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이용자의 접근 패턴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 생성 연구
A Study on Generating Public Library Service Areas Considering User Access Patterns 원문보기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34 no.3, 2023년, pp.89 - 107  

강우진 (경북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  이종욱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공공도서관은 지역사회 이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파악하여 이를 충족시키는 서비스를 기획하고 제공하여야 한다. 도서관 이용자에 대한 이해를 위해서는 도서관 서비스 영역에 대한 파악이 우선될 필요가 있다. 현행의 공공도서관 서비스 영역은 주로 도서관이 위치한 행정구역으로 설정되고 있어, 도서관에 대한 이용자의 실제 접근 패턴을 고려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이 속한 지역의 교통적 및 지리적 특성과 이용자의 도서관 접근 패턴을 반영한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7개 특별·광역시의 502개 도서관의 도로 네트워크 데이터를 활용하여 경사도가 반영된 이동 거리와 시간을 파악하였으며, 최단 경로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도보 또는 차량으로 30분 이내 범위의 서비스 영역을 생성하였다. 그 결과 지형적 요소에 따라 도서관별 서비스 영역 양상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직선거리 기반의 서비스 영역과 비교하여 도서관 접근에 대한 현실적 여건을 더욱 잘 반영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서비스 영역 생성 방법은 도서관의 이용자의 수, 특성, 요구를 보다 정확하게 이해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libraries should plan and provide services that satisfy various needs of the local community users. In order to understand library users, it is essential first to grasp the service areas of libraries. The current service areas of public libraries are primarily set based on administrative boun...

주제어

표/그림 (16)

참고문헌 (28)

  1. Enforcement Decree of the Library Act. Presidential Decree No. 33023. 

  2. Kim, Hyun-Joong, Lee, Jong Gill, & Yeo, Kwan Hyun (2015). Regional disparities and determinants?of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Seoul Studies, 16(4), 109-127.?https://doi.org/10.23129/seouls.16.4.201512.109 

  3. Koo, Bon Jin & Chang, Durk Hyun (2021). Spatial regressio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the?spatial accessibility of the public libraries in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55(4), 67-87.?http://dx.doi.org/10.4275/KSLIS.2021.55.4.067 

  4. Korea Culture Information Service Agency [n.d.]. BigData MarketC. Available:?https://www.bigdata-culture.kr/ 

  5. Lee, Seungmin & Park, Jong Do (2019). The role of public libraries as a Mediator between social?capital and sharing econom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Science, 53(3), 121-141. http://dx.doi.org/10.4275/KSLIS.2019.53.3.121 

  6. Lee, So Hee, Goo, Sin Hoi, Chun, Yong Woo, & Park, Yong Jin (2015). The spatial location?analysis of disaster evacuation shelter for considering resistance of road slope and?difference of walking speed by age: case study of Seoul, Korea. Journal of Korean?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23(2), 69-77.?https://doi.org/10.7319/kogsis.2015.23.2.069 

  7. Lim, Hokyun (2013). Study of public library service areas: focusing on the case of central?library. Design Convergence Study, 12(5), 51-64. 

  8.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12-1371748-000066-12). 

  9.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22). 2021 A National Reading Survey. 

  10.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d.]. Data For Library. Available:?https://www.data4library.kr/ 

  11.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n.d.]. National Library Statistics System. Available:?https://www.libsta.go.kr/ 

  12.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19). Revised national minimum standards?of basic living infrastructure (in Korean). 

  13. Office for Government Policy Coordination (2019). Living SOC Tree-year Plan: 2020~2022. 

  14. Oh, Min-Ki, Kim, Kyung-Rae, Jeong, Won-Oong, & Kim, Keun-Wook (2021). Analysis of?borrows demand for books in public libraries considering cultural characteristics. Journal?of Digital Convergence, 19(3), 55-64. https://doi.org/10.14400/JDC.2021.19.3.055 

  15. Park, Jin Kyu & Kim, In (2016). An analysis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public libraries?in metropolitan area and related implications: the case of Busan. The Korean Journal?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3), 191-221. https://doi.org/10.20484/klog.20.3.10 

  16.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2022). 2040 Seoul Plan. 

  17. Song, Kyeong-Jin (2020). A study on measurement and application of the public library service?populat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31(1), 193-212. https://doi.org/10.14699/kbiblia.2020.31.1.193 

  18. Boeing, G. (2017). OSMnx: New methods for acquiring, constructing, analyzing, and visualizing?complex street networks.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65, 126-139.?https://doi.org/10.1016/j.compenvurbsys.2017.05.004 

  19. Cheng, W., Wu, J., Moen, W., & Hong, L. (2021). Assessing the spatial accessibility and spatial?equity of public libraries' physical location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43(2). https://doi.org/10.1016/j.lisr.2021.101089 

  20. Dijkstra, E. W. (1959). A note on two problems in connexion with graphs. Numerische Mathematik,?1(1), 269-271. https://doi.org/10.1007/BF01386390 

  21. Donnelly, F. P. (2014). The geographic distribution of United States public libraries: An analysis?of locations and service areas.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46(2),?110-129. https://doi.org/10.1177/0961000612470276 

  22. Guo, Y., Chan, C. H., & Yip, P. S. F. (2017). Spatial variation in accessibility of libraries in?Hong Kong.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9(4), 319-329.?https://doi.org/10.1016/j.lisr.2017.11.007 

  23. Jue, D. K. K., Christie M. M., J. Andrew, L., Keith C., & Seidl, A. M. (1999). Using public?libraries to provide technology access for individuals in poverty: a nationwide analysis?of library market areas using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Library & Information?Science Research, 21(3), 299-325. https://doi.org/10.1016/S0740-8188(99)00015-8 

  24. Kim, Jiyoung & Lee, Jiwon (2021). An analysis of spatial accessibility changes according to?the attractiveness index of public libraries using social media data. Sustainability, 13(16). https://doi.org/10.3390/su13169087 

  25. Oh, Kyushik & Jeong, Seunghyun (2007), Assessing the spatial distribution of urban parks?using GI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2(1), 25-32.?https://doi.org/10.1016/j.landurbplan.2007.01.014 

  26. OpenStreetMap Foundation [n.d.]. OpenStreetMap. Available: https://www.openstreetmap.org/ 

  27. Park, Sung Jae (2012). Measuring public library accessibility: A case study using GIS. Library?&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34(1), 13-21. https://doi.org/10.1016/j.lisr.2011.07.007 

  28. Satoh, E., Yoshikawa, T., & Yamada, A. (2006). Investigation of converted walking distance?considering resistance of topographical features and changes in physical strength by age,?Journal of Architecture Planning, 71(610), 133-139.?https://doi.org/10.3130/aija.71.133_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