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비판적 의식 척도 타당화
Validation of the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for University Students 원문보기

한국심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social issues. 문화 및 사회문제, v.29 no.4, 2023년, pp.595 - 616  

안선미 (용인시청소년상담복지센터) ,  현영권 (단국대학교 상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비판적 의식 척도(CCS: Critical Consciousness Scale)는 Diemer와 동료들(2017)이 개발한 척도로서 억압받거나 소외된 사람들이 자신의 사회적 정치적 조건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사회적 평등을 지지하며 인지된 불평등을 변화시키는 행동의 정도를 확인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로 번안한 비판적 의식 척도를 현지화하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타당화 하였다. 심리학 관련 석사 및 박사 5명에게 번안 문항의 적합성을 평정하도록 하여 내용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후 전국 대학생 314명을 대상으로 비판적 의식 척도, 기회불평등인식 척도, 환경 변화 필요인식 척도, 사회 참여 척도, 공정한 세상에 대한 신념 척도를 설문조사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탐색적 요인분석을 하여 3개의 하위 요인을 확정하였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원안의 22개 문항 중 14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렇게 요인분석을 마친 14개 문항의 구인타당도와 신뢰도는 양호하였다. 또한 비판적 의식 척도와 유사척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비판적 의식은 유사 척도와 상관관계가 명확히 나타났다. 비판적 의식은 기회불평등인식 척도, 환경 변화 필요 인식 척도, 사회참여 척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였고 공정한 세상에 대한 신념 척도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비판적 의식 척도는 타당도가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과 의의를 논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CCS) is a scale developed by Diemer and colleagues (2017) that can measure the capacity of the oppressed or marginalized people to critically analyze their social and political conditions, support societal equality, and take action to change the perceived inequities...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41)

  1. 강신욱, 김안나, 박능후, 김은희, 유진영 (2005).?사회적 배제의 지표개발 및 적용방안 연구. 

  2. 한국보건사회연구원. 김민진, 박정윤 (2022). 균형적 시간관이 청년기 역경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유대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8(2), 163-186. 

  3. 김은선, 이희수 (2018). 대학생의 기회불평등인식이 진로탄력성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취업진로연구, 8(1), 115-136. 

  4. 김태선, 이 주, 신연주 (2020). 다문화 시대의?상담자 교육: 비판적 의식과 상호교차성을 중심으로.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32(2), 667-692. 

  5. 동그라미재단 (2016). 기회불평등 2016 생애주기별 경험과 인식: 한국사회 기회불평등 조사 [서베이 데이터].?http://www.thecircle.or.kr/kor/business/support-rnd.html?depth17&depth251&depth357 

  6. 안계한, 김민희 (2020). 청년세대의 공정성 인식이 무망감에 미치는 영향: 통제감의 매개효과와 자존감의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6(4), 457-477. 

  7. 안진아, 정애경 (2019). 일의 심리학 이론의?한국 진로상담 적용 방안. 상담학연구,?20(2), 207-227. 

  8. 윤희웅 (2010.10.12). [KSOI의 여론스코프] "우리 사회는 불공정" 74%. 주간경향. http://www.weekly.khan.co.kr/khnm.html?modeview&artid201010061816051 

  9. 이병훈 (2017). 기회 불평등에 대한 국민 인식?태도의 인과 분석. 한국사회정책, 24(2),?157-179. 

  10. 이성균 (2009). 한국사회 청년층의 사회적 배제: 청년실업문제를 중심으로. 한국사회학회 사회학대회 논문집, 569-581. 

  11. 임은미 (2017). 한국 상담자를 위한 사회정의?옹호역량 척도(SJACS-K)의 개발 및 타당화. 상담학연구, 18(6), 17-36. 

  12. 정상혁 (2019.09.21.). 美 '2030 정치클럽' 30만명 "정치인은 우릴 두려워한다... 弱者 아니란걸 보여줬기에". 조선일보. https://www.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9/21/2019092100182.html 

  13. 정지선 (2018). 한국판 미묘한 인종차별 용인척도 타당화. 인문사회 21, 9(6), 1113-1128. 

  14. 정한울, 이관후 (2021.05.28.). [기획] 한국사회?공정성 인식조사: 한국의 불공정 실태, 문제는 무엇인가?. 한국리서치. https://hrcopinion.co.kr/archives/11716 

  15. 주혜빈, 김재연 (2018.07.12.). 특별기획, 대선?2017(24) 정당 청년조직 ① 더불어민주당. Story of Seoul.?https://www.storyofseoul.com/news/articleView.html?idxno2693 

  16. 통계청 (2023). 경제활동인구조사.?https://www.index.go.kr/unity/potal/main/EachDtlPageDetail.do?idx_cd1063 

  17. Baker, A. M., & Brookins, C. C. (2014). Toward?the development of a measure of sociopolitical?consciousness: Listening to the voices of?Salvadoran youth. Journal of Community?Psychology, 42(8), 1015-1032. 

  18. Christens, B. D., Collura, J. J., & Tahir, F.?(2013). Critical hopefulness: A person-centered?analysis of the intersection of cognitive and?emotional empowerment. American Journal of?Community Psychology, 52, 170-184. 

  19. Diemer, M. A. (2009). Pathways to occupational?attainment among poor youth of color: The?role of sociopolitical development. The?Counseling Psychologist, 37(1), 6-35. 

  20. Diemer, M. A., & Blustein, D. L. (2006). Critical?consciousness and career development among?urban youth. Journal of Vocational Behavior,?68(2), 220-232. 

  21. Diemer, M. A., & Hsieh, C. A. (2008).?Sociopolitical development and vocational?expectations among lower socioeconomic status?adolescents of color. The Career Development?Quarterly, 56(3), 257-267. 

  22. Diemer, M. A., & Li, C. H. (2011). Critical?consciousness development and political?participation among marginalized youth. Child?Development, 82(6), 1815-1833. 

  23. Diemer, M. A., Rapa, L. J., Park, C. J., & Perry,?J. C. (2017).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the Critical Consciousness Scale. Youth &?Society, 49(4), 461-483. 

  24. Freire, P. (2021). Education for Critical Consciousness. Bloomsbury Publishing. 

  25. Grzanka, P. R., Santos, C. E., & Moradi, B.?(2017). Intersectionality research in counseling?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64(5), 453-457. 

  26. Hernandez, P., Almeida, R., & Dolan Del?Vecchio, K. (2005). Critical consciousness,?accountability, and empowerment: Key?processes for helping families heal. Family?Process, 44(1), 105-119. 

  27. Kenny, M. E., Blustein, D. L., Liang, B.,?Klein, T., & Etchie, Q. (2019). Applying?the psychology of working theory for?transformative career education. Journal of?Career Development, 46(6), 623-636. 

  28. Kieselbach, T., van Heeringen, K., La Rosa, M.,?Lemkow, L., Sokou, K., & Starrin, B. (Eds.).?(2013). Living on the edge: An empirical?analysis on long-term youth unemployment and?social exclusion in Europe (Vol. 11). Springer?Science & Business Media. 

  29. Major, B., Kaiser, C. R., & McCoy, S. K. (2003).?It's not my fault: When and why attributions?to prejudice protect self-esteem. Personality and?Social Psychology Bulletin, 29(6), 772-781. 

  30. Martin-Baro, I. (1996). Writings for a liberation?psychology. Harvard University Press. 

  31. McWhirter, E. H., & McWhirter, B. T. (2016).?Critical consciousness and vocational?development among Latina/o high school?youth: Initial development and testing of a measure.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24(3),?543-558. 

  32. Ramos-Zayas, A. Y. (2003). National performances:?The politics of class, race, and space in Puerto?Rica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33. Shin, R. Q., Ezeofor, I., Smith, L. C., Welch,?J. C., & Goodrich, K. M. (2016). The?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Cotemporary Critical Consciousness Measure.?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3(2), 210-223. 

  34. Shin, R. Q., Smith, L. C., Lu, Y., Welch, J. C.,?Sharma, R., Vernay, C. N., & Yee, S. (2018).?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Contemporary Critical Consciousness Measure?II.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65(5), 539. 

  35. Thomas, A. J., Barrie, R., Brunner, J., Clawson,?A., Hewitt, A., Jeremie-Brink, G., &?Rowe Johnson, M. (2014). Assessing critical?consciousness in youth and young adults.?Journal of Research on Adolescence, 24(3),?485-496. 

  36. Watts, R. J., & Abdul-Adil, J. (1997). Promoting?critical consciousness in young, African?American men. Journal of Prevention &?Intervention in the Community, 16(1-2), 63-86. 

  37. Watts, R. J., Diemer, M. A., & Voight, A. M.?(2011). Critical consciousness: Current status?and future directions. New Directions for Child?and Adolescent Development, 2011(134), 43-57. 

  38. Watts, R. J., Griffith, D. M., & Abdul-Adil, J.?(1999). Sociopolitical development as an antidote for oppression-theory and action.?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7(2),?255-271. 

  39. Watts, R. J., Williams, N. C., & Jagers, R. J.?(2003). Sociopolitical development. American?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1(1-2), 185-194. 

  40. Windsor, L. C., Jemal, A., & Benoit, E.?(2014). Community Wise: Paving the way?for empowerment in community reentry.?International Journal of Law and Psychiatry,?37(5), 501-511. 

  41. Zimmerman, M. A., Ramirez-Valles, J., & Maton,?K. I. (1999). Resilience among urban African?American male adolescents: A study of the?protective effects of sociopolitical control on their mental health. American Journal of?Community Psychology, 27(6), 733-751.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