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숲가꾸기사업 유형별 산림작업부하지수 추정을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on the Estimation of Forest Work Load Index in the Type of Forest Tending Operation 원문보기

한국산림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v.112 no.3, 2023년, pp.303 - 321  

박성민 (산림기술연구원) ,  권형근 (한국농수산대학교 산림학과) ,  최성민 (산림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산림작업자의 작업강도를 비교하기 위한 산림작업부하지수(Forest Work Load Index, FWLI) 개발을 위해 숲가꾸기사업을 대상으로 산림작업부하지수 추정 연구를 실시하였다. FWLI는 근골격계 부담 분석방법 중 하나인 OWAS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와 작업강도 분석방법 중 하나인 WLI (Work Load Index)를 이용하여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였다. OWAS는 작업자의 근골격계 부담 분석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론이며, WLI는 작업자의 작업강도 분석에 사용되는 주요 방법이다. OWAS 기법을 통해 산출되는 사업종별 PRI값은 185.3(큰나무가꾸기), 150.6(가지치기), 181.1(산불예방숲가꾸기), 197.0(어린나무가꾸기)으로 분석되었으며, 측정된 심박수를 이용하여 산출되는 WLI값은 사업종별로 59.5%(큰나무가꾸기), 53.5%(가지치기), 56.2%(산불예방숲가꾸기), 62.3%(어린나무가꾸기)로 분석되었다. FWLI는 분석된 PRI와 WLI의 값을 이용하여 계산하였으며, 숲가꾸기 사업이 수행된 사업종별 FWLI값은 110.2(큰나무가 꾸기), 80.7(가지치기), 102.1(산불예방숲가꾸기), 123.0(어린나무가꾸기)으로 분석되었다. FWLI를 활용할 경우 세부공종부터 사업의 종류까지 다양하게 산림작업자의 작업부하를 정량적으로 비교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연구목적에 따라 FWLI 분석의 범위(특정 작업, 작업자들의 역할, 특정 공정, 사업의 종류 등)를 정하여 작업자들에게 가해지는 부하를 측정해 작업자세의 개선 우선순위, 공종별 작업부하 비교, 사업종간 작업부하 비교를 통해 노임의 계상 및 품셈 등에 활용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develop the Forest Work Load Index (FWLI) for estimating the work intensity of forest workers, a study focused on forest tending was conducted. To estimate the FWLI, we used the Ovako Working Posture Analysis System (OWAS) and the Work Load Index (WLI). The OWAS is a prominent method used for ana...

주제어

표/그림 (2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사업의 대표 사업종이라 할 수 있는 숲가꾸기 사업의 세부 유형인 큰나무가꾸기, 어린나무가꾸기, 산불예방숲가꾸기, 가지치기를 대상으로 산림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작업부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림작업부하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산림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작업부하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산림작업자 중심의 작업방식 개선의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사업의 대표 사업종이라 할 수 있는 숲가꾸기 사업의 세부 유형인 큰나무가꾸기, 어린나무가꾸기, 산불예방숲가꾸기, 가지치기를 대상으로 산림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작업부하를 추정하는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산림작업부하를 추정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방법론을 이용하여 산림작업자에게 가해지는 작업부하를 정량적으로 추정하고 비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산림작업자 중심의 작업방식 개선의 우선순위 선정에 활용하는 것에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8)

  1. Anderson, C., 2012. Makers: The New Industrial Revolution.?Random House. New York.? 

  2. Calvo, A. 2009. Musculoskeletal disorders (MSD) risks in?forestry: A case study to propose an analysis method.?Agricultural Engineering International 11: 1-9.? 

  3. Cheta, M., Marcu, M.V., and Borz, S.A. 2018. Workload,?exposure to noise, and risk of musculoskeletal disorders:?a case study of motor-manual tree feeling and processing?in Poplar clear cuts. Forests 9(6): 300.? 

  4. Eom, R.I. 2019. Development of work clothes and?three-dimensional shoulder protection considering working?posture of construction workers. Daejeon. Chungnam?National University.? 

  5. Grzywinski, W., Wandycz, A., Tomczak, A. and Jelonek, T.?2016. The prevalence of self-reported musculoskeletal?symptoms among loggers in Poland. International Journal?of Industrial Ergonomics 52: 12-17.? 

  6. Hignett, S. and McAtamney, L. 2000. Rapid Entire Body?Assessment (REBA) - Applied Ergonomics 31(2): 201-205.? 

  7. Im, S.J., Choi, S.Y. and Park, D.H. 2011. The usability analysis?for ergonomic evaluation metholds of work-related?musculoskeleltal disorders. Journal of Korea Safety?Management & Science 13(2): 83-90.? 

  8. Jack, R.J. and Oliver, M. 2008. A review of factors influencing?whole-body vibration injuries in forestry mobile machine?operators. International Journal of Forest Engineering?19(1): 51-65.? 

  9. Justavino, F.C., Ramirez, R.J., Perez, N.M. and Borz, S.A.?2015. The use of OWAS in forest operations postural?assessment: advantages and limitations. Bulletin of the?Transilvania University of Brasov. Forestry, Wood?Industry, Agricultural Food Engineering. Series II 8(2):?7-16.? 

  10. Kang, K.U. 2001. The stable securement of the professional?forest workers and welfare measures. Proceeding of?seminar for Forestry Labor Policy Development. pp. 15-19.? 

  11. Karhu, O., Kansi, P. and Kuorinka, I. (1977). Correcting?working postures in industry: A practical method for?analysis. Applied Ergonomics 8(4): 199-201.? 

  12. Kim, M.S. 2014.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direction of the safety management and compensation?system for occupational accidents of overseas construction?workers, Seoul.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Labor Studies.? 

  13. Klun, J. and Medved, M. 2007. Fatal accidents in forestry?in some European countries. Croatian Journal of Forest?Engineering 28(1): 55-62.? 

  14. Korea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KOSIS). 2020. https://www.kosis.kr (2020. 3. 30)? 

  15. Lee, E.J., Baek, S.A. and Cho, K.H. 2020. Postural risk?assessment of weed and kudzu removal operations. Jounal?of Korean Society of Forest Sicence 109(2): 195-201.? 

  16. Lee, I.S., Jeong, M.K. and Choi, K.I. 2003. Comparison of?observational posture evaluation methods based on?perceived discomfort. Journal of the Ergonomics Society?of Korea 22(1): 43-56.? 

  17. Lee, J.W. and Park, B-J. 2001. Analysis of working posture?using OWAS in forest work. Journal of Korean Forest?Society 90(3): 388-397.? 

  18. Lee, K.Y. 2020. For construction worker safety awareness?efficiency diversification of basic safety and health?education. Seoul. Hanyang University.? 

  19. McAtamney, L. and Corlett, E.N. 1993. RULA: A survey?method for the investigation of work-related upper limb?disorders. Applied Ergonomics 24(2): 91-99.? 

  20. Mun, H.S., Cho, K.H., Kim, C.S., Song, T.Y. and Kim, H.S.?2014. Heart rate strain of forest-workers in weeding.?Journal of Korea Society For Engineering. 12(2): 95-103.? 

  21.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ogging?Safety (NIOSH). 2018. http://www.cdc.gov (2018. 6. 6.).? 

  22. National Institute for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Logging?Safety (NIOSH). 2020. http://www.cdc.gov (2020. 1. 7).? 

  23. OH, Y.S. 2008. A study on Improvement and Investigation?of MSD for Construction Workers. Seoul. Seoul National?University of Technology? 

  24. Park, B.J. 1996. A study on work load of tree felling work?using maximal oxygen uptake and heart rate. Daejeon.?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5. Park S.K. and Kang G.U. 1996. Studies on Working Intensity?in Felling Operation of the Thinning Forest - In Thinning?of Some Conifer Species.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85(3): 396-408? 

  26. Ponte'n, B. 1988. Health risks in forest work-a program for?action. Garpenberg, Sweden. Lantbruks Universitet.? 

  27. Spinelli, R., Aminti, G., Maganotti, N. and De Francesco, F.?2018. Postural risk assessment of small-scale debarkers?for wood post production. Forests 9(3): 111.? 

  28. Yongang, W. and Baojun, J. 1998. Effects of low temperature?on operation efficiency of tree-felling by chainsaws in?north China. Journal of Forestry Research 9: 57-58.?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