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접접근전략으로 본 6·25전쟁기 북한군의 호남 방면 대우회기동 실패 요인 분석 -'교란'을 저지한 해군·해병대의 통영상륙작전을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factors of the failure of the North Korean Army's Great Bypass Maneuver to Honam during the Korea War from an indirect approach strategy: Focusing on the Naval and Marine Corps' Tongyeong Amphibious Operation to Stop the "Dislocation"

해양안보 = Maritime security, v.6 no.1, 2023년, pp.109 - 135  

최호재 (해병대사령부, 국방대학교 군사전략학)

초록

북한군의 호남방면 대우회 기동은 6.25전쟁 기간 동안 북한군이 보여준 가장 빠른 기동이었으며, 국군과 연합군의 낙동강 방어선을 전면 조정하게 할 만큼 위협적인 공격이었다. 하지만 본 연구가 간접접근전략 측면에서 북한군의 호남방면 대우회기동을 분석한 결과, 이 기동에는 실패할 수밖에 없었던 여러 요인이 존재했다. 간접접근전략 수행 측면에 있어서 북한군은 전투력 분산, 작전선 변경의 융통성 부족, 지상군 위주의 기동, 심리적 견제 결여 등 여러 실패 요인을 노정했다. 하지만 북한군은 마지막 '기습'을 준비였는데, 그것은 북한군 6사단을 후속하던 7사단이 재차 우회를 감행하여 통영 방면으로 공격을 시도한 것이었다. 이를 통해 북한군은 낙동강 방어선을 돌파하고, 부산으로 향하고자 했다. 그러나 북한군의 공격은 한국 해군·해병대의 통영상륙작전으로 인해 최종 좌절되었다. 바다를 기동공간으로 한 신속한 기동으로 해군·해병대는 주요 요충지를 먼저 점령했고, 유리한 상황을 조성한 가운데 북한군 7사단의 공격을 막아냈다. 해군·해병대의 통영상륙작전은 북한군의 호남방면 대우회기동을 최종 저지함으로써 낙동강 방어선이 유지되도록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North Korean military's maneuver toward Honam was the fastest maneuver the North Korean army had demonstrated during the Korean War, and it was a threatening attack that forced the Korean and Allied forces to fully adjust the defenses of the Nakdong River. However, when this study analyzed the N...

주제어

참고문헌 (34)

  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라주바예프의 6.25 전쟁보고서 1권」,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1. 

  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사 5권 낙동강선 방어작전」, 서울: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08. 

  3. 김성은, "매일봉의 아침햇살,"「참전수기: 한국전쟁과 해병대」, 서울: 군인공제회 문화사업소, 2003. 

  4. 김일성, 「김일성저작집 6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 1979. 

  5. 박창희, 「군사전략론」, 서울: 플래닛미디어, 2018. 

  6.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조선전사 25편」, 백과사전출판사, 1981. 

  7. 손자, 이병호 역, 「손자.군사사상과 병법 이론」, 울산: 울산대학교출판부, 1999. 

  8. 육군군사연구소, 「소련이 기술한 6.25전쟁 I (Boйна в Корее 1950-1953)」, 대전: 국군인쇄창, 2020. 

  9. 정일권, 「정일권 회고록: 전쟁과휴전」, 서울: 동아일보사, 1985. 

  10. 합동군사대학교, 「세계전쟁사 上」, 대전: 국군인쇄창, 2012. 

  11. 해군본부, 「6.25전쟁과 한국해군작전」, 대전: 국군인쇄창, 2010. 

  12. 해병대사령부, 「6.25전쟁 해병대 전투사」, 발안: 해병대군사연구소, 2012. 

  13. Andrew Geer, 홍동선 역, 「피의 낙동강 얼어붙은 장진호」, 서울: 정우사, 1981. 

  14. Basil Henry Liddell Hart, 주은식 역, 「전략론」, 서울: 책세상, 1999. 

  15. Brian Bond, 주은식 역, 「리델하트 군사사상 연구」, 서울: 진명문화사, 1994. 

  16. Roy E. Applaman, South to the Naktong North to the Yalu, Office of the Chief of Military History Department of the Army, Washington, D. C. 1961. 

  17. D. Clayton James, The Years of MacArthur, Volume III-Triumph and Disaster 1945-1964, Boston: Houghton Miffline Company, 1985. 

  18. 김강녕, "한국의 주요상륙작전과 해병대의 위상, "「전략논단」, 제30호, 2019. 

  19. 김대경 외, "상륙작전교리 측면에서 본 통영상륙작전의 의의: 연안상륙작전 교리를 중심으로, "「전략논단」, 2006. 

  20. 김명렬, "간접접근전략 관점에서 저M차 중동전쟁 분석, "「한국군사학논총」, 제9집 1권, 2020. 

  21. 김충남, "간접전근전략에 의한 인천상륙작전 분석,"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6. 

  22. 김현기, "한국전쟁시 한국해병대의 상륙작전: 최초의 단독 상륙작전 통영상륙작전, "「군사논단」19권, 1999. 

  23. 나승균, "나제전쟁에서의 간접 접근전략 연구: 나.당연합군과 백제군과의 전쟁을 중심으로," 「군사발전연구」, 제6권 1호, 2012. 

  24. 남도현, "북한군 제6사단 남침사 上.下," 「국방과 기술」, 520호, 521호, 2022. 

  25. 노양규, "대용목표의 의미와 적용, "「군사발전연구」, 제2권 1호, 2008. 

  26. 손경호, "6.25전쟁 시기 형성된 유엔군의 성격 분석," 「국제정치논총」, 58권 3집, 2018. 

  27. 오홍국, "간접접근전략으로 본 베트남통일전략 연구," 「베트남연구」, 제13호, 2015. 

  28. 이정윤, "간접접근전략과 간접전략," 「군사논단」, 제26권, 2001. 

  29. 장 일, "리델하트 간접접근전략의 한반도 적용에 관한 연구: 첨단무기에 의한 간접접근을 중심으로," 국방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9. 

  30. 국방부, "국방부 국정과제; 제2창군 수준의 국방혁신 4.0 추진으로 AI 과학기술 강군육성," 국방부홈페이지, https://www.mnd.go.kr(검색일: 2023. 2.18.). 

  31. 육군군사연구소, "작전명령 94호(1950. 8. 2)," 「전투명령」62권, 국군인쇄창, 2017. 

  32. Mr Pace, Mr Matthews, Mr Finletter. "Friendly Situation during the same period 10-21 July," Joint Secretaries, 21 July 1950., RG 218 Records of the Joint Chief of Staff, Record Group, Geographic Files, 1948-50,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해외한국관련기록물(검색일: 2023. 2.11.). 

  33. U.S. ARMY STAFF, "JOINT DAILY SYMMARY #9: Washington, 6, Jul, 1950., RG 319 Records of the U.S. Army Staff, Deputy Chief of Staff for Operations, Far East and Pacific Branch, Korean Message File, June 1950 - May 1954,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해외한국관련기록물(검색일: 2023. 2.11.). 

  34. Victor L. Walker, "General walker s Aide-de-Camp's Diary," EUSAK War Diary, 18 Jul 1950, RG 550 Records of United States Army, Pacific, Records of HQ, US Army, Pacific, Military History Office, Classified Organizational History, 8th U,S, Army Korea(EUSAK) War Diary, 국립중앙도서관 홈페이지, 해외한국관련기록물(검색일: 2023. 2.12.)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