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산딸기, 유백피, 치자 추출물의 임상용 복합제제의 동물 실험모델에서의 위 질환 억제활성
Preventive Effect of LS-RUG-com-a Mixture of Rubus crataegifolius, Ulmus macrocarpa, and Gardenia jasminoides-on Gastric Disorders in Animal Models 원문보기

생명과학회지 = Journal of life science, v.33 no.11, 2023년, pp.923 - 935  

이영익 ((주)리즈바이오텍) ,  아텟삼 후세인 ((주)리즈바이오텍) ,  아지즈 압둘 라만 ((주)리즈바이오텍) ,  손호용 (안동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혜정 ((주)리즈바이오텍) ,  조진숙 ((주)리즈바이오텍)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산딸기(RC), 유백피(UM)와 치자(GJ)는 위장장애 개선 및 다양한 효능이 보고된 중요한 민간 의약품 소재이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한 천연물을 이용한 실제적 위장 질환 개선제의 상업화를 위해, 상기 3종 천연물 추출물의 분말을 각각 3:1:2(w/w/w) 비율로 혼합하여 제조한 임상용 복합제제(LS-RUG-com)의 위 질환 억제활성을 평가하였다. HCl/EtOH 유도 위염 모델에서 LS-RUG-com (150 mg/kg)은 76%의 우수한 위염 억제 효능을 보였다(lesion index; HCl/EtOH, 112.37±11.20 mm, RUG-com; 26.32±1.87 mm). 또한 indomethacin 처리에 의한 위궤양 rat model에서 LS-RUG-com (150 mg/kg) 처리 시 90.8%의 위궤양 억제 효능을 보여, 임상에서 사용중인 cimetidine (100 mg/kg) 처리구의 81.1% 억제활성보다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lesion index; indomethacin ; 121.72±3.19 mm, RUG-com ; 12.5±1.16 mm). 역류성 식도염 유발 모델에서는 LS-RUG-com (150 mg/kg) 처리군에서 조직학적으로 omeprazole (150 mg/kg)에 비교되는 우수한 위 및 위 점막 손상 회복 활성을 확인하였으며, 위 내용물의 pH 상승, 위점막 보호의 증가 및 위의 pepsin 생성억제를 확인하였다. 또한, 위 식도 조직에서 TNF-α 및 IL-1β 발현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여 염증 발생이 억제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항 Helicobacter pylori 효능도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LS-RUG-com이 인체의 위 관련 질환을 개선하고, 위 및 위 점막 손상을 예방, 개선할 수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ubus crataegifolius (RC), Ulmus macrocarpa (UM), and Gardenia jasminoides (GJ) are well-known folk medicines in Asia used to treat various gastrointestinal disturbances.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gastroprotective effect of LS-RUG-com, a mixture of commercially prepared powders of RC, UM, and ...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사용된 산딸기(RC), 유백피(UM)와 치자(GJ)는 동양사회에서 잘 알려진 여러 종류의 위장장애 치료에 관여하는 민간 의약품 소재로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본 식물들의 단일 또는 복합 소재로 사용 시 HCl/EtOH 처리에 의한 위염, indomethacin 처리에 의한 위궤양 및 식도역류, 식도점막 손상에 의한 역류성 식도염을 억제시키는 위보호 효능에 관한 연구이다. 이외에 TNF-α, 1L-1β 및 헬리코박터 억제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상업적 시설에서 대량 제조한 RC, UM 및 GJ 추출물 분말과 이의 혼합물인 임상용 복합제제(LS-RUG-com)가 위염, 위궤양 및 역류성식도염 억제 및 항Helicobacter pylori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진행되었으며, 우수한 위장관 질환 억제효과를 확인하여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Alkushi, A. G. R. and Elsawy, N. A. M. 2017. Quercetin?attenuates indomethacin-induced acute gastric ulcer in rats.?Folia Morphol. 76, 252-261. 

  2. Bevilacqua, L. A., Obeid, N. R., Yang, J., Zhu, C., Altieri,?M. S., Spaniolas, K, Pryor, A. D. 2020. Incidence of?GERD, esophagitis, Barrett's esophagus, and esophageal?denocarcinoma after bariatric surgery. Surg. Obes. Relat.?Dis. 16, 1828-1836. 

  3. Chen, S., Zhao, X., Qian, J., Shi, Y. and Wang, R. 2017.?Preventive effect of gardenia jasminoides on HCl/ethanol?induced gastric injury in mice. J. Pharmacol. Sci. 133, 1-8. 

  4. Choi, W. S., Jang, D. Y., Nam, S. W., Park, B. S., Lee,?H. S. and Lee. S. E. 2012. Antiulcerogenic activity of scoparone on HCl/Ethanol-induced gastritis in rats. Appl.?Biol. Chem. 55, 159-163. 

  5. Clarrett, D., M. and Hachem, C. 2018. Gastroesophageal?Reflux Disease (GERD). Mo. Med. 115, 214-218. 

  6. El-Ashmawy, N. E., Khedr, E. G., El-Bahrawy, H. A. and?Selim, H. M. 2016. Gastroprotective effect of garlic in?indomethacin induced gastric ulcer in rats. Nutrition 32, 849-854. 

  7. Fullaton, G., M., McLauchlan, G., Macdonald, A., Crean,?G., P. and McColl, K., E. 1989. Rebound nocturnal hypersecretion after four weeks treatment with an H2 receptor?antagonist. Gut 30, 449-454. 

  8. Gyawali, C. P. and Fass, R. 2018. Management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astroenterology 154, 302-318. 

  9. Herschcorici, T., Mashimo, H. and Fass, R. 2011. The lower esophageal sphincter Neurogastroenterol. Motil. 36,?819-830. 

  10. Jeong, I. D. 2017. A review of diagnosis of GERD. Kor.?J. Gastroenterol. 69, 96-101. 

  11. Jiang, G. L., Im, W. B., Donde, Y. and Wheeler, L. A.?2009. EP4 agonist alleviates indomethacin-induced gastric?lesions and promotes chronic gastric ulcer healing. World?J Gastroenterol. 15, 5149-5156. 

  12. Jung, J. H., choi, J., S. and Jeong, C., S. 2014. Inhibitory?activities of palmatine from copotis chinensis against?Helicobacter pylori and gastric damage. Toxicol. Res. 30,?45-48. 

  13. Kim, S. J., Kim, Y. K and Park, G. Y. 2012. Inhibitory?effects of ginger and processed (beopje) ginger extracts on HCl-ethanol induced gastritis in rats. J. Kor. Soc. Food?Sci. Nutr. 41, 1528-1533. 

  14. Kim, Y. S., Gwon, H. J., Park, J. S., Lim, Y. M. and?Nho, Y. C. 2011.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herbal extracts through inhibition of TNF-α, IL-6 and IL-8. J. Rad.?Ind. 5, 273-277 

  15. Lee, J. A., Park, H. J., Kim, S. H., Kim, M. J., Kim, K.?J. and Shin MR. 2019. Evaluation of Evodiae Fructus extract on the 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in rats. Kor.?J. Herbol. 34, 15-23. 

  16. Lee, J. A., Shin, M. R., Lee, J. H. and Roh, S. S. 2020.?Effect of Coptidis Rhizoma and Evodiae Fructus mixture on esophageal mucosa in chronic reflux esophagitis. Kor.?J. Pharmacogn. 51, 349-359. 

  17. Lee, J. A., Shin, M. R., ROh, S. S. and Park, H. J. 2021.?Effects of a mixture of Citri Pericarpium and Scutellariae?Radix on acute reflux esophagitis in rats. J. Nutr. Health?54, 321-333. 

  18. Lee, S. H. and Baik, T, H. 2019. A comparative study on the effects of Pinellia ternata, Zingiber officinale and?Sobanhatang on reflux esophagitis. J. Kor. Med. 40, 17-34. 

  19. Lee, Y. I., Kim, J. S., Cho, J. S., Kim Hyun Kyu, A.?Hussain 2019. Standardized combined plant extract, RUG-com, reduces bacterial levels and suppresses acute and?chronic inflammation in Balb/c mice infected with CagA + Helicobacter pylori. Prev. Nutri. Food. Sci, 24, 426-433. 

  20. Liu, Q., Meng, X., Li, Y., Zhao, C. N., Tang, G., Y., Li,?S., Gan, R., Y. and Li, H., B. 2018. Natural products for?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Helicobacter pylori?infection. Compr. Rev. Food Sci. Food Saf. 17, 937-952. 

  21. Mark F., Michael E. B. 1990. Histamine2-receptor antagonists. Standard therapy for acid-peptic diseases. N. Engl.?J. Med. 323, 1672-1680. 

  22. Oh, T. Y., Lee, J. S., Ahn, B. O., Cho, H., Kim, W. B.,?Kim, Y. B., Surh, Y. J., Cho, S. W. and Hahm, K. B. 2001.?Oxidative damages are critical in pathogenesis of reflux?esophagitis: implication of antioxidants in its treatment.?Free Radic. Biol. Med. 30, 905-915. 

  23. Omura, N., Kashiwagi, H., Chen, G., Suzuki, Y., Yano,?F. and Aoki, T. 1999. Establishment of surgically induced?chronic acid reflux esophagitis in rats. Scand. J. Gastroenterol. 34, 948-953. 

  24. Orwa, H. and Zaid, M. 2012. Evalu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the acid neutralizing contents of selected Palestinian folk medicinal herbs. American J. Chem. 2, 322-325. 

  25. Park, J., Bu, Y. M., Bae, J. H., Lee, B. J., Ko, S. J., Kim,?J. S. and Ryu, B. H. 2011. Protective effect of Ulmus macrocarpa on experimental colitis mice models. Orient.?Pharm. Exp. Med. 11, 107-112. 

  26. Park, J., Kang, J. H., Abdur Rahman, M., A., Hussain,?A., Cho, J., S. and Lee, Y. I. 2019. Gastroprotective effects?of plants extracts on gastric mucosal injury in experimental Sprague-Dawley Rats. Bio. Med. Res. Int. 3, 1-11. 

  27. Park, J. U., Cho, J. S., Kim, J. S., Md Aziz Abdur Rahman,?and Lee, Y. I. 2020. Synergistic effect of Rubus crataegifolius and Ulmus macrocarpa against Helicobacter pylori?clinical isolates and gastritis. Frontiers in Pharmacology?11, 1-7. 

  28. Peters, Y., Al-kaabi, A., Shaheen, N., J., Chak, A., Blum,?A., Souza, R., F., Pietro, M., D., Lyer, P., G., Pech, O.,?Fitzgerald, R., C. and Siersema, P., D. 2019. Barret esophagus. Nat. Rev. Dis. Primers 35, 18-36. 

  29. Richter, J. E. and Rubenstein, J. H. 2018. Presentation and?epidemiology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astroenterol. 154, 267-276. 

  30. Rogers, A. B. 2012. Histologic scoring of gastritis and?gastric cancer in mouse models. Methods Mol. Biol. 921,?189-203. 

  31. Szabo, S. and Bynum, T. 1998. Alternatives to the acid-oriented approach to ulcer disease: does 'cytoprotection'?exist in man? A new classification of antiulcer agents.?Scand. J. Gastroenterol. 23, 1-6 

  32. Wallace, J. L. and Sharkey, K. A. 2011. Pharmacotherapy?of gastric acidity, peptic ulcers, and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Pharmacol. Bas. Therap. 12, 11-22. 

  33. Wang, R., Zeng, X., Liu, B., Yi, R., Zhou, X., Mu, J.?and Zhao, X. 2020. Prophylactic effect of Lactobacillus?plantarum KSFY06 on HCl/ethanol-induced gastric injury?in mice. Food Funct. 11, 2679-2692. 

  34. Yoo, C. Y., Son, H. U., Kim, S. K., Kim, S. O. and Lee,?S. H. 2022. Improved image analysis for measuring gastric?ulcer index in animal models and clinical diagnostic data.?Diagnostics 12, 123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