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팔당호와 팔당호 상류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특성 분석 및 상관성 분석
Analysis of Non-Biodegradable Organic Matter Leakag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in Paldang Lake and its Upper Reaches 원문보기

한국습지학회지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v.25 no.4, 2023년, pp.221 - 229  

강채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길경익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도권에 일 약 8백만톤의 물을 취수하여 공급하는 팔당호는 수질보전정책 시행으로 BOD(Biochemical Oxygen Demand)1.1mg/L를 달성하였으나 난분해성 물질을 포함하는 COD(Chemical Oxygen Demand) 항목은 점점 증가하는 양상을 보였다. 난분해성 유기물질의 상수원 유입은 잠재적인 BOD의 증가, 수돗물의 냄새와 맛 유발, THM(Trihalomethane) 발생 증가, 조류 증식을 일으키며 유해 난분해성 미량오염물질이 잔류할 경우 수생 환경에서 내분비 교란과 항생제 내성과 같은 현상을 유발한다. 본 연구에서는 팔당호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관리를 위해 팔당호와 팔당호 상류의 점 오염원비점오염원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농도를 파악하기 위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지역별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농도를 비교하고 하수처리장에서의 제거율을 파악하였다. 또한 피어슨 상관성 분석 기법을 사용해 유기물질 지표와 선행건기일수, 선·선행건기일수간 상관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하천과 팔당호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농도는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하수처리장 유출수는 하천과 팔당호보다는 높은 농도를 보였으며, 유입수와 유출수 농도의 비교 결과 하수처리장에서 난분해성 유기물질 제거율은 65.73%였다. 난분해성 유기물질 유출 농도와 선행건기일수, 선·선행건기일수 사이에서는 유의미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이는 데이터 부족으로 판단되며 장기적인 모니터링으로 데이터 축적이 필요하다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xtracted from the metropolitan area, the Paldang Lake, which supplies approximately 8 million tons of water, has achieved a BOD (Biochemical Oxygen Demand) of 1.1 mg/L as a result of water quality preservation policies. However, concerning the COD (Chemical Oxygen Demand) component that encompasses...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제안 방법

  • 또한 선행 강우일수가 동일할 시 선행 강우일 기준 선행 건기일수는 어떠한 상관성이 있을지 분석하기 위해 선·선행 건기일수를 분석에 도입하였다.
  • 팔당호와 한강수계의 하천, 그리고 한강 유역의 하수처리장 유입수와 유출수 내 난분해성 유기물질 농도로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점 특성에 따라 18개의 지점을 하천, 팔당호, 하수처리장 유입수, 하수처리장 유출수로 분류하였다. 계절별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장소별 특성만을 분석하기 위해 약 1년간 총 5회 진행된 샘플링의 데이터를 평균하여 Table 3에 정리하였으며 지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 팔당호와 팔당호 유입 지천, 유역 내 하수처리장의 유입부, 유출부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농도를 파악하기 위해 모니터링 장소를 선정하였다. 팔당호는 한강으로 유출되는 팔당 01지점, 남한강에서 팔당호로 유입되는 팔당 02지점과 경안천에서 팔당호로 유입되는 팔당 03지점 총 세 지점을 선정하였다.
  • 팔당호와 한강수계의 하천, 그리고 한강 유역의 하수처리장 유입수와 유출수 내 난분해성 유기물질 농도로 유출 특성을 분석하였다. 지점 특성에 따라 18개의 지점을 하천, 팔당호, 하수처리장 유입수, 하수처리장 유출수로 분류하였다.
  • 하천은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 경안천의 아홉지점이 모니터링 되었다. 하수처리장은 M 하수처리장, I 하수처리장, G 하수처리장의 유입부와 유출부에서 모니터링을 진행하였다. 모든 모니터링 대상지는 국립환경연구원의 수질 측정망과 자료를 공유할 수 있도록 측정망의 지점과 동일한 위치로 선정되었다.

대상 데이터

  • 팔당호와 팔당호 유입 지천, 유역 내 하수처리장의 유입부, 유출부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농도를 파악하기 위해 모니터링 장소를 선정하였다. 팔당호는 한강으로 유출되는 팔당 01지점, 남한강에서 팔당호로 유입되는 팔당 02지점과 경안천에서 팔당호로 유입되는 팔당 03지점 총 세 지점을 선정하였다. 하천은 청미천, 양화천, 복하천, 경안천의 아홉지점이 모니터링 되었다.

데이터처리

  • 지점 특성에 따라 18개의 지점을 하천, 팔당호, 하수처리장 유입수, 하수처리장 유출수로 분류하였다. 계절별 영향을 고려하지 않고 장소별 특성만을 분석하기 위해 약 1년간 총 5회 진행된 샘플링의 데이터를 평균하여 Table 3에 정리하였으며 지점의 특성을 비교하였다. River은 하천지점, Paldang은 팔당호 지점, STP INF은 하수처리장 유입수(Sewage treatment plant influent), STP EFF는 하수처리장 유출수(Sewage treatment plant effluent)를 일컫는다.
  • 샘플링 지역 별 TOC기반 유기물질 항목, 그리고 선행건기일수와 선·선행건기일수간의 농도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Pythom의 seaborn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피어슨 상관성 분석을 진행했으며 그 결과를 대소에 따라 컬러와 숫자로 표현해 Fig

이론/모형

  • 본 연구에서는 TOC기반 난분해성 유기물질과 선행 건기일수, 선·선행 건기일수와의 상관성을 파악하기 위해 피어슨 상관성 분석 기법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APHA, AWWA and WEF (1998). Standard Method for?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0th edition?Washington D.C., U.S.A? 

  2. Yu, S, Lee, E, Park, M, Kim, K, Im, J, Im, J, Ryu, I, Choi,?H, Byeon, M, Noh, H (2018). Changes in the Water?Environment Based on the Statistical Data in the Lake?Paldang, J. Korean Soc. Water Environ, 34(6), pp.?688-702. [Korean Literature] [DOI https://doi.org/10.15681/KSWE.2018.34.6.688]? 

  3. Cho, H, Son, J, Kim, G, Shin, M, Cho, Y, Shin, K, Noh,?H (2019). Non-parametric Trend Analysis Using?Long-term Monitoring Data of Water Quality in?Paldang Lake, J EIA, 28(2), pp. 83-100. [Korean?Literature][DOI https://doi.org/10.14249/eia.2019.28.2.83]? 

  4. Gyeonggi Research Institute (GRI) (2020). Improving the?Safety of Tap Water in Gyeonggi-do, 99-3-6, Gyeonggi?Research Institute, [Korean Literature]? 

  5. Cao, Q, Sang, L, Tu, J, Xiao, Y, Liu, N, Wu, L, Zhang,?J (2021). Rapid degradation of refractory organic?pollutants by continuous ozonation in a micro-packed?bed reactor, emosphere, 270, 128621. [DOI?https://doi.org/10.1016/j.chemosphere.2020.128621]? 

  6. Kim, J, Shin, M, Jang, C, Jung, S, Kim, B (2006). Comparison?of TOC and DOC Distribution and the Oxidation?Efficiency of BOD and COD in Several Reservoirs and?Rivers in the Han River System, J. Korean Soc. Water?Environ, 23(1), pp. 72-80. [Korean Literature]? 

  7. Son, H, Jeong, C, Kang, L (2004). The Relationship between?Disinfection By-Product Formation and Characteristics?of Natural Organic Matter in the Raw Water for?Drinking Water, Journal of Korean Society of?Environmental Engineers, 26(4), pp. 457-466.[Korean Literature]? 

  8. Han, D, Choi, J (2011). Selection of the?Optimum Organic Matter Index for Surface Water?Quality Manage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Policy,?10(4), pp. 61-80. [Korean Literature][DOI?http://dx.doi.org/10.17330/ joep.10.4.201112.61]? 

  9. Hur, J, Shin, J, Park, S (2006). Characterizing Fluorescence?Properties of Dissolved Organic Matter for Water?Quality Management of Rivers and Lakes. J. of Korean?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25(4), pp.940-948.?[Korean Literature]? 

  10. Luo, Y, Guo, W, Ngo, H, Nghiem, L, Hai, F, Zhang, J,?Liang, S, Wang, X (2014). A review on the occurrence?of micropollutants in the aquatic environment and their?fate and removal during wastewater treatment. Science?of the total environment, 473, 619-641. [DOI?https://doi.org/10.1016/j.scitotenv.2013.12.065]? 

  11. Bahn, G, Cho, M, Kang, J, Kim, L (2021). Study on the?Selecting of Suitable Sites for Integrated Riparian?Eco-belts Connecting Dam Floodplains and Riparian?Zone - Case Study of Daecheong Reservoir in?Geum-river Basin -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23(4), pp. 327-341.[Korean Literature][DOI?https://doi.org/10.17663/JWR.2021.23.4.327]? 

  12. Kim, S, Cho, Y, Chae, M, Kil, G, Seok, K (2020).?Characteristics of organic matters in small streams into?the Daecheong Reservoir. Journal of Environmental?Analysis, Health and Toxicology, 23(3), pp. 155-164.?[Korean Literature][DOI https://doi.org/10.36278/jeaht.23.3.155]? 

  13. Kwon, Y, Han, S, Lee, J (2002). Pollution Loadings in?DaeChungHo Watershed, J.KSWW, pp. 555-556..[Korean?Literature]? 

  14. Hanamachi, Y, Hama, T, Yanai, T (2008). Decomposition?process of organic matter derived from freshwater?phytoplankton. Limnology, 9, pp. 57-69. [DOI?https://doi.org/10.1007/s10201-007-0232-2]? 

  15. Kim, H, Hong, Y, An, J (2013). A Study on the Management?of Micropollutants in Water System Considering?Climate Change and other Potential Effects, Korean?Chem. Eng. Res, 51(6), pp. 645-654. [Korean?Literature] [DOI https://doi.org/10.9713/kcer.2013.51.6.645]? 

  16. Lee, H, Lee, S (2009). Run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in Small City Urban Area, J. of KSEE, 31(3), pp.?193-202, [Korean Literature]? 

  17. Heo, S, Im, J, Gil, K(2017). Runoff Characteristics of?Refractory Organic Matters from Han River Basin?during Dry Days,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19(3),?pp. 353-358. [Korean Literature][DOI https://doi.org/10.17663/JWR.2017.19.3.353]? 

  18. Dolezal, D, Tomic, T (2003). Validation Procedures for?Determination of Total Organic Carbon in Water. In?XVII IMEKO World Congress Metrology in the 3rd?Millennium, Dubrovnik, Croatia? 

  19. Kim, T, Gil, K (2011). Runoff Characteristics of Refractory?Organic Matters from Kyongan River Watershed during?Rainfall Event and Dry Season , J. Korean Soc. Water?Environ.27(4), pp. 397-404. .[Korean Literature]? 

  20. Servais, P, Garnier, J, Demarteau, N, Brion, N, Billen, G?(1999). Supply of organic matter and bacteria to aquatic?ecosystems through waste water effluents, Water?Research, 33(16), pp. 3521-3531. [DOI https://doi.org/10.1016/S0043-1354(99)00056-1]? 

  21. Wetzel, RG (1984). Limnology: Lake and river ecosystems,?Academic Press, San Diego, U.S.A? 

  22. Lee, D, Lee, M, Lee, J, Park, H, Jun, H, Yoo, S (2021). Real-time adaptive model training technique using?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48(2) pp.?1536-1538.[Korean Literature]? 

  23. Cha, J and Kim, J (2018). Analysis of fine dust correlation?between air quality and meteorological factors using?SPSS,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Engineering, 22(5), pp. 722-727.?[Korean Literature]? 

  24. Dignac, M, Derenne, S, Ginestet, P, Bruchet, A, Knicker,?H, Largeau, C (2000). Determination of structure and?origin of refractory organic matter in bio-epurated?wastewater via spectroscopic methods. Comparison of?conventional and ozonation treatments. Environmental?science & technology, 34(16), pp. 3389-3394. [DOI?https://doi.org/10.1021/es991383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