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하류 도심지 침수저감 분석을 통한 공동주택 단지의 우수저류조 계획
Analysis of Flood Reduction in Downstream Urban Areas for the Storage in Apartment Complex 원문보기

한국재난정보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19 no.3, 2023년, pp.698 - 709  

최재도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임형철 (Depart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목적: 본 논문에서는 기후변화로 기존 도심지 침수 발생이 증가하는 현 상황에서 공동주택 단지에 소규모 우수저류시설을 계획하였을 때 기존 하류부 도심지 침수량 증가율과 기존 도심지 침수량 저감 정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미국환경보호청 SWMM 모델을 활용해서 대규모 하수도 모델을 구축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하류부 기존 도심지 침수영향을 분석하였다. 구축한 모델은 개발지구, 하류부 기존 도심지, 우수를 방류하는 하천유역 전체를 포함하였다. 연구결과: 대규모 개발행위 시 연구 대상지역에서 공동주택 블록별로 최소 우수저류조 용량을 산정하여 시뮬레이션한 결과, 하류부 기존 도심지에서 방재성능목표강우량 1시간 기준 4,893㎥, 2시간 기준 25,815㎥, 3시간 기준 55,528㎥의 침수량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와 같이 하류부 기존 도심지까지 고려한 대규모 침수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을 때 하류부 도심지 침수가 크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고, 개발전 공동주택 단지 블록별로 필요한 우수저류조 용량을 계획하고 개발시 비용 지원 등으로 우수저류조 건설을 권장한다면 하류부 기존 도심지 홍수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In this paper, we would like to analyze the growth rate of existing urban immersion in the downstream during large-scale urban development and the degree of reduction in existing urban immersion in the downstream when small excellent storage facilities are planned in apartment complexes. Me...

주제어

표/그림 (1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온천천, 동천 유역의 경우를 교훈으로 새로 대규모의 도시개발을 하는 경우 공동주택 단지마다 소규모 우수저류시설을 건설하였을 시를 가정하여 침수저감량을 비교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기존 도심지 상류 유역에 대규모 개발행위 시 하류의 기존 도심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침수량 증가에 대해 분석하기 위해, 경상남도 양산시 洞지역과, 현재 도시개발 중인 양산시 동면 사송지구의 하수도 모델을 GIS와 SWMM으로 구축하여 침수분석 시뮬레이션을 진행하였다. 최근 이상기후로 기존과 달리 많은 강우가 짧은 시간에 자주 발생하는 경향이 늘어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개발행위 시 하류에 위치한 기존 도심지의 침수 발생 증가에 대해 분석하고, 개발행위 시 공동주택 단지 블록별로 최소 저류용량을 산정하여 분석 모델에 적용하였을 때 하류 기존심지에서 어느정도 침수저감 효과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 이것은 변화하는 강우 양상에 따라 기존 건축 시 홍수 방어 기준을 강화해야하는 것을 의미하며, 침수를 원천 방지하기 위해 지하 대심도 터널, 우수저류시설에 대해 활발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는 이유이다. 특히 공동 주택 단지를 건축 시 소규모 우수저류시설을 최소한의 규모라도 건설하게 된다면, 향후 도심지 침수방지에 큰 기여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본 연구에서는 신도시 개발지구에서 공동주택 건축 시 소규모 우수저류시설들을 건설함에 따른 침수방지 효과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1) 개발지구 공동주택 단지중 15개 블록에 우수저류조 설치를 가정하고 양산시 방재성능목표강우량을 사용해 침수 시뮬레이션을 진행함.
  • 본 연구에서는 대규모 개발행위 시 각블록별로 우수저류조를 계획하는 것을 가정하여, 개발지구 하류의 기존 도심지 침수량 저감 정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인 양산시 사송지구에서 블록별 저류 용량 및 면적을 산정하기 위해서 『우수유출 저감시설의 종류․구조․설치 및 유지관리 기준(201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e, Y.W. (2023). Development and Assessment of Flood Prediction Map for Mid-Low Area Flood Prediction,?Ph.D. 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2. Hunter, N.M., Bates, P.D., Neelz, S., Pender, G. (2008). "Benchmarking 2D hydraulic models for urban flooding."?Proceedings of the Institution of Civil Engineers-Water Management, Vol. 161, No. 1, pp. 13-30. 

  3. Jeon, H.S. (2022). Development of Integrated Modeling Techniques for Flooding Simulation in Estuary Areas. Ph.D.?Dissert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4. Mark, O., Weesakul, S., Apirumanekul, C., Aroonnet, S.B., Djordjevic, S. (2004). "Potential and limitations of 1D?modelling of urban flooding." Journal of Hydrology, Vol. 299, No. 3-4, pp. 284-299. 

  5. Miller, J.D., Hutchins, M. (2017). "The impacts of urbanisation and climate change on urban flooding and urban?water quality: A review of the evidence concerning the United Kingdom." Journal of Hydrology, Vol. 12, pp. 345-362. 

  6. Ryu, S.R. (2022). "A Study on the flooding risk assessment of energy storage facilities according to climate change."?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5, No. 3, pp. 10-18. 

  7. Schreider, S.Y., Smith, D.I., Jakeman, A.J. (2000). "Climate change impacts on urban flooding." Climatic Change,?Vol. 47, No. 1, pp. 91-115. 

  8. Song, J.I., Lee, B.J., Yoo, J.H. (2015). "FFC2Q and XP-SWMM comparative study to analyze runoff reduction by?urban design techniqu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1, No. 1, pp. 107-119. 

  9. Yu, S.Y., Lee, S.J., Kim, S.W., Choi, E.K., Lee, K.H., Choi, B.H. (2015). "Development of a flood loss estimation?tool within GIS software."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1, No. 11, pp. 436-44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