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주도에서 분리된 비브리오패혈증균의 독소 유전자 분포 및 항생제 내성
Prevalence of Toxin Genes and Antibiotic Resistance Profiles of Vibrio vulnificus strains isolated from Jeju Island 원문보기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v.38 no.5, 2023년, pp.381 - 389  

강은옥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조만재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허예슬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  고은아 (제주특별자치도 보건환경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브리오패혈증균은 세계에서 치사율이 50%에 달하는 가장 치명적인 수인성식품매개 병원균으로 해수에서 흔히 있으며, 특히 따뜻한 계절에 발생한다. 본 연구는 제주도의 해수, 유통 수산물, 수족관물에서 분리한 비브리오패혈증균에 대해서 RT-PCR을 이용한 독소 유전자, Vitek을 이용한 항생제 내성, PFGE를 이용한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487개의 시료를 조사한 결과 비브리오패혈증균 46주(중복 균주 포함)가 해수에서 44주, 유통수산물에서 1주, 수족관물에서 1주 분리되었다. rtxA, viu와 같은 독소 유전자는 각각 8주(17.4%), 9주(19.6%) 검출되었고, vvhA와 같은 독소 유전자는 모든 균주에서 검출되었다. 항생제 내성 실험결과 cefoxitin 항상제에 대해서 100% 내성이 나타났다. 비브리오패혈증균 46주에 대한 PFGE 분석 결과 총 6유형이 100% 상동성을 보였고, 유사도는 81.3-98.0%로 나타났다. 수산물과 수족관물에서 분리된 비브리오패혈증균은 해수와의 상동성 결과 유사도는 불일치로 나타났고 지역과 시료 사이에는 유사성이 없었다. 독소 유전자를 가진 비브리오패혈증균에 의한 식중독 환자가 제주도에서 발생한 점을 고려해볼 때, 해수, 유통 수산물, 수족관물에서 분리한 비브리오패혈증균에 대한 모니터링이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Vibrio vulnificus, the most fatal waterborne and foodborne pathogens of 50% fatality rate in the world, is common in seawater and occurs particularly in warmer month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toxin genes using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tibiotic resistance...

주제어

참고문헌 (27)

  1. Baker-Austin, C., Oliver, J.D., Vibrio vulnificus: new insights into a deadly opportunistic pathogen. Environ. Microbiol., 20, 423-430 (2018).? 

  2. Lee, H.A., Ko, Y.E., Choi, J.H., Lee, D.Y., Yeo, S.S., Park, J.J., Lee, M.Y., Choi, J.H., Park, J.H., Distribution and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in coastal areas of Chungcheongnam-do province. J. Environ. Health. Sci., 47, 479-485 (2021).? 

  3. Yoon, Y.H., Park, S., Kim, J.Y., Lee, Y.J., Jeon, D.Y., Choi, G.C., Park, J.S., Kim, J.B., Prevalence of toxin genes and profiles of antibitoc resistance in Vibrio vulnificus isolates from fish, fish Tanks, and patients. J. Food Hyg. Saf., 35, 6-12 (2020).? 

  4. Yang, S.J., Kim, H.S., Kwon, J.Y., Chang, S.H., Kim, Y.M.,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in estuary of Kum River. J. Food Hyg. Saf., 10, 53-59 (1995).? 

  5. Oh, H.K., Jeong, H.J., Kim, Y.M., Distribution and molecular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seawater along the Gadeok Island coast. Korean J. Fish. Aquat. Sci., 53, 688-693 (2020).? 

  6. Oh, B.Y., Kim, J.H., Gong, Y.W., Jegal, S., Kim, H.Y., Lee, M.Y., Hwang, K.W., Koh, Y.J., Lee, J.M., Go, J.M., Kim, Y.H., Characteristics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in Incheon. Korean J. Microbiol., 43, 256-263 (2007).? 

  7. Kim, H.S., Heo, S.T., Bae, I.G., Lim, M.H., Kim, J.H., Yun, S.E., Kim, S.J., A case of acute bacterial meningitis caused by Vibrio vulnificus. Korean J. Med., 78, 523-526 (2010).? 

  8. Goo, J.S., Kim, D.W., Han, K.S., Suk, J.S., Park, M.H., Kim, S.I., Lactose fermenting vibrio (Vibrio vulnificus) septicemia: report of five cases. Korean J. Pathol., 16, 463-468 (1982).? 

  9.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2023, June 24). Infectious disease. Retrieved from https://npt.kdca.go.kr/npt/biz/npp/ist/bass/bassDissStatsMain.do? 

  10. Yang, S.J., Shin, J.H., Cho, D., Kee, S.J., Shin, M.G., Suh, S.P., Yang, D,W., Identification of Vibrio vulnificus by the Microscan and the Vitek II systems. Korean J. Lab. Med., 25, 33-38 (2005).? 

  11. Lee, C.Y., Current insights into sepsis treatments. Acute Crit. Care, 25, 207-211 (2010).? 

  12. Cabello, F.C., Godfrey, H.P., Tomova, A., Ivanova, L., Dolz, H., Millanao, A., Buschmann, A.H., Antimicrobial use in aquaculture re-examined: its relevance to antimicrobial resistance and to animal and human health. Environ. Microbiol., 15, 1917-1942 (2013).? 

  13. Song, J.W., Jeong I.H., Park, S.H., Yun, S.J., Hur, E.S., Kim, Y.S., Characterization of Vibrio vulnificus isolated from the west coastal area of Gyeonggi-do. Korean J. Microbiol., 57, 197-203 (2021).? 

  14. Li, G., Wang, M.Y., The role of Vibrio vulnificus virulence factors and regulators in its infection-induced sepsis. Folia Microbiol., 65, 265-274 (2020).? 

  15. Lo, H.R., Lin, J.H., Chen, Y.H., Chen, C.L., Shao, C.P., Lai, Y.C., Hor, L.I., RTX toxin enhances the survival of Vibrio vulnificus during infection by protecting the organism from phagocytosis. J. Infect. Dis., 203, 1866-1874 (2011).? 

  16. Lopez-Canovas, L., Benitez, M.B.M., Isidron, J.A.H., Soto, E.F., Pulsed field gel electrophoresis: past, present, and future. Anal. Biochem., 573, 17-29 (2019).? 

  17. Jo, M.H., Kim, S.G., Kim, Y.H., Kim, S.T., Eom, H.J., Jang, Y.S., Ko, Y.H., Genotyping of Brucella abortus isolated in Gyeongbuk province by PFGE. Korean J. Vet. Serv., 32, 257-264 (2009).? 

  18. Lee, D.S., Shin, H.Y., Park, K.S., Shin, I.S., Distribution of Vibrio parahaemolyticus and Vibrio vulnificus in seawater and shellfish at Gomso Bay. Korean J. Fish. Aquat. Sci., 52, 114-120 (2019).? 

  19.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Korea food code, Cheongju, Korea (2021).? 

  20. Clinical and Laboratory Standards Institute (CLSI), Performance standards for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ing, 33rd ed., Wayne, PA, USA, 30-52 (2018).? 

  2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gency (KDCA), PFGE standard test method, Cheongju, Korea (2022).? 

  22. Baker-Austin, C., Oliver, J.D., Vibrio vulnificus: new insights into a deadly opportunistic pathogen. Environ. Microbiol., 20, 423-430 (2018).? 

  23. Kim, D.M., Hong, S.J., Vibrio vulnificus sepsis. Korean J. Med., 82, 671-679 (2012).? 

  24. Go, Y.J., Jang, J.S., Relationships of pathogenic vibrios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ing their occurrence in the seawater of incheon coastal Area. Korea J. Food. Nutr., 3, 414-420 (2013).? 

  25. Noh, Y.M., Kim, H.J., Seo, S.R., Lee, D.H., 2020 epidemiologic analysis of Vibrio species patients and deaths. Public Health Wkly. Rep., 14, 1837-1849 (2021).? 

  26. Choi, Y.M., Bae, J.H., Analysis of genetic diversity of Salmonella Typhi chromosomal genetic diversity analysis using pulsed-field electrophoresis. Korean J. Clin. Pathol., 18, 343-351 (1998).? 

  27. Tamplin, M.L., Jackson, J.K., Buchrieser, C., Murphhree, R.L., Portier, K.M., Gangar, V., Miller, L.G., Kaspar, C.W., Pulsed-field gel electrophoresis and ribotype profiles of clinical and environmental Vibrio vulnificus isolates. Appl. Environ. Microbiol., 62, 3572-3580 (199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