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월드컵공원 사면지구 식생현황 및 변화 특성 연구
A Research on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s of the Vegetations in the World Cup Park Landfill Slope District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51 no.4, 2023년, pp.1 - 15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  박석철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  최한별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현존식생과 식물군집구조 조사를 통해 매립지 사면지역의 식생구조 특성 및 변화 경향을 밝혀 쓰레기매립지의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현존식생 변화 분석은 1999년, 2003년, 2005년, 2007년, 2008년, 2012년, 2016년, 2021년 현장조사 결과를 비교하여 주요 식생의 변화양상을 파악하였다. 식물군집구조 조사는 자연발생림 내 1999년에 설정한 고정조사구 총 6개소를 대상으로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존식생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2010년 태풍 곤파스(Kompasu)의 영향으로 사면지구의 아까시나무는 강풍으로 인해 도복되면서 분포면적과 세력 변화가 발생하였고, 특히 건조하고 불량한 식재기반 위에서 군락을 형성하던 습지성 목본인 버드나무는 세력이 감소하게 되었다. 식물군집구조 변화상을 종합해보면 아까시나무군락은 2010년 이후 목본 종수와 개체수가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 향후 아까시나무림이 유지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가죽나무-아까시나무-참오동나무군락은 종수 및 개체수가 아까시나무군락과 유사한 변화를 보였으며, 교목층의 참오동나무와 가죽나무는 도태된 상태로 아까시나무림으로 변화가 예측되었다. 능수버들군락은 아까시나무림으로 천이된 상태였으며, 일부 조사구에서만 교목층에 아까시나무와 함께 능수버들이 생육하고 있으나 대부분 능수버들이 쇠퇴된 상태이었다. 이들 식생군락은 월드컵공원 사면지구의 대표식생으로서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군락별 생태계 변화를 파악해야 하며, 생태계 복원 차원의 매립지 내 조경수식재지 조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ntended to reveal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the vegetation structure and the tendency of change of -landfill slope districts, which are reclaimed land, through an investigationsinto the presently existent vegetation and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World Cup Park landfill slo...

주제어

참고문헌 (33)

  1. Boring, L. R. and W. T. Swank(1984) Symbiotic nitrogen fixation in regeneration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stands. Forest Science 30(2): 528-537. 

  2. Brower, J. E. and J. H. Zar(1977)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General Ecology. Wm. C. Brown Company. pp. 194. 

  3. Chan, Y. S. G., L. M. Chu and M. H. Wong(1997) Influence of landfill factors on plants and soil fauna -An ecological perspective. Environmental Pollution 97(1-2): 39-44. 

  4. Chan, Y. S. G., M. H. Wong and B. A. Whitton(1998) Effects of landfill gas on growth and nitrogen fixation of two leguminous trees (Acacia confusa, Leucaena leucocephala).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107: 409-421. 

  5. Cho K. J. and J. W. Kim(2005)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obinia pseudoacacia Forests.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28(1), 15-23. 

  6. Choi I. H., K. H. Hwang and K. J. Lee(2002) Injuries of landscape trees and causes in the reclaimed seaside area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 and Ecology 16(1): 10-21. 

  7. Converse, T. E. and D. R. Betters(1995) Biomass yield equations for short rotation black locust plantations in the Central Great Plains. Biomass and Bioenergy 8(4): 251-254. 

  8. Curtis, J. T. and R. P. McIntosh(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r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Ecology 32: 476-496. 

  9. Ettala, M.(1988) Short-Rotation Tree Plantations and Hydrological Aspects in Landfill Management. Thesis for the Degree of Doctor of Technology. Helsinki University Technology, Helsinki. pp. 1-9. 

  10. Flint, H. L.(1997) Landscape Plants for Eastern North America: Exclusive of Florida and the Immediate Gulf Coast. John Wiley & Sons. 

  11. Hong, S. J. and S. D Song(1990) Symbiotic nitrogen fixation activity and environmental factors of Robinia Pseudoacacia 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3(2): 93-100. 

  12. Kang S. C., B. H. Han, J. W. Choi, J. H. Jang and H. S. Kim(2015) Study on tree growth and soil environment relations of Sudokwon landfill.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29(3): 431-440. 

  13. Kim D. G., Y. S. Kim, M. S. Kim and K. K. Oh(2001) Vertical soi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t landscape planting sites of Pinuse thunbergii parlatore in reclaimed land from the sea on Kwangyang Bay. Korean Journal Environmental Ecology 15(2): 186-192. 

  14. Kim, H. J. and J. H. Lee(1998) A study on the Salix's biotechnical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71(3): 143-151. 

  15. Kim, J. S.(2008) An Ecological Study on the Interaction between Vegetation Structure and Animal Habitats of Nanjido Waste Landfill Biotope in Seoul, Korea. Ph.D. University of Seoul. pp. 258. 

  16.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Press Release(2010) An Analysis of the Impact of Typhoon No. 7 Kompasu. 2010.9.2. 

  17. Kowarik, I. and I. Saumel(2008) Water dispersal as an additional pathway to invasions by the primarily wind-dispersed tree Ailanthus altissima. Plant Ecology 198: 241-252. 

  18. Lee, K., J. W. Cho and J. C. Jo(1993) Analysis on the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Chundong valley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6(2): 135-146. 

  19. Lee, K. J., C. H. Oh and J. S. Kim(1997) A study on the actual vegetation of Nanji-do for restoration of ecosystem after stabilization construction.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1(1): 126-132. 

  20. Lee, J. E., S. R. Moon, H. G. Ahn, S. R. Cho, J. O. Yang, C. Yoon and G. H. Kim(2009) Feeding behavior of Lycorma delicatula (Hemiptera: Fulgoridae) and response on feeding stimulants of some plants. Korean Journal of Applied Entomology 48: 467-477. 

  21. Lee, Y. K.(2004) Syntaxonomy and Synecology of the Riparian Vegetation in South Korea. Doctoral Thesis. Keimyung University. 

  22. Maurice, C.(1998) Landfill Gas Emission and Landfill Vegetation. Licentiate Thesis. Lulea University of Technology. Departmen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pp. 10. 

  23. Mitchell, S. J.(2001) Forest health: Preliminary interpretations for wind damage. In Stand Density Management Diagrams. Forest Practices Branch, BC Ministry of Forests. Victoria, BC. pp. 40. 

  24. Monk, C. D., G. I. Child and S. A. Nicholson(1969) Species diversity of a stratified Oak-Hickory community. Ecology 50(3): 468-470. 

  25. Park, I. H.(1985) A Study on Forest Structure and Biomass in Baegwoonsan Natural Ecosystem. Ph.D. Dissertation. Seoul Natinal Univ. Graduate School. pp. 42. 

  2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2003) Marking of the World Cup Park. 

  27. Shannon, C. E. and W. Wiener(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rbana, IL: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8. Wei, S. Y. and C. H. Oh(2021) A study on successional direction of Robinia pseudoacacia for the vegetation restoration in waste landfill of Noeul Park.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4(3): 19-31.2. 

  29. Wong, M. H. and C. T. Yu(1989) Monitoring of gin drinkers; Bay landfill, Hong Kong II. Gas contents, soil properties and vegetation performance on the side slope. Environmental Management 13(6): 753-762. 

  30. Youn, H. J., K. H. Park, M. B. Lee, M. S. Won and K. H. Kim(201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damaged trees and the wind caused by Typhoon 'Kompasu'.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100(2): 246-255. 

  31. Yun, C. W. S. H. Oh, J. H. Lee, S. H. Ju and S. H. Hong(1999) Prediction of succession and silvicultural control in the black locust (Robinia pseudoacacia L.) plantatio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88(2): 229-239. 

  32. Yun, C. W., S. H. Oh, Y. G. Lee, C. H. Hong and J. H. Kim(2001) The study on the invasion of Robinia pseudoacacia into adjacent forest stand according to forest types, stand structures and vegetation uni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90(3): 227-235. 

  33. Introduction to Friends of Noeul Park (IFNP)(2020) https://cafe.daum.net/nanjinoeul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