res., 12(1), 49-66 (2021). 

  2. Hong, Y.S. and Lee, D. K., "A study on Korean Climate?Change Governance in Mass Media: Focused on Daily?Newspapers," JKCA, 19(12), 38-56 (2019). 

  3. Joo, J. B., "Critical factors for a Successful Collaborative?Governance among Municipalities: A Case Study of the Council?for Water Quality Improvement of the Anyang Stream," J. Korean Policy Stud., 13(3), 355-374 (2013). 

  4. Ahn, S. H. and Yun, S. J., "The Process of Change in Climate?Change Governance of Gwangju Metropolitan City," KGR,?22(2), 209-236 (2015). 

  5. Suh, S. T. and Min, B. G., "A Study on Collaborative?Governance for Regional Development," KOREA COMMUNITY?DEVELOPMENT SOCIETY, 30(2), 25-44 (2005). 

  6. Kooiman, J., "Modern Governance: New Government- Society?Interactions," ISBN-13: 978-0803988910, SAGE Publication?Ltd. (1993). 

  7. Emerson, K., Nabatchi, T., and Balogh, S., "An Integrative?Framework for Collaborative Governance," J. Public Adm. Res.?Theory, 22(1), 1-29 (2011). 

  8. Ahn, H. K. and Ham, J. S., "Building Collaborative Governance?Between the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Korea Institute?of Public Administration, ISBN: 978-89-5704-604-3 (2015). 

  9. Wood, D. J. and Gray, B., "Toward a Comprehensive Theory?of Collaboration," J. Appl. Behav. Sci., 27(2), 139-162 (2016). 

  10. Thomson, A. M. and Perry, J. L., "Collaboration Processes?Inside the Black Box," Public Adm. Rev., 66(1), 20-32 (2006). 

  11. Bryson, J. M., Crosby, B. C., and Stone, M. M., "Design and?Implementation of Cross-Sector Collaborations: Propositions?from the Literature," Public Adm. Rev., 66(1), 44-55 (2006). 

  12. Ansell, C. and Gash, A., "Collaborative Governance in Theory?and Practice," J. Public Adm. Res. Theory., 18(4), 543-571?(2007). 

  13. Bae, E. H., "Empirical Analysis of the Collaborative?Administration: The Success Factors of NIMBY Program?Decision Making," Korean Public Adm. J., 25(3), 91-128?(2016). 

  14. Kang, S. K., "The Influential Factors of Collaborative?Governance in Community based tourism: Case Study of?Goryeong-county Tourism Association," J. Region Culture,?6(2), 1-23 (2019). 

  15. Bae, K. H., and Kang, Y. J., "A Study on Critical Factors of?Successful Collaborative Governance for Resolving?Environmental Problems: Focusing upon the Taehwa River,"?Korean Policy Sci. Rev., 22(2), 155-187 (2018). 

  16. Oh, C. H. and Ko, S. H., "Is Collaborative Governance?Working?: A Case Study," KSPA, 22(4), 27-49 (2012). 

  17. Kang, A., "A Study on the Influence of Interpersonal Trust?and Government Trust on Collaborative Governance," J. Huma.?Soci. Scie., 12(2), 277-290 (2021). 

  18. Chae, H, "Research on Overflowing Governance," Ngo Stud.,?15(1), 1-42 (2020). 

  19. Choo, J. M.,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Governance and Environmental Policy Task to Respond to?Future Environmental Issues," Korea Environment Institute,?ISBN 979-11-5980-068-9 93530 (2016). 

  20. Oh, J. K., "Successful Factors of Offshore Wind Energy?Development in Denmark: An Analysis of Collaborative?Governance," Theses (Master's Degree) (2018). 

  21. Kwon, H. W., "Prospects of the Role of Government and the?Structure of Governance in the Post-COVID19 Era: Focusing?on the Notion of Public Value," J. Gover. Stud., 15(4), 1-35?(2020). 

  22. Park, J. A., "Policy implications for governance system and?participant role in the process of environmental energy policy,"?Theses (Master's Degree) (2018). 

  23. Kim, H. A., Lee, Y. J., and Kim, T. W., "Governance?Operational Performance and Tasks in the Climate and?Environment Sector of Seoul Metropolitan City," Seoul?Institute, 2020-CR-26 (202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