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항공 LiDAR 기반 Local Maxima를 이용한 산림지역 수목정보 추출 자동화
Automatic Extraction of Tree Information in Forest Areas Using Local Maxima Based on Aerial LiDAR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9 no.5/1, 2023년, pp.1155 - 1164  

최인하 ((주)올포랜드 사업본부 7그룹) ,  남상관 ((주)올포랜드 사업본부) ,  김승엽 ((주)올포랜드 사업본부 7그룹) ,  이동국 ((주)올포랜드 사업본부 7그룹)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재 국가산림자원조사(National Forest Inventory, NFI)는 인력에 의한 수목정보를 수집하고 있어 조사 범위와 시간의 한계가 따른다. 항공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및 항공 사진 등을 이용하여 넓은 지역의 수목 정보를 추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수목의 간격이 넓은 지역이거나 수목의 간격이 일정하게 배치된 지역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우리나라 산림지역 특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항공 LiDAR를 이용하여 수치표면모델(Digital Surface Model, DSM), 수치표고모델(Digital Elevation Model, DEM), 수목높이모델(Canopy Height Model, CHM) 영상을 생성한 후 local maxima 기법을 통해 수고를 추출하고 산정식을 통해 흉고직경(Diameter at Breast Height, DBH)을 산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법론을 통해 추출한 수목의 검출 정확도는 매목지구별 각 88.46%, 86.14%, 84.31%로 나타났으며, 수고 값을 기반으로 산정한 DBH의 평균제곱근오차(Root Mean Squared Error, RMSE)가 5 cm 내외로 나타나 제안한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향후 다양한 유형의 산림에 대한 표준화 연구를 진행한다면 수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국가산림자원조사의 자동화 적용 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NFI) collects tree information by human, so the range and time of the survey are limited. Research is actively being conducted to extract tree information from a large area using aerial 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 and aerial photographs, but it does ...

주제어

표/그림 (1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매목 조사를 통해 수집된 수목의 위치는 수고의 위치가 아니므로 제안한 방법론으로 추출한 수고의 위치와는 위치적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매목 조사를 통해 수집된 수목의 개체 수와 제안한 방법론을 통해 검출한 수목의 개체 수를 비교하여 수목 검출 정확도 검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제안한 방법론으로 수목의 개체를 검출한 결과는 Table 7과 같으며 매목지구별 수목 개체 검출률은 각 88.
  • 하지만 대다수 연구는 수목의 간격이 넓은 지역이거나 수목의 간격이 일정하게 배치된 지역을 대상으로 수목 정보 추출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우리나라 산림과 같이 수목의 밀집도가 높은 지역을 대상으로 수행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산림지역을 대상으로 취득된 항공 LiDAR 데이터와 CHM을 기반으로 local maxima 기법을 적용하여 수목 개체별 수목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하는 방법론을 제안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Bang, D. S., Lee, D. G., Yang, S. R., and Lee, H. J., 2018. Study on the tree height using unmanned?aerial photogrammetry method. Journal of the?Korea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Studies, 21(3), 35-47. https://doi.org/10.11108/kagis.2018.21.3.035 

  2. Jo, S. H., Sim, K. W., Lee, H. J., and Choi, S. K., 2023.?A study on the generation of forest management?database by individual trees for forest Digital?Twin implementation based on Airborne Laser?Scanning. In Proceedings of 2023 Korean Society?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Spring?Conference, Daejeon, Republic of Korea, June?2-3, pp. 129-132. 

  3. Kang, J. K., Yim, J. S., Lee, S. J., Moon, G. H., and?Ko, C. U., 2019. Development of estimation?equation for minimum and maximum DBH using?national forest inventory. Journal of Agriculture?& Life Science, 53(6), 23-33. https://doi.org/10.14397/jals.2019.53.6.23 

  4. Kim, D. Y., Jang, Y. W., Choi, Y. W., Beai, D. S., and?Choi, G. S., 2009. A study information extraction?using airborne LiDAR data. In Proceeding of?the 2009 Korean Society of Civil Engineers?Seasonal Conference, Gangwon, Republic of?Korea, pp. 1575-1578. 

  5. Korea Forest Service, 2016. Analysis of national forest?inventory and monitoring research service. Korea?Forest Service. 

  6.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2021. Study?on the use of lidar-based vegetation structure?measurements to estimate carbon storage in?national parks. Korea National Park Research?Institute 

  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21. Study on the use of?lidar-based vegetation structure measurements to?estimate carbon storage in national parks. Korea?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Park Service. 

  8. Lee, D. G., Kim, K. D., Yang, S. R., and Lee, H. J., 2017. Study on the possibility of forest geospatial?information generation using past panchromatic?forest aerial photograph scanning database. Journal?of the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Science, 25(4), 107-116. https://doi.org/10.7319/kogsis.2017.25.4.107 

  9. Lee, H. J., Min, K. J., Lee, S. Y., Moon, J. M., Lee, K.?W., Lee, J. E., and Lee, J. W., 2021. A study on?arrhythmia classification based on local maximum?scalogram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The Transac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Electrical Engineers, 70(5), 791-804. https://doi.org/10.5370/KIEE.2021.70.5.791 

  10. Lee, S. J., Park, J. Y., and Kim, E. M., 2014. Development?of automated model of tree extraction using aerial?LIDAR data.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5), 3213-3219.?https://doi.org/10.5762/KAIS.2014.15.5.3213 

  11. Liao, L., Cao, L., Xie, Y., Luo, J., and Wang, G., 2022.?Phenotypic traits extraction and genetic characteristics?assessment of eucalyptus trials based on UAV-borne LiDAR and RGB images. Remote Sensing,?14(3), 765. https://doi.org/10.3390/rs14030765 

  12. Meng, X., Currit, N., and Zhao, K. 2010. Ground filtering?algorithms for airborne LIDAR: A review of?critical issues. Remote Sensing, 2(3), 833-860.?https://doi.org/10.3390/rs2030833 

  13. Scholkmann, F., Boss, J., and Wolf, M., 2012. An?efficient algorithm for automatic peak detection?in noisy periodic and quasi-periodic signals.?Algorithms, 5(4), 588-603. https://doi.org/10.3390/a5040588 

  14. Yang, J., Kang, Z., Cheng, S., Yang, Z., and Akwensi,?P. H., 2020. An individual tree segmentation?method based on watershed algorithm and three-dimensional spatial distribution analysis from?airborne LiDAR point clouds. IEEE Journal of?Selected Topics in Applied Earth Observations?and Remote Sensing, 13, 1055-1067. https://doi.org/10.1109/jstars.2020.297936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