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민기록에 대한 개념적 고찰
An Study on the Concept of Civic Records 원문보기

기록학연구 = The Korean Journal of Archival Studies, no.77 = no.77, 2023년, pp.75 - 107  

윤은하 (전북대학교 대학원 기록관리학과, 문화융복합 아카이빙 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다수의 지자체에서 민간기록 대신 시민기록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이에 본고는 구체적으로 민(民)을 포함한 여러 단어들이 현대 한국 정치 및 사회에서 어떻게 이해되고 사용되었는지, 그 개념적 변천에 대해 한국 사회의 사회적 변화와 연관 지어 살펴봄으로써 우리가 민간기록이 아닌 시민기록으로 명명하는 것에 대한 개념적 함의를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역사적으로 민(民)과 대비되는 의미로서 시민(市民)의 개념에 대해 이해하고, 둘째 시민권의 일부로 시민기록관리가 가지는 의미에 대해 살펴본다. 나아가 결사체 시민운동의 관점에서 마을 만들기와 공동체 운동을 살펴보고 이러한 활동을 통해 시민이 일상에서 생산한 시민기록의 정치·사회적 의미에 대해 고찰해보기로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discussions on civil records, the term citizen records is being used instead of civil records. It is necessary to analyze the implications of using the term 'citizen record' instead of the term 'civil record'. Specifically, this paper examines how various words, including min, are understo...

주제어

참고문헌 (35)

  1. 김의영, 한주의, 2008. 결사체민주주의의 실험: 성미산 지키기 운동과 마포연대의?사례, 한국정치학회보 42(3), 143-166. 

  2. 권효림, 2015. 결사체주의 관점에서 본 '마을공동체 만들기'의 민주주의적 이이: 마포파티(Mapo Party)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 49(5), 151-180. 

  3. 곽건홍, 2011. 일상 아카이브(Archives of everyday life)로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한?소론, 기록학연구 29, 3~33. 

  4. 노명환, 2010. 공론장으로서 기록보존소의 역할: 그 역사와 현황, 패러다임 변화와?미래 발전방향: 역사학에 주는 시사점을 중심으로, 서양사론 110, 97-121. 

  5. 장하리, 2022. 「'시민기록의 꽃' 청주 시민기록관 개관」, 뉴스로. (2022. 12.22). 

  6. 박상필, 2015. 한국시민사회의 변화와 새로운 역할 NGO 연구 10(2), 35-68. 

  7. 설 한, 2015. 다원주의 사회의 민주적 시민권, 21세기 정치학회보 25(4): 87-110. 

  8. 손동유, 이경준, 2013. 마을공동체 아카이브 활성화 방안, 기록학연구 35: 161-205. 

  9. 장미경, 2001. 시민권(Citizenship) 개념의 의미 확장과 변화: 자유주의적 시민권 개념을 넘어서, 한국사회학 35(6), 59-77. 

  10. 전북대학교, 2021. 민간영역 기록관리 활성화를 위한 정책연구 용역보고서, 행안부:?국가기록원. 

  11. 전진한, 2017. 기억의 정치학을 넘어 기억의 문화사로: '기억'연구의 방법론적 진전을 위한 제언, 역사비평 119(여름), 379-452. 

  12. 정상호, 2003. 시민사회 연구의 과제: 공익적 시민운동을 넘어서, 경제와 사회 60?(겨울), 175-194. 

  13. 정상호, 2013. 시민의 탄생과 진화: 한국인들언 어떻게 시민이 되었나? 한림대출판부. 

  14. 정병기, 2013. 한국 시민운동의 흐름과 '시민성', 진보평론 55(봄), 14-31. 

  15. 정세근, 2022, 사람의 뜻(3): 국민, 시민, 민중, 인민 등의 개념과 용례, 동서철학연구 103, 381-402). 

  16. 정양수, 2022, 평택시 시민기록활동가 양성과정 모두 마쳐, 열린뉴스통신(2022.11.14.). 

  17. 정연경, 김태영, 2018. 마을공동체와 사회경제통합지원센터 운영과정의 쟁점과 과제, 도시행정학보 31(3), 127-152. 

  18. 조계원, 2020. 공화주의 관점에서 본 시민정치: 마을공동체 사업의 이론적 배경을?중심으로, 비교민주주의연구 16(2), 222-248. 

  19. 조철기, 2016. 새로운 시민성의 공간 등장: 국가 시민성에서 문화적 시민성으로, 한국지역지리학회지 22(3), 714-729). 

  20. 조청현, 2006. 혁명력 2년 메시도르 7일(1794년 6월 25일) 기록보존에 관한 법령 연구: 의회 문서보관서에서 국립문서보관소로의 진화과정에 대한 연구, 기록학연구 14, 289-322. 

  21. 최장집, 2009. 「민중에서 시민으로: 한국 민주주의를 이해하는 방법」(돌베개: 서울). 

  22. 이나미, 2014. 현대 한국의 민(民) 개념: 국민 민중 시민개념을 중심으로, 한국 동양정치사상사학회 춘계학술대회 발표자료집, 107-129. 

  23. 이지성, 2021. 근대 '국민'.'인민'.'백성'의 개념사 연구: 19세기 말: 20세기 초를 중심으로, 어문논총 39, 59-83. 

  24. 이창훈. 2015. 마을공동체 정책과 지역사회 시민생태계: 서울시 마을공동체 정책을?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2015년 하반기 학술대회, 57-65. 

  25. 이훈창. 2021. 시민사회단체 기록의 생산방식 변화와 몇 가지 제언: 인권운동 기록을 중심으로, 디지털문화아카이브지 4(1), 97-113. 

  26. 임혁백, 2006. 시민사회, 정치사회, 민주적 책임성: 민주화 이후 한국 시민사회의?정치개력 운동, 한일공동연구총서, 15, 45-92. 

  27. 임지현, 2002. 기억과 역사의 특징, 당대비평 특별호, 420쪽. 

  28. 엄범희, 2021. 익산시, 기억이 기록되는 시민활동가 육성, 익산신문 (2021. 9.10) 

  29. 여관현, 2013. 마을 만들기를 통한 공동체 성장과정 연구: 성북구 장수마을 사례를?중심으로, 도시행정학보 26(1), 53-87. 

  30. 유창복, 2015. 마을공동체 정책과 지역사회 시민생태계: 서울시 마을공동체정책을?중심으로, 전국도시행정학회 2015년 하반기 학술대회 정책세미나: 마을공동체 정책과 지역사회 시민생태계, 57-65. 

  31. 윤은하, 2022. 국내 민간기록관리의 체계 수립을 위한 정책 방향성 연구, 기록학연구 72, 5-32. 

  32. 참여연대 참여사회연구소, 2014. 시민의 탄생과 진화: 한국인들은 어떻게 시민이?되었나, 시민과 세계 24, 276-310. 

  33. 홍인철, 2019. 전주의 기억, 시민의 삶... 시민기록관 10일 개관, 연합뉴스 (2019.12.2). 

  34. Edwards, M. Civil Society 3rd Ed. Polity Press: Cambridge, 서유경 옮김, 2018. 시민사회 (제3판), 명인문화사: 서울. 

  35. Posner, Mark. 1972, Archives in the Ancient World, Havard Univ. Press; M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