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이 하체운동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kle Strengthening Exercise and Toe Taping Walk Training to Lower Body Exercise Function 원문보기

산업융합연구 =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v.21 no.7, 2023년, pp.51 - 63  

강지수 (한양대학교 스포츠과학과) ,  이종복 (부천대학교 재활스포츠과) ,  조일영 (전주대학교 운동처방과) ,  김현태 (대원대학교 재활운동과) ,  김종혁 (중원대학교 뷰티케어학과) ,  김인동 (창덕여자고등학교) ,  김재중 (신라호텔 생활레져사업부) ,  박정범 (대림대학교 스포츠지도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훈련 운동을 통하여 얻어지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4주간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이 하체기초체력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A대학에 재학중인 20대 여성 30명을 무선 선정하여 발목강화운동군, 무지테이핑 걷기운동군, 통제군 각 10명으로 선정하였다. 본 실험으로는 주 3회 60분간 4주간 수건 및 마사지볼, CRT를 이용한 마사지와 발목강화운동을 실시하였으며, 또한, 화이트 테이프 처치 후 20분간 걷기 및 키네지오 테이프를 이용한 무지외반 테이핑을 실시하였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본다면 4주간의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은 20대 여성의 하체기초체력(근력, 순발력, 평형성)과 보행(활보장, 족저압, COP)에는 통계적으로 일부 유의미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실시한 발목강화운동과 무지테이핑 걷기운동이 하체 운동기능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후속연구에서는 통증위치별, 정형외과적 소견별로 나누어 보다 다양한 효과를 알아보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라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s of a 4-week program of ankle-strengthening exercise and toe-taping walk exercise on the basic lower body strength and walking to examine the benefits of the two exercises. The subjects involved 30 women in their 20s enrolled in university A. The subjects were e...

주제어

참고문헌 (20)

  1. Beak, H. J., Kim, S., Kang, S. H., & Kim, J.?(2021). Comparison of the effect of instrument?assisted soft tissue mobilization (IASTM) and?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on ankle strength, range of motion, and dynamic?stability. The Korean Society of Culture and?Convergence, 43(5), 831-846.?DOI : 10.33645/cnc.2021.05.43.5.831. 

  2. B. H. Kim, Y. S. Kim, Y. S. Oh. (2010). Anatomy?Exercise book of Neuromusculoskeletal System.?Seoul: Book Publishing Daekyung Books. 

  3. H. C. Kim, M. I. Kim, K. S. Sung. (2001). Sport &?Kinesio taping. Seoul: Book Publishing Daekyung?Books. 

  4. S. Y. Lee, H. S. Kim & S. S. Bae. (2002).?Measurement of the CTA and Q-Angle with the?Different Position of the Pronation and?Supination of the Foot. The journal of Korean?society of physical therapy, 14(4), 4, 342-366. 

  5. M. H. Choi, B. K. Lee, J. M. Hwang, Y. J. Kook,?S. R. Park, C. W. Son, H. J. Lee, S. P. Jung & S.?W. Hwang. (2013). A Study on Rehabilitation?Program after Ankle Inner Sprain Injury. The?12th Exercise Science and Technology Contest.?Seoul: Korean Association of Certified Exercise?Professionals. 

  6. J. S. Park. (2016). The effect of high-heeled?shoes on foot pain and postural imbalance for?female University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air tourism and service. Graduate School of?Hanseo University. Master's Thesis. 

  7. S. H. Kang. (1992). Effects of Exercise and?Massage on Vascular Compliance. Korean journal?of physical education, 55(6), 741-747. 

  8. H. G. Jeong, M. R. Hong & J. S. Son. (2006).?Clinical Massage Therapy. Book Publishing?Daekyung Books. 

  9. K. M. Um, K. S. Sung & Y. K. Yang. (2002). The?Effect on Decrease in the Lumbago by Foot?Reflex Massage and Sports Massage. The?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hysical therapy?science, 9(4), 113-118. 

  10. A. Kalron. (2015). Association between perceived?fatigue and gait parameters measured by an?instrumented treadmill in people with multiple?sclerosis: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NeuroEngineering and Rehabilitation, 12(1), 34.?DOI : 10.1186/s12984-015-0028-2. 

  11. J. K. Park, J. K. Kim, J. H. Song, J. H. Park & A.?Y. Han. (2015). Sports Taping. Seoul: Hyungseul?Publishing. 

  12. J. T. Kim & S. H. Park. (2008). Effects of Taping?Methods on Trunk and Thigh Muscle Activity?during Kinetic Chain Exercise. Journal of coaching?development, 13(3), 105-113. 

  13. W. S. Yoo. (2002). The Effects in Leg muscular?strength Training for Jumping ability to?increase Woman's volleyball national athletes.?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Master's?Thesis. 

  14. D. H. Perrin. (2007). Athletic taping and bracing.?(2nd. ed.). Human kinetics Publishers : U.S.A. 

  15. D. H. Jeong. (1992). An Exploration of Therapeutic?Sports Massage in Sports Medicine. Research on?Physical Fitness, 26(1), 83-110. 

  16. S. W. Han & S. A. Kong. (2006). The effect of?backward walking and foreward walking on?physical fitness in treadmill inclination for?women. Journal of coaching development), 8(3),?269-276. 

  17. K. M. Lee & B. A. Kwon. (1999). The effects of?sports massage parelling with sling exercise in?chronic low back pain of middle-aged women.?The Korean Journal of Sport, 14(2), 271-282. 

  18. H. S. Kim. (2004). The Effect of Therapeutic?Taping on the Active Knee Extension and Knee?Pain during Going up and Down the Stairs with?Knee Osteoarthrotis. Graduate School of Dankook?University. Master's Thesis. 

  19. E. H. Kim & B. H. Song. (2010). Comparing the?effects between elastic band exercise and?balance mat exercise on push off ankle strength?during ambulation for the children with Down?Syndrome. Children with special education?needs, 27, 27-48. 

  20. J. K. Lee, Y. K. Kim & J. H. Choi. (2000).?Influence of Orthopedic Medical Taping on?Gait of Stance Phase and Pain. The Journal of?Korean Society of Health Sciences, 6(1), 1-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