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립질 지반에서의 수평배수재 종류에 따른 배수성능 비교
Comparisons of Drainage Performance on Coarse Grained Soils with Regard to Horizontal Drainage Type 원문보기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24 no.11, 2023년, pp.25 - 31  

방태완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조완제 (Department of Civil & Environmental Engineering, Dankook University) ,  설승환 (Department of Urban Disaster Management Engineering, Kyonggi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대표적인 비탈면 배수공법인 수평배수공은 비탈면 내 간극수압을 감소시키기 위해 국내외에서 다수 활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연구들이 선행되어 왔으나, 수평배수공의 수량을 산정하기 위한 명확한 설계기준이 없어 획일적으로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수평배수공의 배수성능과 영향인자에 대한 메커니즘을 규명하고자 현장토를 이용하여 모형토조실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배수재 형상이나 크기에 따른 배수성능을 비교하고자 입도분포가 다른 시료에서의 유출량 결과를 비교 및 검토하였다. 정상류 상태에서 배수실험을 확인하기 위해 유출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최소 3분에서 최대 15분 뒤 일정한 속도로 배수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립질 지반에서 단일 시간당 유출되는 양(단위 유출량)으로 비교한 경우, 배수재 형상과 크기에 따른 배수효과가 상이하여 배수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향후 세립질 지반에서의 배수 성능실험과 수량을 결정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충분히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orizontal drainage, which are representative dewatering method of domestic and foreign slope, are applied to reducing pore water pressure. Accordingly, several prev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but horizontal drainage are standardized which is an unclean standard for a quantity calculation in f...

주제어

표/그림 (15)

참고문헌 (14)

  1. ASTM (2020), Standard Practice for Classification of Soils for?Engineering Purposes (Unified Soil Classification System), D18.07.?ASTM International, West Conshohocken, PA, DOI:10.1520/D24787-17. 

  2. Cornforth, D. (2005), Landslides in Practice, Wiley, pp. 316~322. 

  3. Han, S. S., Baek, Y., Kwon, O. I., Lee, K. I., Chae, Y. S. and?Kim, Y. N. (2007), A model test of upward soil nailing technique?combined with horizontal drainage system by limit equilibrium?analysis,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2007, pp.?125~130 (In Korean). 

  4. Han, J, G., Shin, J. O., Hong, K. K., Jung, S. K., Lee, Y. K.?and Kim, B. S. (2009), A case study on application of dewatering?method for slope stability, Korean Geosynthetics Society, Vol.?8, No. 1, pp. 61~66 (In Korean). 

  5. His Majesty's Government of Nepal Ministry of Physical Planning?and Works Department of Roads (2003), Guide to road slope?protection works, pp. 1~14. 

  6. Jap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 (2009), The Study on?Disaster Risk Management for Narayangharh-Mugling Highway?Technical Guide, pp. 1~12. 

  7. Korea Expressway Corporation research Institute (2011), 깎기?비탈면 수평배수공 설계 및 시공지침 (In Korean). 

  8. Lee, S. H., Chun, S. R. and Jeong, S. J. (2007), A study on?problem and improvement of drainage material for current slope?horizontality drainage existenc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Vol. 2007, pp. 341~345 (In Korean). 

  9. Ministry Of Public Works and Transport (2008), Slope Maintenance?Manual, pp. 36~40. 

  10. Nicholson P. (2014), Soil Improvement and Ground Modification?Methods, Elsevier Science, pp. 172~180. 

  11. Noh, H. J., Lee, S. H., Hwang, Y. C. and Chun, S. R. (2006), A?study on variation of slope stability ratio by slope horizontality?drainage existence,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2006, pp. 395~400 (In Korean). 

  12. Seo, W. M. (2012), Engineering Analysis of Penetration and?Ground Condition according to Horizontal Drainage System?Construction, Master of Science in Civil Engineering, Hanyang?University, pp. 1~62 (In Korean). 

  13. Transport for NSW (2022), Horizontal drains, pp. 1~8. 

  14. You, B. O., Shim, J. W., Han, W. J. and Park, H. G. (2010),?The actual construction conditions of horizontal drainage hole?in cut slopes, Korean Geo-Environmental Society, Vol. 2010,?No. 5, pp. 288~302 (In Korean).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